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랑방 유우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282631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未來文化社, 1984

      • 발행연도

        198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817

      • DDC

        895.772

      • 자료형태

        단행본(다권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사랑방 유우머 / 未來文化社 編譯.

      • 형태사항

        293 p. ; 22 cm.

      • 총서사항

        한국인의 익살 ; 1

      • 소장기관
        • 경기대학교 중앙도서관(수원캠퍼스) 소장기관정보
        • 경상국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대학교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대구한의대학교 향산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덕성여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학술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동서대학교 민석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배재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부산외국어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명엽지해(蓂葉志諧) 흥만종편
      • 승방에 떨여진 한오라기 털(沈毛分酌) = 10
      • 뭐니뭐니 해도 치마끈 푸는 소리가 제일(喜聽裙聲) = 11
      • 네사람 생각이 꼭 같구만(一般意思) = 12
      • 목차
      • 명엽지해(蓂葉志諧) 흥만종편
      • 승방에 떨여진 한오라기 털(沈毛分酌) = 10
      • 뭐니뭐니 해도 치마끈 푸는 소리가 제일(喜聽裙聲) = 11
      • 네사람 생각이 꼭 같구만(一般意思) = 12
      • 얼굴에서 기름과 꿀을 딴다(面取油蜜) = 13
      • 농속의 알몸 감사(妓籠藏伯) = 14
      • 세 딸의 태수놀이(撤訟落梯) = 17
      • 주두나무 궤요(擇壻) = 20
      • 물고 도 물고(長談娶妻) = 20
      • 콩죽을 머리에 쓴 시아버지(勇婦竊粥) = 23
      • 그 딸에 그 사위(改數庇婦) = 24
      • 인색할 게 따로 있지(광심取墨) = 25
      • 재상 마누라의 질투(講奏止妬) = 26
      • 내떡도 먹어라(說夢飽餠) = 28
      • 자셔보아야 잡수시는 거지요(열杖覆麵) = 29
      • 중대신 형리가 묶여간다(조換押吏) = 30
      • 아! 내겐 누이가 없구나(無味哭計) = 31
      • 사또 이마에 벌레라(對答撫額) = 32
      • 소가죽을 쓴 태수(牛皮蒙面) = 33
      • 표주박 거지(好古破産) = 34
      • 신부와 방귀(放비爭賞) = 35
      • 다리를 들었더니 다리가 없대요(疑婦無脚) = 36
      • 능숙한걸 보면 안다(替郞熱手) = 36
      • 가마밑을 비웃는 솥(婦說古談) = 37
      • 얘야 몸을 튕겨라(姑責飜身) = 39
      • 부엉이와 부사(氓作휴鳴) = 39
      • 색맹의 그림감정(掛瀑認布) = 40
      • 바둑 광(狂)(전奕傷心) = 41
      • 고양이 두두머리 벼슬(隨水赴衙) = 42
      • 암캐되고 싶소(蒙學强敎) = 44
      • 선비는 옥(玉)을 떼지 않는다(文以禮經) = 47
