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업 융합 수단으로써의 디자인 이해를 위한 사고실험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9494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의 산업적 움직임을 일컬어 4차 산업 혁명기라고 한다. 사회적 지평으로써 이미 익숙한 용어이지만 아직 현재진행형이며 최초의 선언적 산업 변화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의 혁명적 산업 변화가 대표하는 농업, 대량 생산, 정보기술과 같은 핵심을 짚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으로 기술된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산업적 변화에 대하여 디자인은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현 시점에서 디자인과 산업과의 관계 그리고 이를 융합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의 이해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의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론에서 지금까지 산업의 근본 구조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역할과 인식 변화를 사고과정을 통해 정리하였다. 사고실험은 이렇게 정리된 내용이 담고 있는 문제점이나 한계를 공유하고 증명하는 것이다. 정리결과 디자인은 산업 변화에 대하여 융합 수단적 효용성을 통해 산업적 가치를 증명하는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산업환경에서의 디자인은 감각이며 감성적인 영역에 까지 논리적이며 이성적 영역으로 편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논하는 단계까지 와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의 태생적 특성과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논하기 위해 산업 변화와 디자인의 관계를 변증법적으로 사고하고 이에 근거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법론과 해석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형성해 나가는 데 기초적인 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현재의 산업적 움직임을 일컬어 4차 산업 혁명기라고 한다. 사회적 지평으로써 이미 익숙한 용어이지만 아직 현재진행형이며 최초의 선언적 산업 변화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의 혁명적 ...

      현재의 산업적 움직임을 일컬어 4차 산업 혁명기라고 한다. 사회적 지평으로써 이미 익숙한 용어이지만 아직 현재진행형이며 최초의 선언적 산업 변화기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전의 혁명적 산업 변화가 대표하는 농업, 대량 생산, 정보기술과 같은 핵심을 짚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으로 기술된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산업적 변화에 대하여 디자인은 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이해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으며 현 시점에서 디자인과 산업과의 관계 그리고 이를 융합할 수 있는 수단으로써의 이해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서이다.
      이를 위하여 서론에서의 연구 배경을 바탕으로 본론에서 지금까지 산업의 근본 구조 변화에 따른 디자인의 역할과 인식 변화를 사고과정을 통해 정리하였다. 사고실험은 이렇게 정리된 내용이 담고 있는 문제점이나 한계를 공유하고 증명하는 것이다. 정리결과 디자인은 산업 변화에 대하여 융합 수단적 효용성을 통해 산업적 가치를 증명하는 측면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산업환경에서의 디자인은 감각이며 감성적인 영역에 까지 논리적이며 이성적 영역으로 편입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논하는 단계까지 와있다는 점이다. 둘째, 이러한 현상은 디자인의 태생적 특성과 배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를 논하기 위해 산업 변화와 디자인의 관계를 변증법적으로 사고하고 이에 근거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법론과 해석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형성해 나가는 데 기초적인 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urrent industrial movement is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As a social horizon, it is a familiar term, but it is still in progress and is the first declarative industrial change. That is why it is impossible to point out the cores of agriculture, mass produc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represented by previous revolutionary industrial chan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described in this paper stems from the question of how design should recognize and understand this industrial change. This is to provide a standard.
      To this end, based on the research background in the introduction, the role of design and the change of percep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industry have been summarized through the thought process. Thinking experiments are to share and prove the problems or limitations contained in this summary. As a result of the theorem, it was found that design has the aspect of proving industrial value through the convergence and utility of industrial chang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in the current industrial environment has reached the stage of discussing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logical and rational domain even in the sense and emotional domain. Second, since this phenomenon is contrary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a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is needed. To discuss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change and design was considered dialectically, and results based on thi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basic basis for forming a new horizon for design methodology and interpretation.
      번역하기

      The current industrial movement is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As a social horizon, it is a familiar term, but it is still in progress and is the first declarative industrial change. That is why it is impossible to point out the co...

      The current industrial movement is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period. As a social horizon, it is a familiar term, but it is still in progress and is the first declarative industrial change. That is why it is impossible to point out the cores of agriculture, mass produc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as represented by previous revolutionary industrial chang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described in this paper stems from the question of how design should recognize and understand this industrial change. This is to provide a standard.
      To this end, based on the research background in the introduction, the role of design and the change of perception according to changes in the fundamental structure of the industry have been summarized through the thought process. Thinking experiments are to share and prove the problems or limitations contained in this summary. As a result of the theorem, it was found that design has the aspect of proving industrial value through the convergence and utility of industrial change.
      The results and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esign in the current industrial environment has reached the stage of discussing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logical and rational domain even in the sense and emotional domain. Second, since this phenomenon is contrary to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design, a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is needed. To discuss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strial change and design was considered dialectically, and results based on thi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a basic basis for forming a new horizon for design methodology and interpret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I. 연구목적 및 범위
      • Ⅱ. 사고실험 과정
      • Ⅲ. 사고실험 과정 및 결과
      • Abstract
      • 국문초록
      • I. 연구목적 및 범위
      • Ⅱ. 사고실험 과정
      • Ⅲ. 사고실험 과정 및 결과
      • IV 결론 및 향후 연구
      • Refer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소현, "세대별 개인재무관리 관련 태도 및 행동 분석: N, X, 베이비부머,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7 (7): 123-146, 2011

      2 Jung Si-Hwa, "Industrial Design 150 years" mijinsa 2003

      3 이재익,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융합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3 (3): 147-155, 2018

      1 주소현, "세대별 개인재무관리 관련 태도 및 행동 분석: N, X, 베이비부머, 전쟁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7 (7): 123-146, 2011

      2 Jung Si-Hwa, "Industrial Design 150 years" mijinsa 2003

      3 이재익, "4차 산업혁명과 디자인융합 연구"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3 (3): 147-155,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4-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KCI등재
      2019-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과학예술포럼 ->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외국어명 : Korea Science & Art Forum -> Korean Society of Art & Desig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Science & Art Forum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707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