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라 퐁텐 작품에 나타난 "사랑"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 Les Amours de Psyché et de Cupidon』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6888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669년 『아도니스(Adonis)』와 더불어 발표된 소설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은 이미 1668년 발표한 우화 제 6권의 에필로그를 통해 이듬해에 자신의 소설이 발표될 것임을 암시했었다. 라 퐁텐은 자신의 후원자들 중 부이용 공작부인(la duchesse de Bouillon)에게 이 작품을 헌정했으며, 그는 이 소설의 서문을 통해 아풀레이우스로부터 영감을 받았으며 (Métamorphoses d'Apulée. livre IV-VI)자신의 문체를 통해 당대의 문학적 흐름에 맞게 썼노라고 밝히고 있다. 먼저 이 작품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두 작품을 비교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한 결과물을 통해 라 퐁텐적인 글쓰기를 이해하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인물들의 구도 속에서 이 연구의 주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생각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또한 이 소설에 나타난 다양한 철학사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사상들이 라 퐁텐에 끼친 영향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가장 라 퐁텐적인 사상이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아풀레이우스와 라 퐁텐 작품 사이에는 공통의 등장인물들과 함께 라 퐁텐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인물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두 권으로 이루어진 이 소설의 첫 번째 이야기에 등장하는 les quatre amis와 프쉬케가 고행 중에 만난 le vieillard, 그리고 les petites-filles du vieillard, le peuple grec, les dieux들은 라 퐁텐에 의해 새롭게 등장하는 인물들로서 이러한 요소들은 이 작품이 단순히 아풀레이우스의 작품을 모방했다기보다는 라 퐁텐에 의해 극의 요소가 재구성되고, 재해석되어 새로운 작품으로 변모했음을 보여준다. 라 퐁텐은 이미 앞서 발표했던 『운문콩트집 Contes et nouvelles II』의 서문을 통해 이 같은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는데, 그는 자신의 작품이 원전에 예속되기를 거부하며, 단순한 번역이나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조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그가 속해 있던 시대의 문학적 환경이 이런 특별한 유행을 만들었음을 있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라 퐁텐이 속해 있던 시대의 정치, 사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러한 외부환경들이 작가 라 퐁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원전에서 삭제되고 첨부된 내용들이 라 퐁텐 작품에서 어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연구할 생각이다. 이 조사를 통해 우리는 라퐁텐 문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런 요인들이 라 퐁텐적인 사랑을 이해하는 주요 요소가 될 것이다. 다만 아풀레이우스와 라 퐁텐을 단순 비교하는 연구가 아닌 라 퐁텐적인 “사랑”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 여긴다.
      먼저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에 나타난 “사랑”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에 해당하는 ‘사랑의 장소’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사랑의 장소는 크게 동굴(la grotte), 침실(la chambre) 그리고 궁(le Palais 궁은 여기서 le jardin도 포함 함)으로 나타난다. 폐쇄적이고 은밀한 공간으로 등장하는 동굴과 침실, 그리고 열린 공간 속에서 사랑의 외형적 조건들에 해당하는 궁과 정원은 사랑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장소이다. 이 장소들은 사랑의 개념(la conception de l'amour)을 형성하는 특별한 외부조건이며, 환경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인물을 통해서 본 사랑의 양상이다. 각각의 주요 등장인물들을 통해 사랑의 개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먼저 프쉬케를 향한 프쉬케부모님의 사랑, 큐피드를 향한 프쉬케의 사랑, 프쉬케를 향한 큐피드의 사랑, 비너스가 바라 본 사랑(자기애를 포함), 프쉬케가 고행하며 만난 철학자 le vieillard가 생각하는 사랑 그리고 프쉬케의 두 언니에게 나타나는 사랑의 양상을 분석하면서 각각의 인물들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피노자 그리고 라퐁텐의 사랑은 무엇인지를 확대 연구할 계획이다. 이 인물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때로는 각각의 개체로, 때로는 공통분모로 다양한 사랑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라 퐁텐은 스스로를 '많은 것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폴리필(Polyphile)로 정했다. 우리는 그의 유일한 소설『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혹은 또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흥미로운 인물들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라 퐁텐적인 “사랑”의 정의를 통해 그가 추구하는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번역하기

      1669년 『아도니스(Adonis)』와 더불어 발표된 소설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은 이미 1668년 발표한 우화 제 6권의 에필로그를 통해 이듬해에 자신의 소설이 발표될 것임을 암시했었다. 라 퐁...