      • 귀신을 보는 소년(粉鬼取妻) = 47
      • 감추기 어려운 물건(難匿赤婢) = 49
      • 너무 짜다(呼조止○鹹) = 50
      • 네 번 붙었습니다(請加四吹) = 50
      • 바귀가 굴러가는 이치(輪行時合) = 51
      • 술과 콩죽(不較酒粥) = 51
      • 너는 옷입만 가지고 중하다 하느냐(做談止因) = 52
      •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
      • 허생원의 잔꾀(謫計奸怒) = 56
      • 세 가지 치하(順興三賀) = 58
      • 아내에게 매맞는 허생(被撻室人) = 59
      • 금도란 무엇이냐(梅香襟度) = 59
      • 임신한 내시의 아내(原題潛私有娠) = 60
      • 창구멍으로 도망친 유씨(踰窓而走) = 61
      • 파수록(把睡錄)편
      • 겁쟁이의 궤변(良妻無信) = 64
      • 열매는 먹지 않는다(狹氣有辛) = 65
      • 스님과 닭둥우리(空失衣鉢) = 68
      • 오승오승 오오승(人事不省) = 69
      • 짐승도 싫어하는 말(老拘靈聞) = 69
      • 그날의 스님 오늘의 영감(興○問寢) = 71
      • 빈부의 거리(勸善懲惡) = 72
      • 허상(虛相)과 실상(實相)(相師所誤) = 74
      • 바람에 나는 겨(果如師言) = 75
      • 갈곳에 가셨습니다(父母之過) = 76
      • 보이지 않는 인연줄(歸路得子) = 77
      • 세 번 했습니다(三次爲之) = 78
      • 개발에 가죽신(可用文字) = 79
      • 호랑이는 알고 있다(至孝知虎) = 81
      • 촌담해이(村談解이)編
      • 아까운 흰 죽(稱醫取膿) = 86
      • 코 크다고 속지 말라(鼻勝於障) = 87
      • 어리석은 놈도 속은 더 음흉하다(痴奴護妾) = 88
      • 깨무는 입(鼠入其穴) = 90
      • 이서방의 깨진 꿈(牧丹奪財) = 91
      • 어면순(禦眠楯)편
      • 아들 오형제(五子父嘲) = 96
      • 바람아 불어라(淫婆祝風) = 99
      • 칼로 베도 뿌리는 남아(절妻광夫) = 99
      • 진흙새 울음소리(鳥鳴兒寒) = 100
      • 귀머거리도 죄다(鹽商觸聾) = 101
      • 인연은 묵어서 맺는다(結婚姻) = 102
      • 복있는 방귀(新婦多福) = 103
      • 노래로 죄를 씻다(太守舞哭) = 104
      • 도학자의 도행(道行)(衣冠子第) = 105
      • 웃으게 소리(齒腕成媒) = 105
      • 손가락 냄새(莖脂異味) = 107
      • 개소리를 내는 선비(般般犬) = 108
      • 학질 떼는 남자(校生己학) = 109
      • 지혜도 갖가지(雄霹靂) = 110
      • 자라목을 던지는 벼슬아치(斫鼈頭) = 111
      • 신의를 어겨도 같이 매맞는다(合馬訴) = 112
      • 호랑이도 놀랠 일이 있다(虎劫態毛) = 113
      • 말종을 좋아하는 감찰(虎劫態毛) = 115
      • 말 흉내 내는 종 내외(竊婢逐盜) = 119
      • 불에 데인 말의 물건(村奴馬호) = 117
      • 감사의 양물(官奴태監司) = 118
      • 더러움도 향기로다(求醉增奸) = 120
      • 돼지가 눈을 흘기는데(馬豕切族) = 121
      • 지난 것 다 허사(紀杏辨客) = 122
      • 누가 공경하랬어?(妻不欲尊) = 123
      • 붓을 잡았으니(韓生秉筆) = 123
      • 먼저 배워도 나중에 써야(虛女先習) = 125
      • 솥을 인 여자(角釜跡盜) = 126
      • 무당의 지조(衙坐각守) = 128
      • 진흙 밟는 소리(無敵耘田) = 130
      • 들어갔다 그냥 나와도 도둑(公子忌月) = 131
      • 뽕따러 가는 과부(寡女樂癡漢) = 132
      • 뽕도 따고 임도 보고(非指村) = 133
