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paper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by Dietrich Bonhoeffer(1906‐1945) and his conversation with the discourse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For this, the study sorted out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regeneratio...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75712
김성호 (경성대학교)
2019
Korean
Dietrich Bonhoeffer ; Regeneration ; Sanctification ; Fourfold Gospel ;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 Extraordinariness ; Hidden Character ; Cheap Grace ; Costly Holiness ; 디트리히 본회퍼 ; 중생 ; 성결 ; 사중복음 ; 교회론적 성결론 ; 비범성 ; 은밀성 ; 값싼 은혜 ; 값비싼 성결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7-69(3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by Dietrich Bonhoeffer(1906‐1945) and his conversation with the discourse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For this, the study sorted out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regeneratio...
This paper presents the understanding of the church by Dietrich Bonhoeffer(1906‐1945) and his conversation with the discourse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For this, the study sorted out th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regeneration and sanctification according to the understanding of dogmatics in the Wesleyan Fourfold Gospel, proposed an ecclesiological viewpoint to understand regeneration around Bonhoeffer's Sanctorum Communio, developed a new doctrine of sanctification by building some grounds to understand sanctification spread around The Cost of Discipleship, and presented it as a timely doctrine of sanctification. At the current point of the 21st century, the Korea Evangelical Holiness Church should develop its discourse of sanctification into an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with too much emphasis only on the Baptism of the Spirit(2:1‐4) tends to characterize a sanctification discourse only based on whether there is a baptism of the spirit or not. It has thus restricted the doctrine of sanctification in the form displayed by the church in the Acts of Apostles(2:43‐47). The Church and the Korean Church should discuss the responsibility as an answer to life in relations with others granted to the disciples living with “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 re‐established through the regenerated disciples or Bonhoeffer’s understanding of church, as well as the sanctification of extraordinariness, hidden character, and simplicity. They also need to build practical discourses of “costly Holiness” against the backdrop of “ecclesiological doctrine of sanctification”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poverty” and “renunciation.”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의 교회 이해와 ‘중생’과 ‘성결’에 관한 담론과의 대화이다. 이를 위해 웨슬리안 사중복음 교의학의 이해에 따른 중생과 성결에 대...
본 논문은 디트리히 본회퍼(Dietrich Bonhoeffer, 1906‐1945)의 교회 이해와 ‘중생’과 ‘성결’에 관한 담론과의 대화이다. 이를 위해 웨슬리안 사중복음 교의학의 이해에 따른 중생과 성결에 대한 근본적인 이해를 정리하고, 본회퍼의 성도에 교제의 내용을 중심으로 중생을 이해하는 교회론적 시각을 제시한 후, 나를 따르라의 내용을 중심으로 확장된 성결 이해를 위한 근거 마련을 통한 새로운 성결론을 전개하고, 이를 하나의 시의적절한 성결론으로 제안했다. 21세기 현 시점에서 기독교대한성결교회의 성결담론은, 교회론적 성결론으로 발전되어야 한다. 성령세례(행 2:1‐4)만 지나치게 강조하는 성결론은 성령세례의 유무로 성결 담론을 특징지어버려 더 이상의 사도행전(행 2:43‐47) 교회가 보여주었던 형태의 성결담론을 제한시켜 왔다고 여겨진다. 교회와 한국교회는 중생된 제자들, 즉 본회퍼의 교회이해를 통해 재정립된 ‘공동체로 탈존하는 그리스도’(Christ existing as Church‐community)와 함께 살아가는 교회된 제자들에게 부여되는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삶의 응답으로서의 책임, 그리고 비범성, 은밀성, 단순함의 성결을 논의하고, ‘가난’과 ‘포기’의 관점에서 논의되는 ‘교회론적 성결론’을 배경으로 하는 ‘값비싼 성결’의 실천적 담론들을 마련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 기독교대한성결교회
