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베트남 북부지역 적응 일대잡종 벼 ‘KGHR1’의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92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 열대아시아지역에 적응하는 수출용 일대잡종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13년에 미얀마에서 수집한 도열병과 흰잎 마름병에 저항성인 ‘MY1B’를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육성 된 일대...

      1. 열대아시아지역에 적응하는 수출용 일대잡종 벼 품종을 육성할 목적으로 2013년에 미얀마에서 수집한 도열병과 흰잎 마름병에 저항성인 ‘MY1B’를 국제미작연구소(IRRI)에서 육성 된 일대잡종 벼 웅성불임친인 ’IR68897A’에 4회 여교배하여 2016년에 불임친인 ‘KR1A’와 유지친인 ‘KR1B’를 육성하였으며 육성된 불임친 ‘KR1A’를 회복친유전자를 가진 우량계통들과 검정교배한 결과 베트남 지역 적응성이 높고 도정특성이 우수한 OM052와 교배한 조합이 우수하여 교배번호 KR0695H을 부여한 후 생산력 검정에 필요한 F1종자를 생산하였고 선발된 일대잡종 벼 계통에 대해 2년간의 지역적응시 험을 통해 우수성이 인정되어 2019년 농촌진흥청 직무육성 신 품종선정위원회에서 신품종으로 선정되면서 ‘KGHR1’으로 명명되었음 2. ‘KGHR1’의 F1 종자생산을 위해 육성된 불임친과 유지친, 회복친의 농업형질을 조사한 결과 불임친인 ‘KR1A’의 임실율이 0%인 완전불임을 보였고 불임친인 ‘KR1A’과 유지친인 ‘KR1B’을 1% potassium iodide-iodine(I-KI)에 염색해 본 결과 ‘KR1A’는 염색이 되지 않은 완전불임을 나타내어 일대잡종벼의 특성에 부합되었음 3. ‘KGHR1’는 중부평야지 보통기 재배에서 평균 출수기가 8월 13일로 대비품종 ‘다산’보다 5일 늦은 중생종이었고 간장은 103 cm로 다산의 82 cm보다 21 cm 큰 장간이고, 이삭길이는 28 cm로 ‘다산’ 보다 길고 이삭당 벼알수는 202개로 ‘다산’ 보다 69개 많았고 등숙비율은 76.3%로 대비품종 ‘다산’ 83.7% 보다 낮게 조사되었음 4. ‘KGHR1’는 도열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 저항성이었고 흰 잎마름병은 K1, K2, K3 균계에 저항성을 보였지만, 오갈병 및 멸구류에 대한 저항성은 없었으며 도복에는 강하며, 수발 아와 내냉성은 ‘다산’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음 5. ‘KGHR1’의 입형은 현미장폭비가 3.37로 장원립이고 백미외관은 심복백이 0/1로 맑고 투명하였으며 단백질함량은 6.3%로 ‘다산’ 보다 낮은 반면 아밀로스함량은 22.7%로 ‘다산’ 보다 높았음 6. ‘KGHR1’의 제현율과 현백률은 대비품종 ‘다산’과 차이가 없었고 완전미도정수율은 40.5%로 ‘다산’ 보다 낮았으나 베트남 현지 일대잡종 벼 품종인 IIA838 보다 높았음 7. ‘KGHR1’의 쌀수량은 ‘수원’ 등 3개 지역에서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보통기 보비재배 평균 6.60 MT/ha로 ‘다산’의 6.59 MT/ha와 차이가 없는 수량성을 보였고 수원에서 3년간 실시한 생산력 검정에서는 ‘다산’ 보다 23% 증수하였으며 특히 2019년에 7.59 MT/ha로 베트남 대조품종인 IIA838 보다 도 11% 증수하였으나 베트남 하이하우에서 2018년에서 2019 년까지 2년간 2작기씩 현지 관행재배로 4회 실시한 생산력검 정시험에서는 8.25 MT/ha로 대조품종인 IIA838 보다 12% 떨어지는 수량을 나타내었음 8. ‘KGHR1’는 국내 종자산업 육성과 수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2014년부터 수행한 골든시드프로젝트(Golden Seed Project, GSP)의 결과로 개발된 첫 번째 일대잡종 벼 품종으로 우리나라 벼 종자수출산업의 발전을 위한 밑거름이 될 것임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ommercial hybrid rice has been cultivated in Asia, mostly China, since 1976 with more than 15~25% general yield increment compared to inbred rice in China. In order to develop a new hybrid rice cultivar for seed export to Southeastern Asia especially...

