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문 요약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23148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1-56(26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우, "초?중등 교육정보화 지표개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107-134, 2002
2 손병길, "초・중등학교 및 시・도교육청의 정보화 지표 및 평가체제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0
3 박인우, "초・중등 교육정보화 지표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4 송재복, "지역간 낙후도 연구: 낙후도지표개발 및 지수산출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5 (15): 33-56, 2005
5 류방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분석 및 격차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6 이원섭, "지방 육성을 위한 국가지원의 차등화방안" 국토연구원 2002
7 이재운, "정보통신윤리지수 모델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 (10): 19-29, 2007
8 김해동,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9 김혜숙(金惠淑), "이해당사자 기반의 u-러닝 연구학교 프로그램 평가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343-368, 2009
10 "영국정보기술원(BECTa) 홈페이지 http://www.becta.org.uk"
1 박인우, "초?중등 교육정보화 지표개발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8 (8): 107-134, 2002
2 손병길, "초・중등학교 및 시・도교육청의 정보화 지표 및 평가체제 개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0
3 박인우, "초・중등 교육정보화 지표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1
4 송재복, "지역간 낙후도 연구: 낙후도지표개발 및 지수산출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15 (15): 33-56, 2005
5 류방란, "지역간 교육격차 실태 분석 및 격차 지수 개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6 이원섭, "지방 육성을 위한 국가지원의 차등화방안" 국토연구원 2002
7 이재운, "정보통신윤리지수 모델 개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0 (10): 19-29, 2007
8 김해동, "인적자원개발지표 및 지수"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9 김혜숙(金惠淑), "이해당사자 기반의 u-러닝 연구학교 프로그램 평가 연구"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343-368, 2009
10 "영국정보기술원(BECTa) 홈페이지 http://www.becta.org.uk"
11 김혜숙(金惠淑), "성과측정중심의 교육정책평가: 교육정보화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8 (8): 67-89, 2007
12 이준구, "미시경제학" 법문사 1998
13 이종성, "델파이 방법(연구방법21)" 교육과학사 2001
14 백순근, "단위학교 교육정보화 성과분석을 위한 자가진단지표 개발 연구" 교육연구소 9 (9): 1-25, 2008
15 임천순, "국가 교육정보화 사업의 성과 및 발전 전략"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5
16 이석재, "교육정보화수준 평가지표 연구" 한국전산원 2001
17 허운나, "교육정보화 평가지표 개발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998
18 하연섭, "교육정보화 재정 투입 현황 분석 및 개선 방향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19 이광현, "교육격차지수 개발 연구: 방법론 검토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1-24, 2007
20 이동규, "계층화분석과정에 의한 평가지수표 가중치 산정: 사학기관의 재무비율을 중심으로" 2 : 77-105, 2001
21 조근태, "계층분석적 의사결정" 동현출판사 2003
22 한선관, "u-러닝 효과성 분석 및 u-러닝 운영모델 개발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23 BECTa, "What is the self-review framework?" BECTa 2007
24 Satty,T.L,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McGraw-Hill, Inc 1980
25 OECD, "PISA 2006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questionnaire"
26 OECD, "PISA 2003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questionnaire"
27 UNDP, "Human development report 2004" UNDP 2004
28 OECD, "Education indicator: education at a glance.(2001 Edition)" OECD 2001
29 Economist Intelligence Unit, "E-readiness rankings 2009: the usage imperative" EIU 2009
30 Levin,H.M, "Cost-effectiveness and educational policy" 10(1),51-69 1988
31 UNESCO Institute for Statistics,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operational manual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statistics in education: a UIS reference guidebook" UIS 2009
32 Scheuermann,F, "Conceptual framework for studying the effects of ICT in education" 2009
33 Severine,E, "Case of the IADB initiative for ICT in education indicators" 2009
34 OECD, "Are students ready for a technology-rich world? what pisa studies tell us" OECD 2007
35 Satty, T. L, "A new approach to performance measurement -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13 (13): 64-72, 1979
36 김형주, "2006년도 초․중등학교 교육정보화 수준측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37 교육인적자원부, "2000년 교육정보화 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0
최고 수준 전문가와 보통 수준 전문가의 특성 비교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4 | 2.14 | 2.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8 | 2.09 | 2.591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