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적자지심’에 대한 주자의 해석을 바탕으로 ‘적자지심(赤子之心)’의 윤리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적자지심’은 孟子에서 유래하는 명제로 도덕인격인 대인으로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315092
2016
Korean
주자 ; 맹자 ; 적자지심 ; 대인지심 ; 도덕주체 ; Zhu-zi ; Menicus ;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 the mind of a magnanimous man ; moral subject
KCI등재
학술저널
1-34(34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적자지심’에 대한 주자의 해석을 바탕으로 ‘적자지심(赤子之心)’의 윤리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적자지심’은 孟子에서 유래하는 명제로 도덕인격인 대인으로서...
본 논문은 ‘적자지심’에 대한 주자의 해석을 바탕으로 ‘적자지심(赤子之心)’의 윤리학적 의미를 고찰한 것이다. ‘적자지심’은 孟子에서 유래하는 명제로 도덕인격인 대인으로서 갖춰야할 마음을 의미한다. 주자에게 이러한 ‘적자지심’은 인간이 태어나서 갖고 있는 순수하고 거짓 없는 원초의 상태로서 도덕적 삶, 그리고 도덕실천의 주체이다. 이러한 도덕적 삶의 주체는 공부를 통해 ‘순일무위(純一無僞)’한 마음의 상태를 잘 지키고, 도덕지각을 완성하여 ‘대인지심(大人之心)’을 완성할 수 있다. ‘대인지심’은 곧 만사에 도덕적으로 온전히 대응할 수 있는 도덕주체가 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주자학은 존재론적 윤리설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적자지심’ 그 자체로 어떠한 조건이나 의도가 없이 도덕법칙으로서 ‘리’를 마땅히 해야만 하는 도덕의무로 삼고 실현할 수 있는 순수성을 지닌다. 이러한 측면에서 ‘적자지심’은 주자학이 의무론적 윤리설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ethical mea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Zhu-zi about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This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means that the mind can be equipped as a magnanimous man of the moral character as ...
This paper is to consider the ethical meaning based on the analysis of Zhu-zi about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This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means that the mind can be equipped as a magnanimous man of the moral character as a proposition derived from Mencius. This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of Zhu-zi is the moral life, and the subject of moral practice as the primordial state of pure and unfeigned that newborn baby has. The subject of the moral life can maintain the ‘pure and unfeigned(純一無僞)’ state of mind through a study, complete ‘the mind of a magnanimous man’ through the moral perception. This ‘the mind of a magnanimous man’ means the moral subject that can morally and fully respond to the everything. The Zhu-zi Philosophy in this aspect can be called ontologically ethical theory. In addition, this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as a moral law without any conditions or intent in itself has as the moral obligation that should deserve the ‘Li(理)’ and the purity can be realized. This ‘the pure heart of a newborn babe’ in this aspect explain that the Zhu-zi Philosophy implies the ontologically ethical theor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陳 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2002
2 박승현, "맹자孟子의 마음공부 - 인간의 자존감 회복의 길 -" 중앙철학연구소 40 : 35-70, 2015
3 박길수, "도덕 심리학과 도덕 철학의 이중적 변주 -맹자 심성론 및 수양론의 본질과 특징" 철학연구소 (48) : 35-90, 2013
4 李瑞全, "當代新儒學之哲學開拓" 文津出版社 1993
5 "河南程氏遺書"
6 "河南程氏文集"
7 "朱子語類"
8 윤용남, "朱子 心說의 體用理論的 分析" 동양철학연구회 41 : 283-320, 2005
9 "晦庵先生朱文公文集"
10 牟宗三, "心體與性體(第2冊)" 正中書局 2006
1 陳 來,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2002
2 박승현, "맹자孟子의 마음공부 - 인간의 자존감 회복의 길 -" 중앙철학연구소 40 : 35-70, 2015
3 박길수, "도덕 심리학과 도덕 철학의 이중적 변주 -맹자 심성론 및 수양론의 본질과 특징" 철학연구소 (48) : 35-90, 2013
4 李瑞全, "當代新儒學之哲學開拓" 文津出版社 1993
5 "河南程氏遺書"
6 "河南程氏文集"
7 "朱子語類"
8 윤용남, "朱子 心說의 體用理論的 分析" 동양철학연구회 41 : 283-320, 2005
9 "晦庵先生朱文公文集"
10 牟宗三, "心體與性體(第2冊)" 正中書局 2006
11 牟宗三, "心體與性體(第1冊)" 正中書局 2006
12 "孟子集注"
13 王邦雄, "孟子義理疏解" 鵝湖出版社 2007
14 "孟子或問"
15 "孟子"
16 李明揮, "國際朱子學會議論文集(上冊)" 中央硏究院中國文哲硏究所籌備處 2002
17 "中庸章句"
18 "中庸"
19 唐君毅, "中國哲學原論(原性篇)" 學生書局 1989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3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철학탐구 -> 철학탐구 외국어명 : 미등록 -> Philosophical Investigation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1 | 0.41 | 0.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9 | 0.37 | 0.93 | 0.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