      Commercial hybrid rice has been cultivated in Asia, mostly China, since 1976 with more than 15~25% general yield increment compared to inbred rice in China. In order to develop a new hybrid rice cultivar for seed export to Southeastern Asia especially Vietnam, we have bred hybrid rice lines in Cambodia since 2014. Developed in 2019, ‘KGHR1’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ble to adapt to Northern Vietnam with resistance to major diseases and high yielding capacity. ‘KGHR1’ is resistant to blast and bacterial blight. Results of replicated yield trials revealed that it had milled rice yield of 8.25 MT/ha in Vietnam, 7.59 MT/ha in Korea, same as ‘Dasan’, a high yielding Korean inbred rice cultivar used in regional adaptability test in Korea. Furthermore, its grain quality was better than ‘IIA838’, a Chinese super yielding hybrid rice. It had 6.3% protein content and 22.7% amylose content, lower than those of ‘IIA838’, indicating softer texture and better eating quality. As a result of the ‘Golden Seed Project', ‘KGHR1’ will play an important role in boosting Korean seed industry as the first commercial hybrid rice in Ko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 요
      • ABSTRACT
      • 서 언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적 요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Qiang, H, 6 : 967-973, 2020

      2 조영찬, "우리나라 벼 품종개발 변천사 및 성과" 한국육종학회 52 : 58-72, 2020

      3 Athwat, D.S., "Rice breeding" IRRI 615-620, 1972

      4 Swaminathan, M.S, "Rice breeding" IRRI 609-613, 1972

      5 Yuan, L.P., "Retrospect,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hybrid rice" 4 : 3-6, 1999

      6 Chaudhary, R.C, "Patterns of pollen abortion in some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e lines of rice" 18 : 140-142, 1981

      7 Sohu, V.S., "Inheritance of fertility restoration of three sources of cytoplasmic male sterility in rice" 49 : 93-96, 1995

      8 Dalmacio, R, "Identification and transfer of a new cytoplasmic male sterility source from Oryza perennis into indica rice(O. sativa)" 82 : 221-225, 1995

      9 Jones, J.W., "Hybrid vigor in rice" 18 : 423-428, 1926

      10 Yuan, L.P., "Hybrid rice in China" 1 : 8-18, 1986

      1 Qiang, H, 6 : 967-973, 2020

      2 조영찬, "우리나라 벼 품종개발 변천사 및 성과" 한국육종학회 52 : 58-72, 2020

      3 Athwat, D.S., "Rice breeding" IRRI 615-620, 1972

      4 Swaminathan, M.S, "Rice breeding" IRRI 609-613, 1972

      5 Yuan, L.P., "Retrospect, current status and prospect of hybrid rice" 4 : 3-6, 1999

      6 Chaudhary, R.C, "Patterns of pollen abortion in some cytoplasmic-genetic male sterile lines of rice" 18 : 140-142, 1981

      7 Sohu, V.S., "Inheritance of fertility restoration of three sources of cytoplasmic male sterility in rice" 49 : 93-96, 1995

      8 Dalmacio, R, "Identification and transfer of a new cytoplasmic male sterility source from Oryza perennis into indica rice(O. sativa)" 82 : 221-225, 1995

      9 Jones, J.W., "Hybrid vigor in rice" 18 : 423-428, 1926

      10 Yuan, L.P., "Hybrid rice in China" 1 : 8-18, 1986

      11 Virmani, S.S, "Hybrid rice breeding manual"

      12 Stansel, J.W., "Hybrid rice : problems and potentials" 69 (69): 46-, 1966

      13 "FAOSTAT"

      14 Shinjyo, C., "Cytoplasmic male sterility in cultivated rice, Oriza sativa L. I. Fertilities of F1, F2 and offspring’s obtained from their mutual reciprocal backcrosses and segregation of completely male sterile plants" 16 : 179-180, 1966

      15 Verma, R.L, "CRNS 54A and CRNS 55A : Cytoplasmic male sterile lines with enhanced seed producibility" 39 : 1-14, 2018

      16 김미선, "Breeding Hybrid Rice with Genes Resistance to Diseases and Insects Using Marker-Assisted Selection and Evaluation of Biological Assay" 한국육종학회 7 (7): 272-286, 2019

      17 Yuan, L.P., "An introduction to the breeding of male sterile lines in rice" 1972

      18 Yuan, L.P., "A preliminary report on the male sterility in rice" 4 : 32-34, 1966

      1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9 Report of new cultivars development and research in summer crop" 3-196, 2020

      20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9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3-51, 2019

      21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8 Report of new cultivars development and research in summer crop" 3-162, 2019

      22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8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3-49, 2018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7 Report of new cultivars development and research in summer crop" 5-171, 2018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RDA), "2017 Project plan for collaborative research program to develop new variety of summer crop" 5-50,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4-01-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 J. Intl. Agri.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2 0.3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7 0.56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