      1669년 『아도니스(Adonis)』와 더불어 발표된 소설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은 이미 1668년 발표한 우화 제 6권의 에필로그를 통해 이듬해에 자신의 소설이 발표될 것임을 암시했었다. 라 퐁텐은 자신의 후원자들 중 부이용 공작부인(la duchesse de Bouillon)에게 이 작품을 헌정했으며, 그는 이 소설의 서문을 통해 아풀레이우스로부터 영감을 받았으며 (Métamorphoses d'Apulée. livre IV-VI)자신의 문체를 통해 당대의 문학적 흐름에 맞게 썼노라고 밝히고 있다. 먼저 이 작품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두 작품을 비교가 선행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리고 그것을 토대로 한 결과물을 통해 라 퐁텐적인 글쓰기를 이해하고, 소설의 배경이 되는 장소와 인물들의 구도 속에서 이 연구의 주제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를 생각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는 또한 이 소설에 나타난 다양한 철학사상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그 사상들이 라 퐁텐에 끼친 영향은 무엇이고, 그것이 어떻게 가장 라 퐁텐적인 사상이 되었는지를 확인해야 할 것이다.
      아풀레이우스와 라 퐁텐 작품 사이에는 공통의 등장인물들과 함께 라 퐁텐에 의해 새롭게 창조된 인물들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두 권으로 이루어진 이 소설의 첫 번째 이야기에 등장하는 les quatre amis와 프쉬케가 고행 중에 만난 le vieillard, 그리고 les petites-filles du vieillard, le peuple grec, les dieux들은 라 퐁텐에 의해 새롭게 등장하는 인물들로서 이러한 요소들은 이 작품이 단순히 아풀레이우스의 작품을 모방했다기보다는 라 퐁텐에 의해 극의 요소가 재구성되고, 재해석되어 새로운 작품으로 변모했음을 보여준다. 라 퐁텐은 이미 앞서 발표했던 『운문콩트집 Contes et nouvelles II』의 서문을 통해 이 같은 자신의 입장을 밝히고 있는데, 그는 자신의 작품이 원전에 예속되기를 거부하며, 단순한 번역이나 모방이 아닌 새로운 창조에 무게를 두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그리고 그것은 또한 그가 속해 있던 시대의 문학적 환경이 이런 특별한 유행을 만들었음을 있었음을 설명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라 퐁텐이 속해 있던 시대의 정치, 사회에 대한 연구와 더불어 그러한 외부환경들이 작가 라 퐁텐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연구해 볼 것이다. 그리고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을 면밀히 살펴보고 원전에서 삭제되고 첨부된 내용들이 라 퐁텐 작품에서 어떤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지에 중점을 두고 연구할 생각이다. 이 조사를 통해 우리는 라퐁텐 문학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런 요인들이 라 퐁텐적인 사랑을 이해하는 주요 요소가 될 것이다. 다만 아풀레이우스와 라 퐁텐을 단순 비교하는 연구가 아닌 라 퐁텐적인 “사랑”이 무엇인지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라 여긴다.
      먼저 『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에 나타난 “사랑”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외부환경에 해당하는 ‘사랑의 장소’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사랑의 장소는 크게 동굴(la grotte), 침실(la chambre) 그리고 궁(le Palais 궁은 여기서 le jardin도 포함 함)으로 나타난다. 폐쇄적이고 은밀한 공간으로 등장하는 동굴과 침실, 그리고 열린 공간 속에서 사랑의 외형적 조건들에 해당하는 궁과 정원은 사랑의 행위가 이루어지는 중요한 장소이다. 이 장소들은 사랑의 개념(la conception de l'amour)을 형성하는 특별한 외부조건이며, 환경이 사랑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로는 인물을 통해서 본 사랑의 양상이다. 각각의 주요 등장인물들을 통해 사랑의 개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먼저 프쉬케를 향한 프쉬케부모님의 사랑, 큐피드를 향한 프쉬케의 사랑, 프쉬케를 향한 큐피드의 사랑, 비너스가 바라 본 사랑(자기애를 포함), 프쉬케가 고행하며 만난 철학자 le vieillard가 생각하는 사랑 그리고 프쉬케의 두 언니에게 나타나는 사랑의 양상을 분석하면서 각각의 인물들과 연결되어 나타나는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스피노자 그리고 라퐁텐의 사랑은 무엇인지를 확대 연구할 계획이다. 이 인물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때로는 각각의 개체로, 때로는 공통분모로 다양한 사랑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라 퐁텐은 스스로를 '많은 것을 사랑하는 사람'이라는 뜻을 지닌 폴리필(Polyphile)로 정했다. 우리는 그의 유일한 소설『프쉬케와 큐피드의 사랑』통해 다양한 각도에서, 혹은 또 다른 시각으로 바라볼 수 있는 흥미로운 인물들을 마주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라 퐁텐적인 “사랑”의 정의를 통해 그가 추구하는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게 될 것이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