2 이명직, "중생" 12 (12): 3-6, 1934
3 장기영, "자유의지와 노예의지, 그 분기점으로서 웨슬리의 선행은총론" 기독교신학연구소 (45) : 137-182, 2014
4 최인식, "웨슬리안 사중복음 교의학 서설" 대한기독교서회 2018
5 최인식, "웨슬리신학의 전통에서 본 한국의 감리교신학과 성결교신학" 한국기독교학회 (86) : 163-188, 2013
6 조종남, "웨슬리신학과 성결교회(2)" (406) : 82-89, 1983
7 조종남, "웨슬레신학과 성결교회(1)" (405) : 70-80, 1983
8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해설집 발간편집위원회, "요한웨슬레의 사상(헌법제8조)"
9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대한기독교출판사 1993
10 최인식, "예수의 바람, 성령의 바람 : 사중복음 정신과 21세기 교회혁신" 사랑마루 2014
1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 기독교대한성결교회
2 이명직, "중생" 12 (12): 3-6, 1934
3 장기영, "자유의지와 노예의지, 그 분기점으로서 웨슬리의 선행은총론" 기독교신학연구소 (45) : 137-182, 2014
4 최인식, "웨슬리안 사중복음 교의학 서설" 대한기독교서회 2018
5 최인식, "웨슬리신학의 전통에서 본 한국의 감리교신학과 성결교신학" 한국기독교학회 (86) : 163-188, 2013
6 조종남, "웨슬리신학과 성결교회(2)" (406) : 82-89, 1983
7 조종남, "웨슬레신학과 성결교회(1)" (405) : 70-80, 1983
8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해설집 발간편집위원회, "요한웨슬레의 사상(헌법제8조)"
9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대한기독교출판사 1993
10 최인식, "예수의 바람, 성령의 바람 : 사중복음 정신과 21세기 교회혁신" 사랑마루 2014
11 이명직, "성신세례" (254) : 46-49, 1954
12 디트리히 본회퍼, "성도의 교제" 대한기독교서회 2010
13 박명수, "성결교회의 전통과 현대 교회의 과제" (495) : 77-84, 1995
14 조종남, "성결교회의 신학적 배경과 사중복음의 유래" 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1998
15 서울신학대학교 글로벌사중복음연구소, "사중복음과 성서신학" 한들출판사 2016
16 기독교대한성결교회 헌법해설집 발간편집위원회, "사중복음(헌법 제4조 1항, 제6조 1,2,3,4항)"
17 오성욱, "만국성결교회(International Holiness Union, 1897) 전통의 성령세례 이해: 마틴 냅(Martin Wells Knapp)과 윌리엄 갓비(William B. Godbey)를 중심으로" 영산신학연구소 35 : 41-76, 2015
18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타자를 위한 교회" 동연 2018
19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교회론적 윤리" 기독교신학연구소 (43) : 331-361, 2013
20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평화’ 이해에 관한 기독교윤리학적 담론" 기독교신학연구소 (46) : 261-297, 2015
21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의 ‘계시’ 이해: 『행위와 존재』 (Akt und Sein)의 ‘actus directus’와 ‘actus reflexus’ 개념을 중심으로" 48 : 83-119, 2016
22 김성호, "디트리히 본회퍼 (Dietrich Bonhoeffer)의 '가난'과 '포기'의 제자도: 『나를 따르라(1937년)』를 중심으로*" 한국복음주의신학회 89 : 131-163, 2019
23 디트리히 본회퍼, "나를 따르라" 대한기독교서회 2010
24 이명직, "기독교의 사대복음" 기독교대한성결교회출판부 58-104, 1991
25 박명수, "근대 복음주의와 성결교회의 정체성" (494) : 107-117, 1995
26 이찬석, "“그리스도인의 완전”" 한국개혁신학회 32 : 49-81, 2011
27 Soziologie der Kirche, "herausgegeben von Joachim von Soosten" München 1930
28 Dietrich Bonhoeffer Werke (DBW), "herausgegeben von Eberhard Bethge, Ernst Feil, Christian Gremmels, Wolfgang Huber, Hans Pfeifer, Albrecht Schönherr, Heinz Eduard Tödt, Ilse Tödt"
29 "Kaiser Verlag (ab 1986), Gütersloh Verlagshaus (ab 1994): DBW 1: Sanctorum Communio"
30 "DBW 4 : Nachfolge, herausgegeben von Martin Kuske und Ilse Tödt"
31 Gremmels, Christian, "Beiträge zur Theologie der Gegenwart" Gütersloh 2012
본회퍼와 데리다를 통해 바라본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기독교 윤리적 제언
마틴 로이드 존스의 논리적 설교의 기원과 적용 ― 로마서 설교를 중심으로
5 ‧ 18정신과 타자를 위한 인간 ―문용동과 본회퍼의 생애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0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기타) | |
2015-05-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신학과선교 -> 신학과 선교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
2009-06-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목회선교연구소 -> 기독교신학연구소영문명 :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 Christian Theology Institute Cent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