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위 접속문(coordination)은 Chomsky(1957) 이후 자연언어(natural language)의 특성 중 하나인 무한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Ross(1967)에서 그 분석법을 제시하여 각광을 받은 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55700
-
2005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등위 접속문(coordination)은 Chomsky(1957) 이후 자연언어(natural language)의 특성 중 하나인 무한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Ross(1967)에서 그 분석법을 제시하여 각광을 받은 바 ...
등위 접속문(coordination)은 Chomsky(1957) 이후 자연언어(natural language)의 특성 중 하나인 무한성을 보여주는 자료로 많은 관심의 대상이었으며 Ross(1967)에서 그 분석법을 제시하여 각광을 받은 바 있다. 즉 Chomsky는 등위문은 ‘Johnny likes Marcia and Marcia likes Johnny’처럼 동일한 문법 요소 간에 연결되는 구문으로 어떠한 요소도 접속구에서 이동할 수 없다고 정의했으나, ‘Marcia, Johnny likes _____ but Lee hates ______’와 같은 문장 또한 가능하여 Chomsky의 정의에 결국 문제가 생겼다. 이에 Ross 는 ATB 현상이라는 새로운 정의로 설명을 시도하여 문제가 해결된 듯 했다. 그러나 Lakoff(1986)가 새로이 ‘Which whisky did Johnny go to the store and buy ______ ’와 같은 예문으로 Ross(1967) 분석법의 문제점을 들고 나옴으로써 재차 영어학계에서 난제로 등장하기에 이르렀다.
영어의 예와 유사하게, 한국어 등위 접속문의 경우 역시 Yoon(1993, 1997)과 Cho(1995)등에서 Yi(1994) 와 Kim(1995)의 부가문 분석법을 배격하고 새로운 등위문 분석법을 제시하여 한국어에 관한 한 정설을 세운 것으로 믿어졌다. 그러나 이 이론 역시 Chung(2001)에서 등위문내의 비시제구의 시제해석에 관한 이견을 제시함으로써 또다시 난제로 남아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과제는 그간의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세가지의 한국어 접속문에 관한 의문점에 해답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 한국어의 시제접속문과 비시제동사구 등위접속문간의 기능적, 구조적, 의미적 차이는 무엇인가 (나) J. H.-S. Yoon(1993,1997), Cho(1995), J.-M.Yoon(1996), K.-Y. Choi(2003) 등에서 제시한 바 있는 시제등위구문과 비시제등위구문에서 차이를 보이는 1)쉼의 유무, 2)뒤섞기의 양상, 3)삭제 테스트가 어떻게 체계적으로 설명되어질 수 있는가 (다) Chung(2001)에서 제시한 비시제 동사구문내의 시제해석의 비대칭성을 어떻게 추가적 장치 없이 설명 해 낼 수 있는가 상기한 3가지의 언어학적 논제는 한국어의 접속구문에 관한 많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심도 있게 논의되고 점검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Cho (1995)를 기반으로 한국어의 비시제 동사구 등위문을 중의적 구조로 파악하고, 부가문의 구조를 갖는 경우에 추출을 허용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은 (가)의 논제에 답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가문의 분표행태와 동일성을 보임으로써 (나)에 관한 답변을 추가 장치 없이 제공하게 해 준다. 더불어, Chung (2001)에서 제시한 시제 해석의 비대칭성 의미를 ‘-고’의 시제 값을 미명세화하고 명세화된 시간 부사의 값을 우선하게 함으로써 도출하게 되는 것을 보이며 이는 곧 (다)에 관한 답이 된다.
본 연구과제의 목표는 한국어와 영어를 포함한 자연언어의 등위구문에 관한 일반특성을 규명하고 이로부터 상기한 3가지의 논제들에 관한 해답이 자연스럽게 도출될 수 있는 한국어 접속문에 관한 보다 보편타당한 이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의 달성을 위하여 경험적으로는 한정된 언어 데이터의 틀을 벗어나서 광범위한 자료 수집과 수집된 데이터의 새로운 재해석을 통하여 새로운 해석 및 이해를 창출하고, 이론적으로는 그 연구방법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행해오던 문장 구조적 접근법에 국한하지 않고 언어학의 제반 분야를 상호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새로운 제약 기반적 접근법으로 설명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등위 접속문에 관한 업적은 향후 자연언어의 등위 접속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akoff (1986) argues that the Across-The-Board (ATB) constraint on extraction from coordinate structures of Ross (1967) is not a syntactic constraint but a semantic or pragmatic one, since ATB violations occur when conjuncts are interpreted sequential...
Lakoff (1986) argues that the Across-The-Board (ATB) constraint on extraction from coordinate structures of Ross (1967) is not a syntactic constraint but a semantic or pragmatic one, since ATB violations occur when conjuncts are interpreted sequentially, as in (1a) and (1b). However, Lakoff's (1986) claim that the sequential reading alone suffices to sanction ATB violations cannot be supported in Korean verbal coordination of Tensed Phrases (TP), where all conjuncts contain tense inflection. As in (2), extraction from the conjunction of TP in Korean is not possible regardless of whether the conjuncts are interpreted sequentially or non-sequentially. However, as in (3), ATB violations are allowed in the coordination of Non-Tensed Phrases (NTP), where the non-final conjuncts lack tense inflection, so that the suffix, -ko, is directly attached to the verbal root, only when the conjucts are interpreted sequentially.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the NTPs in (3) may be either conjuncts or adjuncts. That is, V-ko marks either a conjunct phrase in a coordinate structure (i.e. -ko2) or an adjunct phrase meaning 'after', 'nonetheless, or 'cause and effect' (i.c. -ko1), as in (4). To support the claim that NTPs in coordination are ambiguous between a conjunct and adjunct analysis, I provide a 3-part argument, which shows us that unlike V-ko2, the sequence V-ko1 and V-kose exhibit similar linguistic behaviors as in (5-7). Based on this, I claim that extraction is possible only when a NTP instantiates a head-adjunct structure, but not when it is a coordinate structure.
To implement these ideas above into HPSG(2003), I provide two (symmetric and asymmetric) coordination rules for Korean as in (8) and propose a few predications such as and-then, nonetheless, and cause & effect for the classification of -ko in (4). This enables us to account for the ATB and the CSC in Korean verbal coordination. Furthermore, a claim made here is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sequential and non-sequential reading in the NTP coordination is a distinction made by syntax, while the sequential vs. non-sequential reading in the TP coordination is derived from semantics or pragmatics. Since ATB violation is attested only when the NTPs instantiate a head-adjunct structure, we can maintain the claim that the ATB holds as a syntactic constraint in Korean. In conclusion, I will suggest that if the analysis by Postal(1998) is correct, the linguistic behaviors of the NTP coordination in Korean are strikingly similar to those of verbal coordination in Engli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