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말라르메의 실험적 조형성과 알레고리에 관한 연구 = The Research on Allegory and experimental formativeness of Mallarm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4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odern designs of the 20th century, various experiments were done and attempts made with texts, based on innovative expressions that undermine the traditional formats of typography. Especially, Stephane Mallarme expanded the realm of interpretation, by regarding experimental formativeness of text as free expressions, visualization of auditory sense and simultaneity: by viewing the print space as space. He also pursued experimental designs, destroying the cliches of traditional type printing in expressing visual play.
      This gave birth to new expressions in image and texts their expressions that emphasize the formability through destruction of sentences, phrases, and print space structure are attempts to compactly convey messages by combining pieces of images. I intend to propose that such expressions become a more persuasive communication, being figurative expressions like ‘expressing differently,’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allegory.
      In this study, I looked experimental formative factor by formativeness of Image and Text in <Coup de Dės> of Mallarme and reinterpreted to allegory concept of modern deconstruction symbol idea. This grasped allegory's role and the present meaning of Mallarme.
      Therefore, I knew that experimental formativeness in <Coup de Dės> of Mallarme was the mother-body of kinetic Typography in modern multimedia environment today. Also this is deconstruction's allegory concept which I can see that mean amplification of design area to understand and depersonalizes in wide inside measurement that present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is more persuasion.
      번역하기

      In modern designs of the 20th century, various experiments were done and attempts made with texts, based on innovative expressions that undermine the traditional formats of typography. Especially, Stephane Mallarme expanded the realm of interpretation...

      In modern designs of the 20th century, various experiments were done and attempts made with texts, based on innovative expressions that undermine the traditional formats of typography. Especially, Stephane Mallarme expanded the realm of interpretation, by regarding experimental formativeness of text as free expressions, visualization of auditory sense and simultaneity: by viewing the print space as space. He also pursued experimental designs, destroying the cliches of traditional type printing in expressing visual play.
      This gave birth to new expressions in image and texts their expressions that emphasize the formability through destruction of sentences, phrases, and print space structure are attempts to compactly convey messages by combining pieces of images. I intend to propose that such expressions become a more persuasive communication, being figurative expressions like ‘expressing differently,’ which is the basic concept of allegory.
      In this study, I looked experimental formative factor by formativeness of Image and Text in <Coup de Dės> of Mallarme and reinterpreted to allegory concept of modern deconstruction symbol idea. This grasped allegory's role and the present meaning of Mallarme.
      Therefore, I knew that experimental formativeness in <Coup de Dės> of Mallarme was the mother-body of kinetic Typography in modern multimedia environment today. Also this is deconstruction's allegory concept which I can see that mean amplification of design area to understand and depersonalizes in wide inside measurement that present method of communication that is more persuas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세기 모던 디자인에서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 양식의 틀을 깨고 획기적인 표현 양식으로 텍스트의 다양한 실험과 시도가 나타났다. 특히 말라르메(Stephane Mallarme)는 전통적인 활판인쇄 방식을 파괴하고 텍스트의 자유로운 배치 및 텍스트의 무게를 억양이나 낭독할 때의 중요성, 리듬 등과 관련시켰다. 또한 지면을 공간으로 확대 해석하여 시공간으로 그리고 시각적 유희를 표현하면서 전통적 활판 인쇄 방식을 파괴한 실험적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이는 타이포그래피 표현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표현의 탄생을 불러왔고 지면구성, 구문의 파괴, 문장의 해체를 통한 조형성을 강조한 표현은 이미지 조각들의 조합에 의해 메시지를 집약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즉 이러한 표현은 알레고리의 기본 개념인 ‘다르게 말하기’와 같은 비유적 수사어법으로 보다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이 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말라르메의 <던져진 주사위>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형성을 통해 실험적 조형 인자를 찾고 이러한 실험성을 현대 해체주의적 기호관념의 알레고리 개념으로 재해석하였다. 이로써 말라르메의 그 현재적 의미와 알레고리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던져진 주사위>에서 실험적 조형성은 오늘날 현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모체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는 해체주의 알레고리 개념으로 보다 설득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제시한 넓은 안목에서 이해하고 객관화하려는 디자인 영역의 증폭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번역하기

      20세기 모던 디자인에서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 양식의 틀을 깨고 획기적인 표현 양식으로 텍스트의 다양한 실험과 시도가 나타났다. 특히 말라르메(Stephane Mallarme)는 전통적인 활판인쇄 방...