      • 새 울음 소리(元日聽禽) = 135
      • 숟가락 부르는 소리(女尿呼匙) = 136
      • 성수패설(腥睡稗說)편
      • 부채질하는 장주(莊周)의 아내(能生能死) = 140
      • 어떤 나그네(一擧兩得) = 142
      • 매맞는 생원(毆打家長) = 144
      • 하늘로 올라가고 땅으로 잦아들고(昇天立地) = 146
      • 조개젓 장수(凶惡해商) = 147
      • 속어면순(續禦眠楯)편
      • 음이 변하여 양이라(陰變爲陽) = 150
      • 상팔자(採官好名) = 151
      • 바람쟁이 송판서(戶長誇妻) = 152
      • 오성과 남궁도인(五好動心) = 153
      • 열 가지 비방(十格體傳) = 154
      • 나성으로 물구멍을 막는다(水口羅星) = 155
      • 대전(大典)에 넣을 만한 얘기(老妓判決) = 156
      • 빈 곳을 팔아 고기를 사라(賣空得魚) = 158
      • 신창의 세 자매(三女檢啞) = 159
      • 이치를 아는 아내(雖氓辨鹿) = 161
      • 거짓 배알이(許病要歡) = 162
      • 스님의 망발(爲國做賢) = 163
      • 탕녀는 말을 풀어 준다(할女放馬) = 165
      • 자연히 눈 감기는 재미(女言滋味) = 166
      • 아비의 꼬리(母광稚女) = 167
      • 알알……얼얼(閼알胥夫) = 198
      • 토담 속에 들어도(土室環行) = 169
      • 스님도 같은 사내(女淸再비) = 171
      • 방귀 한번 더(女淸再비) = 172
      • 종놈 것이라도(許病要歡) = 173
      • 어수신화(禦睡新話)
      • 못된 선비놈 송이가 움직인다(馬山松이) = 176
      • 끝내 찾기만 하긴가?(經無入葬) = 176
      • 나는 새는 지쳐 되돌아 온다(趣脾영法) = 177
      • 기름떡 맛(油餠之味) = 178
      • 게으른 요행(賊主합來) = 178
      • 마부장 우별감(妓家褒貶) = 179
      • 그 주문에 그 대답(吾腎代納) = 180
      • 봄이 오기 전엔 나가기 어렵겠다(春前稚出) = 181
      • 요강 없는 집엔 안가요(溺缸必無) = 181
      • 어처구니 없는 어린 신랑(避婦出外) = 182
      • 털 속에서 아기가 나온다(髥容逢辱) = 183
      • 닭 두 마리는 그냥 주지(單襟猶惜) = 184
      • 벼락에도 수놈이(霹靂有雄) = 185
      • 헛된 밥값(主人行房) = 187
      • 버선이 적어 신을 수 있어야지(襪小稚着) = 188
      • 소원을 가로채는 스님(○止兩祝) = 188
      • 흰 떡은 어쩌고 산나물만 드시오(白餠沈葉) = 190
      • 남의 크고 작은 것은 알아 무엇할 것이나(知之何同) = 191
      • 노파의 기지(巡使反친) = 192
      • 우리집 문짝도(吾扉將顚) = 193
      • 흔드는 맛이 있어야(都事責妓) = 194
      • 더는 못하겠나이다(祝願行房 = 198
      • 포졸의 아내(捕卒見瞞) = 200
      • 네 성은 반드시 여(呂)씨다(汝必姓呂) = 201
      • 신 신는 법을 잘 아는군(能知納靴) = 202
      • 우는 아이도 책만 펴면(開冊兒眠) = 202
      • 웃기는 이름(相笑姓名) = 203
      • 어리석은 부채잡이(拳扇更高) = 204
      • 어린놈이 다리를 들다니(拳脚兄出) = 205
      • 머리카락이 흩어져도 칭찬 받는다(체毛합敬) = 206
      • 두 도둑놈(兩囚相慰) = 207
      • 교수잡사(攪睡雜史)편
      • 마누라 피하시오(呼妻速避) = 210
      • 돼지새끼로 태어나서(三人各題) = 211
      • 큰 물건 바라다가(貧大反小) = 211
      • 쇠죽통 좀 빌립시다(勸借牛桶) = 213
      • 세 며느리의 축원(三婦獻壽) = 214
