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ur research pro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face culture in Korean infants and adul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xplored Korean’s moral understanding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social psychol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7548
-
2016년
Korean
도덕성 ; community ; morality ; development ; face culture ; brain imaging ; honesty ; altruism ; fairness ; longitudinal study ; cross-sectional study ; cross-cultural study ; 이타성 ; 공평성 ; 정직성 ; 사회심리학 ; 뇌공학 ; 발달심리학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research pro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face culture in Korean infants and adul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xplored Korean’s moral understanding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social psycholo...
Our research proj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orality and face culture in Korean infants and adul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explored Korean’s moral understanding and behaviors through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social psychology, neuroscience and developmental psychology. Key questions include: How does Korean culture characterized as face-culture affect Korean’s moral behaviors (social psychology)? What is the underpinning neural mechanism of Korean’s moral judgments and behaviors (neuroscience)? Do young infants and children possess an understanding about morality (development psychology)?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experiments in social psychology found that Korean people behave more honestly and prosocially in public where their reputation can be damaged than in anonymity. Second, neuroscience experiments found that unique brain regions and hormones are related to the process in which Korean’s moral behaviors are influenced by in-group favoritism and cares for reputation. Third, developmental psychology experiments found that even young children are sensitive to some basic concepts of morality such as altruism and fairness. We also established the foundation for a longitudinal study examining the role of parental care and individual difference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주제는 “한국인의 도덕성과 체면 문화, 그 관계의 시작과 완성에 대한 학제적 접근”으로, 한국인의 도덕성을 사회심리학, 뇌공학, 발달심리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주제는 “한국인의 도덕성과 체면 문화, 그 관계의 시작과 완성에 대한 학제적 접근”으로, 한국인의 도덕성을 사회심리학, 뇌공학, 발달심리학의 통합적 접근을 통해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체면 문화와 같은 한국 문화가 한국인의 도덕적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사회심리학)? 한국인의 도덕적 판단과 행위의 신경학적 기제는 무엇인가(뇌공학)? 한국 영아 및 아동들도 도덕성에 대한 이해를 가지고 있는가(발달심리학)?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심리학 연구 결과, 한국인은 익명성이 보장된 상황보다 체면 손상의 위험이 있는 경우에서 정직함을 지키고 이타적으로 행동하고자 하였다. 둘째, 뇌공학 연구는 특정 뇌 부위나 호르몬이 한국인의 공적인 상황이나 내집단 상황에서의 도덕적 행동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밝혔다. 셋째, 발달심리학 연구 결과, 어린 아동들도 공평성과 같은 도덕성에 대한 민감성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부모의 양육 태도나 아동의 개인차 등이 아동의 이타성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한 장기종단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인의 도덕성의 심리학적, 신경학적, 그리고 발달적 과정을 연구함으로써, 한국의 도덕적 위기의 극복 방안을 찾아내는 데에 기여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