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5 ‧ 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 ―문용동과 본회퍼의 생애를 중심으로 = The spirit of May 18 and the man for the others ―Focusing on the Life of Mun, Young‐dong and Bonhoeff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5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타자를 위한 인간”은 히틀러의 나치 정권 하에서 교수형으로 생을 마쳤던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후기 신학에 나타나는 용어이다. 그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이성의 활동을 절대화하는 20세기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자기를 희생하신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규정한다. 본 연구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존재하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살고, 죽었던 두 사람에게 주목한다. 본회퍼와 문용동이 바로 그들이다. 본회퍼가 타자를 위해 죽기까지 희생적인 삶을 사셨던 예수의 참된 제자였듯이, 문용동은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타자를 위한 인간”의 원형이신 나사렛 예수의 진실한 제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문용동은 그 당시, 호남신학교의 재학생이었고, 교회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열정적으로 선포했던 사역자였다.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 즉 5ㆍ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5ㆍ18정신은 “타자를 위한 인간”의 삶에서 발견할 수 있고, “타자를 위한 인간”의 삶은 5ㆍ18 광주민주화운동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5ㆍ18정신은 반독재민주화 투쟁의 과정에서 나왔다. 5ㆍ18정신 빼앗긴 자유를 되찾고 무너진 평화를 다시 일으켜 세우고, 짓밟힌 인권을 회복하기 위한 선한 가치이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서의 윤리적 삶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그들의 삶은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의 가치 위에 형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성과를 가진다, 첫째, 기독교신앙이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신앙의 행위를 포함한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믿음과 행함을 분리시키지 않았고, 행함 있는 믿음의 정수가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둘째, 문용동과 본회퍼는 기독교신앙에서 중요한 소명과 책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두 사람은 직업으로서의 소명 그 위에 책임의 의미를 더하여 생각한다. 셋째, 문용동과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살았다, 신학의 관점에서 보면 문용동은 깔뱅신학을 따른다. 반면에 본회퍼는 루터신학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우리가 나사렛 출신 그리스도이신 예수의 존재에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해주고 있다.
      번역하기

      “타자를 위한 인간”은 히틀러의 나치 정권 하에서 교수형으로 생을 마쳤던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후기 신학에 나타나는 용어이다. 그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이성의 활동을 ...