      • 개도 치질 해요(拘赤治質) = 215
      • 피리와 물건(翁서見瞞) = 215
      • 동문서답(東問西答)하기 (愚서誤答) = 217
      • 귀신의 한을 풀다(寃鬼雪恨) = 218
      • 아깝고 아까운 지고(摘시嘗奮) = 220
      • 상점의 요강이라(出爾反爾) = 221
      • 상식(上食)을 올리는 중일세(妻備上食) = 222
      • 너희들도 포천행차냐(笑主責鷄) = 223
      • 계교로 홀아비신세 면하다(沒計取寡) = 223
      • 정수(精水)를 정수(淨水)시켜(新兒背衣) = 225
      • 그것이 찰떡과 같습니다(婢破主疑) = 226
      • 시각을 아는 법(喪人知時) = 228
      • 입이 큰 신부(幣婦産兒) = 229
      • 매부의 거상(婦夫居喪) = 229
      • 소경의 신들린 점괘(神卜寄驗)(1) = 230
      • 소경의 신들린 점괘(聞封避凶)(2) = 232
      • 서방과 도둑을 함께 구하다(智婦瞞盜) = 235
      • 네 글자에 점심 한 상(才女釋義) = 238
      • 명(命)을 재촉하는 약(命棄餘樂) = 239
      • 소금장소와 송편과 마누라(鹽商盜妻) = 240
      • 음양이 함께 자라다(陰陽隨長) = 242
      • 소녀, 지혜로 올가미를 벗어나다(慧女脫累) = 243
      • 어머님이 처녀란 말입니까(請母迷劣) = 244
      • 기문(寄聞)
      • 세 손 가진 간부(奸婦)(執手掩口) = 248
      • 홀아비 게 크니라(以此鰥居) = 248
      • 쇠망치로 치는 것 같았죠(加追撞之) = 249
      • 죽은 것이라도 얻었으면(願得死陽物) = 251
      • 남편이 대문 앞에(本夫在門) = 252
      • 그게 바로 칼이지요(認魚爲刀) = 252
      • 상쾌하고 상쾌하도다(嚼齒呼爽) = 253
      • 토끼와 자라(狡兎脫침) = 254
      • 고대판(古代版) 오물세 시비(放放奮錢) = 256
      • 당신은 진짜 의사(君是良醫) = 256
      • 허리 꺽인 호랑이(搏虎娶妻) = 258
      • 아함산의 내력(阿咸最好) = 259
      • 고문진보(古文眞寶)의 뒷 줄(厥書何在) = 260
      • 네 코는 무쇠코냐(爾鼻鐵鼻) = 262
      • 소경의 기지(광氓被因) = 262
      • 불이야 불이야(呼隣威燭) = 263
      • 엿듣기 좋아하다가(시태取美酒) = 265
      • 주인 마님이 죽이신대도(因病奸婢) = 266
      • 모기와 말벌의 구멍논쟁(蟲語救겸) = 267
      • 여우 목도리 좋아하네(認妓爲狐) = 268
      • 대동강 물이 마르리로다(客惜水盡) = 269
      • 망아지 아범(喚馬○友) = 270
      • 외눈박이는 죽는다(認殺就訟) = 271
      • 세밑까진 지탱한다(郎言支歲) = 272
      • 두 다리가 녹아내리다(壻嘲婦翁) = 273
      • 이화의 밭을 허민이 갈아라(色無英雄) = 273
      • 여장부의 마지막 실수(智計差妻) = 273
      • 열녀의 회초리(反撻女貞) = 278
      • 손바닥 속병이라(內病在吾) = 281
      • 신들린 송이버섯(松이接神) = 282
      • 진담록(陳談錄)편
      • 자못 흐뭇한 맛(有所聞陰戶) = 286
      • 어린 것이 알 턱이 있나(幼郞辭) = 286
      • 여덟 량의 신장(八兩腎) = 287
      • 한 눈 가진 손님 크게 놀라(驚○一目客) = 288
      • 김서방은 가르지 않고도 잘하는데(剖毛) = 288
      • 쥐 귀는 무섭다(鼠聞) = 289
      • 어떤 어진 백성(郎民讚) = 290
      • 그럴거야 그럴거야(虛女盆枷) = 291
      • 어느 것이 더 더딘가(曝乾行) = 292
      • 오줌 누는 소리만 들어도 알지(溺聲論) = 2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