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전쟁 이전 지리산 지역 유격대·유격전의 적대적 민족 타자화 = The ROK’ National Otherizing of Chiri-Mountain Partisans before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5993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48년 10월 하순 여수봉기에 이어진 지리산 지구의 유격전/토벌전은 한국전 쟁 발발 이전까지 남한 지역에서 전개된 전쟁 중 가장 중심적인 것이었다. 무력 전인 동시에 총력전의 개념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문화의 전쟁이었던 유격전/토 벌전에서 핵심적인 것은 호명 등을 통해 상대를 민족적으로 적대적 타자로 표상 하는 작업이었다.
      대한민국 지지 신문은 유격대·유격전을 때로는 직접, 또 때로는 간접적으로, 즉 조선민주주의공화국을 매개로 하여 러시아·소련과 연계(連繫)시켰다. 유격대· 유격전과 러시아·소련 연계 작업은 전자를 민족에 적대적인 타자로 표상해, 대 한민국의 토벌전 수행, 나아가 대한민국 자신의 존재를 민족적으로 정당화하면 서 자신을 민족적으로 주체화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와 같은 타자/주체 생산 작업에는 반제(反帝) 민족주의와 냉전 반공 주의가 결합한 ‘적색 제국주의’ 프레임이 개발·동원되었다. 이 점에서, 그 작업 은 해방 직후 형성된 ‘두 개의 한국’(two Koreas) 체제와 그것에 대한 반대라 는 당대 한국 역사의 전개와, 제2차 대전 종전 직후 민족국가의 세계적 확산과 세계의 냉전 진영화가 상호 경합하던 당대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번역하기

      1948년 10월 하순 여수봉기에 이어진 지리산 지구의 유격전/토벌전은 한국전 쟁 발발 이전까지 남한 지역에서 전개된 전쟁 중 가장 중심적인 것이었다. 무력 전인 동시에 총력전의 개념에 기...

      1948년 10월 하순 여수봉기에 이어진 지리산 지구의 유격전/토벌전은 한국전 쟁 발발 이전까지 남한 지역에서 전개된 전쟁 중 가장 중심적인 것이었다. 무력 전인 동시에 총력전의 개념에 기초해서 이루어진 문화의 전쟁이었던 유격전/토 벌전에서 핵심적인 것은 호명 등을 통해 상대를 민족적으로 적대적 타자로 표상 하는 작업이었다.
      대한민국 지지 신문은 유격대·유격전을 때로는 직접, 또 때로는 간접적으로, 즉 조선민주주의공화국을 매개로 하여 러시아·소련과 연계(連繫)시켰다. 유격대· 유격전과 러시아·소련 연계 작업은 전자를 민족에 적대적인 타자로 표상해, 대 한민국의 토벌전 수행, 나아가 대한민국 자신의 존재를 민족적으로 정당화하면 서 자신을 민족적으로 주체화하고자 한 것이었다.
      그런데, 그와 같은 타자/주체 생산 작업에는 반제(反帝) 민족주의와 냉전 반공 주의가 결합한 ‘적색 제국주의’ 프레임이 개발·동원되었다. 이 점에서, 그 작업 은 해방 직후 형성된 ‘두 개의 한국’(two Koreas) 체제와 그것에 대한 반대라 는 당대 한국 역사의 전개와, 제2차 대전 종전 직후 민족국가의 세계적 확산과 세계의 냉전 진영화가 상호 경합하던 당대 역사를 보여주는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uerilla warfare and counter-guerilla warfare in Chiri mountain followed the Yosun uprising in late October of 1948, both of which were waged in terms of Korean nationalism. They formed the main theater of the wars between the ROK and its opponent which continued in South Korea until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South Korean newspapers loyal to the ROK did the discursive works of representing Korean partisans and their guerilla warfare, relating them to the Soviet Union. The connection between two was meant to Otherize the former in terms of nationalism. At the same time, it was geared to legitimize the ROK’ existence and its warfare against the partisans in Chiri mountain in terms of nationalist cause, in other words, nationalize the ROK and its subjectivity.
      The discursive representation works exploited the contemporary political propaganda and agitation of ‘Red Imperialism of the Soviet Union’ which was framed upon modern ideologies of the anti-imperialistic nationalism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post-War era. In this sense, the works expressed both the post-Liberation Korean history and the post-War global one.
      번역하기

      The guerilla warfare and counter-guerilla warfare in Chiri mountain followed the Yosun uprising in late October of 1948, both of which were waged in terms of Korean nationalism. They formed the main theater of the wars between the ROK and its ...

      The guerilla warfare and counter-guerilla warfare in Chiri mountain followed the Yosun uprising in late October of 1948, both of which were waged in terms of Korean nationalism. They formed the main theater of the wars between the ROK and its opponent which continued in South Korea until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n 1950.
      South Korean newspapers loyal to the ROK did the discursive works of representing Korean partisans and their guerilla warfare, relating them to the Soviet Union. The connection between two was meant to Otherize the former in terms of nationalism. At the same time, it was geared to legitimize the ROK’ existence and its warfare against the partisans in Chiri mountain in terms of nationalist cause, in other words, nationalize the ROK and its subjectivity.
      The discursive representation works exploited the contemporary political propaganda and agitation of ‘Red Imperialism of the Soviet Union’ which was framed upon modern ideologies of the anti-imperialistic nationalism and the anti-communist ideology in the post-War era. In this sense, the works expressed both the post-Liberation Korean history and the post-War global on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