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암종, "화엄일승법계도와 해체시" 1992
2 문철,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의 알레고리 역할에 관한" 단국대학교 2004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정유경,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9
5 오세권, "텍스트 해석을 통한 후기모더니즘 미술의 비평적 접근" 홍익대학교 2004
6 최태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 있어서 상징과 알레고리" 45 : 1997
7 이재영,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 어울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3
8 송숙영, "이미지-텍스트 관계에서 본 동아시아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적 성격" 홍익대학교 2000
9 유평근, "이미지" 살림 2002
10 김지현, "의미의 타이포그래픽 전환" 한성대학교 논문집 1994
1 박암종, "화엄일승법계도와 해체시" 1992
2 문철, "현대 일러스트레이션의 알레고리 역할에 관한" 단국대학교 2004
3 김상환, "해체론 시대의 철학" 문학과 지성사 1996
4 정유경, "한글 타이포그래피에 나타나는 해체주의적 표현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1999
5 오세권, "텍스트 해석을 통한 후기모더니즘 미술의 비평적 접근" 홍익대학교 2004
6 최태만, "이탈리아 르네상스 회화에 있어서 상징과 알레고리" 45 : 1997
7 이재영, "이미지와 텍스트의 대위법적 어울림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2003
8 송숙영, "이미지-텍스트 관계에서 본 동아시아 타이포그래피의 기호적 성격" 홍익대학교 2000
9 유평근, "이미지" 살림 2002
10 김지현, "의미의 타이포그래픽 전환" 한성대학교 논문집 1994
11 이윤경, "유희자극을 주는 해체적 타이포그라피에 관한 표현연구" 이화여자대학교 1999
12 강현주, "영상 이미지 교환으로서의 디자인 수사학" 1999
13 차배근,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 서울대출판부 1989
14 세르게이 에이젠쉬타인, "몽타주 이론, 변증법적 영화예술론" 예건사 1990
15 나가오 마코토, "멀티미디어 정보학의 기초" 국학술정보 2000
16 김영효, "데리다의 해체철학" 민음사 1999
17 필립 B. 맥스, "그래픽디자인의 역사" 디자인하우스
18 김민정, "‘알레고리’의 관점으로 본 해체적 실험성과 해체 디자인 ‘형상언어’에 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7
19 David S. Kaufer, "Rhetoric and the Arts of Design" LEA 1996
20 권정임, "F.W.J. 쉘링의 예술규정에 관한 비교예술론적 고찰:텍스트와 형상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한국미학예술학회 18 : 77-114, 2003
21 카시와기 히로시, "20세기의 디자인" 조형교육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