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먼저 2005년에 실시된 선행연구를 보다 확장한 국내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와 요구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교육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18315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먼저 2005년에 실시된 선행연구를 보다 확장한 국내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와 요구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교육 ...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절차를 통하여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먼저 2005년에 실시된 선행연구를 보다 확장한 국내 의뢰전 중재 적용 실태와 요구 조사를 통하여 우리나라 교육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적용되고 있는 의뢰전 중재 모형의 실태를 파악한다. 연구대상은 일반 초등학교 저학년 담당교사 200명과 일반유치원 담당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게 될 것이다. 수거된 조사지는 항목에 따라 통계처리 및 기술 처리하게 될 것이며 통계처리는 각 문항별로 반응분포에 다른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고 일반적인 총량이나 규모를 알라보기 위하여 합산 및 평균을 구할 것이다. 다응으로는 의뢰전 중재 모형 및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의뢰전 중재 모형은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가장 최우선의 모형 개발 기준으로 정하여 개발하게 될 것이다. 이는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제시된 일반교사에 대한 과중한 업무 부담이 의로전 중재의 실제적 적용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는 연구에 근거한 것이다. 개발된 모형은 특수교육 및 일반교육 관련 전문가들의 자문과 내용타당도 검증을 통하여 수정과 보완 작업을 실시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중재 모형의 적용 효과를 검증하게 될 것이다. 중재 모형의 적용 효과 검증은 다음과 같은 두가지 측면에서 실시될 것이다. 첫째, 중재 모형의 적용 대상자들의 문제 행동 감소와 학업 참여 행동의 증가를 통한 중재 모형의 효과를 점검하며 둘번째로는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직무만족도와 교수 효율성의 측면에서 그 효과를 검증할 것이다.중재 효과 검증을 위한 연구대상자는 일반유치원에 장애 진단을 받지 않고 배치된 장애 혹은 장애 위험 아동 20명과 이들을 담당하는 교사 10명, 이와 동일한 조건의 일반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 20명과 이들을 담당하는 교사 10명이다. 중재 효과 검토를 위한 실험 기간은 6주 정도가 될 것이며 실험 설계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적용하게 될 것이며 측정도구는 대상 아동들의 경우 CBCL과 상황간 문제 행동 발생 기록표, 활동 참여 기록표 등을 적용하게 될 것이고 교사들의 경우에는 교사 효능감과 직무만족도를 살펴보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