      “타자를 위한 인간”은 히틀러의 나치 정권 하에서 교수형으로 생을 마쳤던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의 후기 신학에 나타나는 용어이다. 그는 신의 존재를 부정하고 이성의 활동을 절대화하는 20세기의 상황을 고려하면서 하나님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십자가에서 죽기까지 자기를 희생하신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규정한다. 본 연구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존재하신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신앙을 가지고 살고, 죽었던 두 사람에게 주목한다. 본회퍼와 문용동이 바로 그들이다. 본회퍼가 타자를 위해 죽기까지 희생적인 삶을 사셨던 예수의 참된 제자였듯이, 문용동은 1980년 5월 광주민주화운동의 과정에서 “타자를 위한 인간”의 원형이신 나사렛 예수의 진실한 제자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문용동은 그 당시, 호남신학교의 재학생이었고, 교회에서는 하나님의 말씀을 열정적으로 선포했던 사역자였다.
      광주민주화운동의 정신, 즉 5ㆍ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5ㆍ18정신은 “타자를 위한 인간”의 삶에서 발견할 수 있고, “타자를 위한 인간”의 삶은 5ㆍ18 광주민주화운동에서 분명하게 나타났다. 5ㆍ18정신은 반독재민주화 투쟁의 과정에서 나왔다. 5ㆍ18정신 빼앗긴 자유를 되찾고 무너진 평화를 다시 일으켜 세우고, 짓밟힌 인권을 회복하기 위한 선한 가치이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서의 윤리적 삶이 무엇인지 분명하게 보여주었다, 그들의 삶은 하나님사랑과 이웃사랑의 가치 위에 형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의 성과를 가진다, 첫째, 기독교신앙이란 구체적인 상황 속에서 나타나는 신앙의 행위를 포함한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믿음과 행함을 분리시키지 않았고, 행함 있는 믿음의 정수가 무엇인지 제대로 보여주고 있다. 둘째, 문용동과 본회퍼는 기독교신앙에서 중요한 소명과 책임의 중요성을 일깨워주고 있다. 두 사람은 직업으로서의 소명 그 위에 책임의 의미를 더하여 생각한다. 셋째, 문용동과 본회퍼는 “타자를 위한 인간”으로 살았다, 신학의 관점에서 보면 문용동은 깔뱅신학을 따른다. 반면에 본회퍼는 루터신학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중요한 것은 우리가 나사렛 출신 그리스도이신 예수의 존재에 참여하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문용동과 본회퍼는 이 질문에 대한 하나의 답을 제시해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an for the others” is a term in the later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that was hanged under Hitler’s Nazi reg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tuations of the 20th century characterized by the denial of god and the effort to make reason's activities absolute, Bonhoeffer defined God's son or Jesus Christ as a “man for the others” that sacrificed himself until he died on the cross. This paper focused on two men that lived and died in the faith of Jesus Christ that existed as a “man for the others”: Bonhoeffer and Mun Yong‐dong. Just like Bonhoeffer was a true disciple of Jesus that lived a sacrificing life for others until his death, Mun displayed himself as a true disciple of Jesus of Nazareth, who was the archetype of “man for the others,” in the proces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May, 1980. Mun was a student attending the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and minister that proclaimed God's words passionately at church during the movement.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spirit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r the spirit of May 18 and “man for the others.” The spirit of May 18 can be found in a life of “man for the others,” which is in turn clearly found in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n May 18. The spirit of May 18 stemmed from the process of struggling against autocracy and for democratization. It represented the good values of restoring people’s freedom that was taken away, raising peace that collapsed again, and getting back people’s human right that was trampled. Both Mun and Bonhoeffer clearly showed what was ethical life as a “man for the others.” Their lives were built upon God's love and affection for neighbors.
      The present study ha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hristian faith includes the acts of faith manifested in specific situations. Mun and Bonhoeffer did a good job at showing the essence of faith accompanied by actions without separating action from faith. Secondly, they aroused the importance of calling and responsibility that were critical to Christian faith. They added the significance of responsibility to calling as a vocation in their thinking process. Thirdly, they lived as “man for the others.”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Mun followed Calvin's theology, whereas Bonhoeffer reflected the viewpoint of Lutheran theology. Finally, it is important to ask ourselves whether we participate in the existence of Jesus of Nazareth as Christ. Both Mun and Bonhoeffer offer an answer to this question.
      번역하기

      “The man for the others” is a term in the later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that was hanged under Hitler’s Nazi reg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tuations of the 20th century characterized by the denial of god and the effort to make re...

      “The man for the others” is a term in the later theology of Dietrich Bonhoeffer that was hanged under Hitler’s Nazi regim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tuations of the 20th century characterized by the denial of god and the effort to make reason's activities absolute, Bonhoeffer defined God's son or Jesus Christ as a “man for the others” that sacrificed himself until he died on the cross. This paper focused on two men that lived and died in the faith of Jesus Christ that existed as a “man for the others”: Bonhoeffer and Mun Yong‐dong. Just like Bonhoeffer was a true disciple of Jesus that lived a sacrificing life for others until his death, Mun displayed himself as a true disciple of Jesus of Nazareth, who was the archetype of “man for the others,” in the process of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in May, 1980. Mun was a student attending the Honam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and minister that proclaimed God's words passionately at church during the movement.
      There are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spirit of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r the spirit of May 18 and “man for the others.” The spirit of May 18 can be found in a life of “man for the others,” which is in turn clearly found in the Gwangju Democratization Movement on May 18. The spirit of May 18 stemmed from the process of struggling against autocracy and for democratization. It represented the good values of restoring people’s freedom that was taken away, raising peace that collapsed again, and getting back people’s human right that was trampled. Both Mun and Bonhoeffer clearly showed what was ethical life as a “man for the others.” Their lives were built upon God's love and affection for neighbors.
      The present study ha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Christian faith includes the acts of faith manifested in specific situations. Mun and Bonhoeffer did a good job at showing the essence of faith accompanied by actions without separating action from faith. Secondly, they aroused the importance of calling and responsibility that were critical to Christian faith. They added the significance of responsibility to calling as a vocation in their thinking process. Thirdly, they lived as “man for the others.” From a theological perspective, Mun followed Calvin's theology, whereas Bonhoeffer reflected the viewpoint of Lutheran theology. Finally, it is important to ask ourselves whether we participate in the existence of Jesus of Nazareth as Christ. Both Mun and Bonhoeffer offer an answer to this ques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민병로, "헌법 전문과 민주주의― 5・18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의 헌법적 당위성 ―" 법학연구소 38 (38): 9-35, 2018

