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4차 산업혁명 시대 교회의 대응 전략 = The Church's Response Strategy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757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focuses on the search strategy of church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A.I), blockchain, big data, IoT, 3D printing technology, etc. and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The industrial revolution also affects the culture and values ​​of human beings as a whole. The 1st Industrial Revolution gave birth to metropolis and popular culture, the 2nd Industrial Revolution opened the way for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and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opened the horizontal information er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haring system.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hyper‐connected society with extreme personalization and post‐rationalism.
      The church i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changes of the world as being connected with heaven and the worl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y be a new opportunity for the church. This is because it can be an opportunity to turn rational‐centered acts of faith after the Enlightenment into a more essential experience of God. As artificial intelligence begins to replace the human brain, the forces of reason and logic‐centric values ​​will also weaken. This will open to humans the value of experience, and this tendency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realm of the church. The future church should focus on the whole life of faith that leads the body's response, which will be the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of the church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번역하기

      This paper focuses on the search strategy of church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A.I), blockchain, big data, IoT, 3D printing technology, etc. and will lead the futur...

      This paper focuses on the search strategy of church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epresented by artificial intelligence(A.I), blockchain, big data, IoT, 3D printing technology, etc. and will lead the future society. The industrial revolution also affects the culture and values ​​of human beings as a whole. The 1st Industrial Revolution gave birth to metropolis and popular culture, the 2nd Industrial Revolution opened the way for mass production of small items, and the 3rd Industrial Revolution opened the horizontal information era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sharing system.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a hyper‐connected society with extreme personalization and post‐rationalism.
      The church is to be able to respond appropriately to the changes of the world as being connected with heaven and the worl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may be a new opportunity for the church. This is because it can be an opportunity to turn rational‐centered acts of faith after the Enlightenment into a more essential experience of God. As artificial intelligence begins to replace the human brain, the forces of reason and logic‐centric values ​​will also weaken. This will open to humans the value of experience, and this tendency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realm of the church. The future church should focus on the whole life of faith that leads the body's response, which will be the appropriate response strategy of the church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교회의 대응 전략 모색을 주목적으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프린팅 기술 등으로 대표되며 향후 미래사회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산업혁명은 사회 전반과 인간의 문화와 가치관 변화에도 영향을 끼친다. 1차 산업혁명 시대가 대도시와 대중문화를 태동케 하였다면, 2차산업혁명 시대는 소품종 대량생산의 길을 열었고, 3차산업혁명 시대는 인터넷과 공유시스템의 발달로 수평적 정보 시대를 열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초연결사회로서 극단적 개인화와 탈이성중심주의적 특징을 보인다.
      교회는 하늘과 세속을 잇는 존재로서 세상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교회로서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계몽주의 시대 이후 이성 중심적이던 신앙 행위를 더 본질적인 하나님 체험으로 돌이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를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이성과 논리 중심적 가치관의 세력도 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인간에게 체험의 가치에 눈을 뜨게 할 것이며, 이런 경향은 교회의 영역에서도 그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미래교회는 더욱 몸의 반응을 이끄는 전인적 신앙생활에 대해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며 그것이 4차 산업혁명 시대 교회의 적절한 대응 전략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교회의 대응 전략 모색을 주목적으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프린팅 기술 등으로 대표되며 향후 미래사회를 주도하...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교회의 대응 전략 모색을 주목적으로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 블록체인,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프린팅 기술 등으로 대표되며 향후 미래사회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산업혁명은 사회 전반과 인간의 문화와 가치관 변화에도 영향을 끼친다. 1차 산업혁명 시대가 대도시와 대중문화를 태동케 하였다면, 2차산업혁명 시대는 소품종 대량생산의 길을 열었고, 3차산업혁명 시대는 인터넷과 공유시스템의 발달로 수평적 정보 시대를 열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초연결사회로서 극단적 개인화와 탈이성중심주의적 특징을 보인다.
      교회는 하늘과 세속을 잇는 존재로서 세상의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교회로서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도 있다. 계몽주의 시대 이후 이성 중심적이던 신앙 행위를 더 본질적인 하나님 체험으로 돌이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공지능이 인간의 뇌를 대체하기 시작하면서 이성과 논리 중심적 가치관의 세력도 약해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는 인간에게 체험의 가치에 눈을 뜨게 할 것이며, 이런 경향은 교회의 영역에서도 그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그렇다면 미래교회는 더욱 몸의 반응을 이끄는 전인적 신앙생활에 대해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며 그것이 4차 산업혁명 시대 교회의 적절한 대응 전략이 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프린터의 활용 범위 관련 칼럼"