      20세기 모던 디자인에서 전통적인 타이포그래피 양식의 틀을 깨고 획기적인 표현 양식으로 텍스트의 다양한 실험과 시도가 나타났다. 특히 말라르메(Stephane Mallarme)는 전통적인 활판인쇄 방식을 파괴하고 텍스트의 자유로운 배치 및 텍스트의 무게를 억양이나 낭독할 때의 중요성, 리듬 등과 관련시켰다. 또한 지면을 공간으로 확대 해석하여 시공간으로 그리고 시각적 유희를 표현하면서 전통적 활판 인쇄 방식을 파괴한 실험적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이는 타이포그래피 표현 방법에 있어서 새로운 표현의 탄생을 불러왔고 지면구성, 구문의 파괴, 문장의 해체를 통한 조형성을 강조한 표현은 이미지 조각들의 조합에 의해 메시지를 집약적으로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즉 이러한 표현은 알레고리의 기본 개념인 ‘다르게 말하기’와 같은 비유적 수사어법으로 보다 설득적 커뮤니케이션이 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말라르메의 <던져진 주사위>에서 이미지와 텍스트의 조형성을 통해 실험적 조형 인자를 찾고 이러한 실험성을 현대 해체주의적 기호관념의 알레고리 개념으로 재해석하였다. 이로써 말라르메의 그 현재적 의미와 알레고리의 역할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말라르메의 <던져진 주사위>에서 실험적 조형성은 오늘날 현대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모체가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는 해체주의 알레고리 개념으로 보다 설득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방법을 제시한 넓은 안목에서 이해하고 객관화하려는 디자인 영역의 증폭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암종, "화엄일승법계도와 해체시" 1992

      2 문철,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의 알레고리 역할에 관한" 단국대학교 2004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정유경,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9

      5 오세권, "텍스트 해석을 통한 후기모더니즘 미술의 비평적 접근" 홍익대학교 2004

      6 최태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 있어서 상징과 알레고리" 45 : 1997

      7 이재영,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 어울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3

      8 송숙영, "이미지-텍스트 관계에서 본 동아시아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적 성격" 홍익대학교 2000

      9 유평근, "이미지" 살림 2002

      10 김지현, "의미의 타이포그래픽 전환" 한성대학교 논문집 1994

      1 박암종, "화엄일승법계도와 해체시" 1992

      2 문철,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의 알레고리 역할에 관한" 단국대학교 2004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정유경,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9

      5 오세권, "텍스트 해석을 통한 후기모더니즘 미술의 비평적 접근" 홍익대학교 2004

      6 최태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 있어서 상징과 알레고리" 45 : 1997

      7 이재영,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 어울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3

      8 송숙영, "이미지-텍스트 관계에서 본 동아시아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적 성격" 홍익대학교 2000

      9 유평근, "이미지" 살림 2002

      10 김지현, "의미의 타이포그래픽 전환" 한성대학교 논문집 1994

      11 이윤경, "유희자극을 주는 해체적 타이포그라피에 관한 표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12 강현주, "영상 이미지 교환으로서의 디자인 수사학" 1999

      13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대출판부 1989

      14 세르게이 에이젠쉬타인, "몽타주 이론, 변증법적 영화예술론" 예건사 1990

      15 나가오 마코토, "멀티미디어 정보학의 기초" 국학술정보 2000

      16 김영효,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9

      17 필립 B. 맥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디자인하우스

      18 김민정, "‘알레고리’의 관점으로 본 해체적 실험성과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7

      19 David S. Kaufer, "Rhetoric and the Arts of Design" LEA 1996

      20 권정임, "F.W.J. 쉘링의 예술규정에 관한 비교예술론적 고찰:텍스트와 형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18 : 77-114, 2003

      21 카시와기 히로시, "20세기의 디자인" 조형교육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