      2 고재길, "한국교회, 본회퍼에게 듣다"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4

      3 오성현, "순교의 영성과 윤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9-42, 2012

      4 고 문용동 전도사 순교기념사업회, "새벽길을 간 이" 한들출판사 2018

      5 고재길, "본회퍼의 루터 이해와 한국교회"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37-62, 2016

      6 손규태, "디트리히 본회퍼의신학사상연구" 동연 2017

      7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타자를 위한 교회" 동연 2018

      8 고재길, "독일 고백교회의 저항에 대한 연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0 (30): 047-077, 2016

      9 Bonhoeffer, Dietrch, "Zusammenarbeit mit I. Tödt. DBW 8" Gütersloh 1998

      10 Bonhoeffer, Dietrch, "Scharffenorth, Berlin 1932 – 1933, DBW 12" Chr. Kaiser Verlag 1997

      1 민병로, "헌법 전문과 민주주의― 5・18정신의 헌법 전문 수록의 헌법적 당위성 ―" 법학연구소 38 (38): 9-35, 2018

      2 고재길, "한국교회, 본회퍼에게 듣다"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14

      3 오성현, "순교의 영성과 윤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6 (26): 9-42, 2012

      4 고 문용동 전도사 순교기념사업회, "새벽길을 간 이" 한들출판사 2018

      5 고재길, "본회퍼의 루터 이해와 한국교회"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48 (48): 37-62, 2016

      6 손규태, "디트리히 본회퍼의신학사상연구" 동연 2017

      7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타자를 위한 교회" 동연 2018

      8 고재길, "독일 고백교회의 저항에 대한 연구"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30 (30): 047-077, 2016

      9 Bonhoeffer, Dietrch, "Zusammenarbeit mit I. Tödt. DBW 8" Gütersloh 1998

      10 Bonhoeffer, Dietrch, "Scharffenorth, Berlin 1932 – 1933, DBW 12" Chr. Kaiser Verlag 1997

      11 Bonhoeffer, Dietrch, "Ethik hg. v. E. Bethge/ I. Tödt/ C. Green" Chr. Kaiser Verlag 1992

      12 Bonhoeffer, Dietrch, "Eine dogmathische Untersuchung zur Soziologie der Kirche" Chr. Kaiser Verlag 1986

      13 베트게, 에버하르트, "Dietrich Bonhoeffer" 복 있는 사람 2014

      14 Bethge, Eberhard, "Dietrich Bonhoeffer" Chr. Kaiser Verlag 1967

      15 Plant, Stephen J., "Bonhoeffer, Christ and Culture" IVP, Downers Grove 73-90, 2013

      16 김남진, "5・18광주정신과 시민성:마을분쟁을 중심으로" 5.18연구소 18 (18): 155-184, 2018

      17 김영택, "5월 18일, 광주민중항쟁, 그 원인과 전개과정" 역사공간 2010

      18 오수열, "5ㆍ18정신의 구현과 평화적 민족통일" 3 (3): 2003

      19 김상윤, "5 ‧ 18의 기억과 역사 6" 5 ‧ 18기념재단 2014

      20 최영태, "5 ‧ 18 그리고 역사. 그들의 나라에서 우리 모두의 나라로" 길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9-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
      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