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물 재활용 인식이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 실천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Water Reuse on Water Reuse Practice at Ho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9737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awareness of recycling water to find out how this affects to practice water conserv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ffectiveness of water recycling Water recycling is recognized commitment (β =.464, p<.001), water recycling (β =.354. p<.001) use of water-saving equipment, water-saving mindset formation (β =.291. p<.01) was found on the net impact. In other words, by increasing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water recycling is also to increase the amount of recycled water conservation and water use commitment devices for water recycling in the home was confirmed that water conservation mindset also acts as a positive form.
      Second, recycled water is also aware of the need (β =.501. p<.01) use of recycled water, water-saving equipment, water recycling commitment (β =.333, p<.01), water-saving mindset formation (β =.286 .p<.01) were higher in order of influenc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by increasing awareness of the need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recycled commitment to help recycle water used in water recycling water-saving devices in the home have a positive impact in forming water-saving mindset.
      This study is its significance to you by analyzing the impact on water recycling practices in recycling awareness of water home Learn the consumer awareness about water recycling presents suggestions for effective water conservation measures and water recycling policy direction at hom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awareness of recycling water to find out how this affects to practice water conserv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ffectiveness of water recycling Water recycling is recogni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awareness of recycling water to find out how this affects to practice water conserva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 effectiveness of water recycling Water recycling is recognized commitment (β =.464, p<.001), water recycling (β =.354. p<.001) use of water-saving equipment, water-saving mindset formation (β =.291. p<.01) was found on the net impact. In other words, by increasing awareness of the effectiveness of water recycling is also to increase the amount of recycled water conservation and water use commitment devices for water recycling in the home was confirmed that water conservation mindset also acts as a positive form.
      Second, recycled water is also aware of the need (β =.501. p<.01) use of recycled water, water-saving equipment, water recycling commitment (β =.333, p<.01), water-saving mindset formation (β =.286 .p<.01) were higher in order of influence.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by increasing awareness of the need to increase the amount of water recycled commitment to help recycle water used in water recycling water-saving devices in the home have a positive impact in forming water-saving mindset.
      This study is its significance to you by analyzing the impact on water recycling practices in recycling awareness of water home Learn the consumer awareness about water recycling presents suggestions for effective water conservation measures and water recycling policy direction at hom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물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물 절약을 실천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물 재활용 효과성 인식은 물 재활용 실천의지(β=.464, p<.001),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β=.354. p<.001), 절수 마인드 형성(β=.291. p<.01)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물 재활용의 효과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에 대한 실천의지와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가 높아지며 절수 마인드 형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물 재활용 필요성 인식은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β=.501. p<.01), 물 재활용 실천의지(β=.333, p<.01), 절수 마인드 형성(β=.286. p<.01)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즉, 물 재활용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와 물 재활용에 대한 실천의지가 높아지며 절수 마인드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물 재활용 인식이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물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알아보고 가정에서의 효과적인 물 절약 방안 및 물 재활용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물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물 절약을 실천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물 재활용 효과성 인식은 물 재활용 실천의지(β=.464, p<...

      본 연구는 물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물 절약을 실천하는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연구결과 첫째, 물 재활용 효과성 인식은 물 재활용 실천의지(β=.464, p<.001),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β=.354. p<.001), 절수 마인드 형성(β=.291. p<.01)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물 재활용의 효과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에 대한 실천의지와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가 높아지며 절수 마인드 형성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물 재활용 필요성 인식은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β=.501. p<.01), 물 재활용 실천의지(β=.333, p<.01), 절수 마인드 형성(β=.286. p<.01) 순으로 영향력이 높게 나타났다. 즉, 물 재활용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 절수기기 사용의도와 물 재활용에 대한 실천의지가 높아지며 절수 마인드 형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물 재활용 인식이 가정에서의 물 재활용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물 재활용에 대한 소비자 인식을 알아보고 가정에서의 효과적인 물 절약 방안 및 물 재활용 정책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데 그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교통부, "통계로 보는 한국의 수자원"

      2 법제처,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3 국토교통부, "물과 미래" 2015

      4 환경부, "물 재이용 기본계획(2011~2020)"

      5 삼척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

      6 오충우,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한 우리나라 물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 물 교육 지도 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정경희, "물 관리 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Albert Arnold Gore Jr,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 : IPCC)"

      9 이철근, "공동주택의 중수도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10 조수현, "공동주택의 수자원 절약 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1 국토교통부, "통계로 보는 한국의 수자원"

      2 법제처,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

      3 국토교통부, "물과 미래" 2015

      4 환경부, "물 재이용 기본계획(2011~2020)"

      5 삼척시, "물 재이용 관리계획"

      6 오충우, "물 부족 문제에 직면한 우리나라 물 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 물 교육 지도 자료 개발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7 정경희, "물 관리 체제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Albert Arnold Gore Jr, "기후변동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 : IPCC)"

      9 이철근, "공동주택의 중수도 적용성 검토에 관한 연구" 한밭대학교 산업대학원 2006

      10 조수현, "공동주택의 수자원 절약 방법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0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경영컨설팅 리뷰 -> 기업경영리뷰
      외국어명 : Korean Review of Management Consulting -> Korean Review of Corporation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16-12-30 학회명변경 한글명 : KNU경영컨설팅연구소 -> KNU 기업경영연구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Management Consulting ->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Corporate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16-04-08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 경영 컨설팅 연구소 -> KNU경영컨설팅연구소
      영문명 : The Korean Institute of Management Consulting -> Korean Institute of Management Consulting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8 0.82 1.376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