      2 이신건, "조직신학입문" 신앙과지성사 2014

      3 김성원, "제4차 산업혁명과 교회론의 방향" 영산신학연구소 42 : 183-230, 2017

      4 주경철, "제4차 산업혁명‘, 혁명인가 진화인가" (23) : 2017

      5 송용섭,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적 교회 모델" 한국대학선교학회 (36) : 7-38, 2018

      6 오창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ICT 고도화에 따른 윤리적 이슈의 변화" 한국윤리경영학회 19 (19): 117-137, 2019

      7 Schwab, Klaus,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8 김형락, "예배 전쟁을 넘어 존 웨슬리의 예전적 예배를 향하여" 기독교신학연구소 (45) : 215-241, 2014

      9 전성용, "영성이란 무엇인가?-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기독교신학연구소 (44) : 7-45, 2014

      10 Carr, Edward Hallett, "역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1993

      1 "프린터의 활용 범위 관련 칼럼"

      2 이신건, "조직신학입문" 신앙과지성사 2014

      3 김성원, "제4차 산업혁명과 교회론의 방향" 영산신학연구소 42 : 183-230, 2017

      4 주경철, "제4차 산업혁명‘, 혁명인가 진화인가" (23) : 2017

      5 송용섭, "제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융합적 교회 모델" 한국대학선교학회 (36) : 7-38, 2018

      6 오창규, "제4차 산업혁명 시대 ICT 고도화에 따른 윤리적 이슈의 변화" 한국윤리경영학회 19 (19): 117-137, 2019

      7 Schwab, Klaus,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현재 2016

      8 김형락, "예배 전쟁을 넘어 존 웨슬리의 예전적 예배를 향하여" 기독교신학연구소 (45) : 215-241, 2014

      9 전성용, "영성이란 무엇인가?-성령론적 영성신학 서설-" 기독교신학연구소 (44) : 7-45, 2014

      10 Carr, Edward Hallett, "역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1993

      11 이길용, "사이버공간과 종교공동체—미래 사회 새로운 교회 모델을 위한 대안 모색" 기독교신학연구소 (54) : 71-100, 2018

      12 진중권, "미디어 이론" 열린길 2016

      13 Waldstein, Michael, "몸의 신학 입문" 가톨릭대학교 출판부 2010

      14 Tegmark, Max, "라이프 3.0" 도서출판 동아시아 2017

      15 Schwab, Klaus, "더 넥스트" 새로운현재 2018

      16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

      17 박영범, "교회의 삶을 돕는 교회론을 향하여 - 성서적, 조직 신학적 기초 다지기" 기독교신학연구소 (46) : 77-115, 2015

      18 Pöhlmann, Horst Gerog, "교의학" 신앙과지성과 2012

      19 "’아마존 고’ 관련 기사"

      20 "KBS의 세계 스마트폰 보급률 관련 기사"

      21 Buber, Martin, "Ich und Du" Philipp Reclam 1995

      22 Satoshi Nakamoto, "Bitcoin: A Peer‐to‐Peer Electronic Cash System"

      23 Chidester, David, "Authentic Fakes: Religion and American Popular Culture" University of Califonia Press 2005

      24 김대엽, "4치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ICT기술" 한국정보처리학회 26 (26): 2019

      25 권문상, "4차 산업혁명 시대와 기독교 인간론: 인공지능을 이기는 공동체적 인간성" 한국복음주의조직신학회 30 : 112-147, 2018

      26 Rifkin Jeremy, "3차산업혁명" 민음사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5-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KCI등재후보
      2009-06-03 학회명변경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
      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