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오리멀젼 연소시 발생하는 백연의 연기거리 전산모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611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오리멀젼(orimulsion)을 연소하는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시백연의 가시도 증가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리멀젼을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에서는 미세 먼...

      본 연구에서는 오리멀젼(orimulsion)을 연소하는 발전소에서 배출되는 가시백연의 가시도 증가를 확인하고,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오리멀젼을 연료로 사용하는 발전소에서는 미세 먼지입자와 황화합물이 포함된 연기를 발생한다. 발전소 공정데이터를 바탕으로 미세 먼지입자의 영향에 대해서는 모니터링을 통한 로그정규분포로 배출입자의 입도분포를 대입하였고, 황화합물 에어로졸 2차 입자의 주성분(NH₄)₂SO₄의 생성 화학방정식을 고려하였다. 연기에 의한 가시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미국의 EPA에서 개발된 대표적 시정모델인 PLUVUE-Ⅱ 모델을 응용하였다. PLUVUE-Ⅱ 모델이 단파장에만 모사되는 문제를 개선하여 가시광선 전 영역에서 계산이 가능하도록 하여 가시도에 따른 최대 연기거리를 광학적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모델링 결과로써 미세입자의 분포와 황화합물의 농도에 따른 최대 연기거리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로 오리멀젼의 연소로 발생된 가시백연이 미세입자와 황화합물의 2차 입자에 의해 유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가시백연의 저감을 위해서는 미세입자의 크기와 황 화합물의 배출에 대한 제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ibility of plume at the Y power plant stack, which fires the orimulsion as a fuel. The plume contains numerous primary particles under 1 μm size and inorganic ions possibly inferred by the chemical...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visibility of plume at the Y power plant stack, which fires the orimulsion as a fuel. The plume contains numerous primary particles under 1 μm size and inorganic ions possibly inferred by the chemicals of secondary aerosol formation. We evaluated the visibility of the plume using the modified PLUVUE-Ⅱ model. The monitoring data on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and secondary aerosols of sulfate were applied to estimate and evaluate the main factors of plume opacity. The chemical reactions were applied to the model for the secondary aerosol formation of (NH₄)₂SO₄(s). The maximum plume length was estimated by an optic method using threshold contra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lume length was strongly dependent upon the PSD and (NH₄)₂SO₄(s) concentration of the plume emitted from the stack.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배경
      • 3. PLUVUE?Ⅱ 모델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배경
      • 3. PLUVUE?Ⅱ 모델
      • 4. PLUVUE-Ⅱ 모델을 이용한 연기거리 계산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경원, "에어로졸의 준실시간 관측에 의한 여름철 도시지역 시정 감쇄 현상의 광·화학적인 특성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19 (19): 647-661, 2003

      2 EPA, "“Visibility Monitoring Guidance Document”"

      3 Baulch, D. L, "Evaluated Kinetic Data for high Temperature Reactions, Volume 2 - Homogeneous Gas Phase Reactions of the H2-N2-O2 System" CRC Press 1972

      4 Seinfeld, J. H,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John Wiley&Sons 1998

      5 Baik, N. J, ""Trend of Visibility Impairment caused by Smog Phenomenon in Seoul"" 12 (12): 300-305, 1995

      6 Jarman, R. T, ""The Visibility and Length of Chimney Plumes"" 3 : 257-280, 1969

      7 Miller, C. A, ""The Combustion of Orimulsion and its Generation of Air Pollutants"" 26 : 131-160, 2000

      8 Bang, S. Y,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le affected to Visibility Degradation"" 115-117, 1995

      9 Shannnon, J. D, ""Modeling Visibility for Assessment"" 31 (31): 3719-3727, 1997

      10 Kim, Y, ""Investigation of Plume Opacity induced by the Combustion of Orimulsion"" 29 (29): 297-303, 2007

      1 김경원, "에어로졸의 준실시간 관측에 의한 여름철 도시지역 시정 감쇄 현상의 광·화학적인 특성 분석" 한국대기환경학회 19 (19): 647-661, 2003

      2 EPA, "“Visibility Monitoring Guidance Document”"

      3 Baulch, D. L, "Evaluated Kinetic Data for high Temperature Reactions, Volume 2 - Homogeneous Gas Phase Reactions of the H2-N2-O2 System" CRC Press 1972

      4 Seinfeld, J. H,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John Wiley&Sons 1998

      5 Baik, N. J, ""Trend of Visibility Impairment caused by Smog Phenomenon in Seoul"" 12 (12): 300-305, 1995

      6 Jarman, R. T, ""The Visibility and Length of Chimney Plumes"" 3 : 257-280, 1969

      7 Miller, C. A, ""The Combustion of Orimulsion and its Generation of Air Pollutants"" 26 : 131-160, 2000

      8 Bang, S. Y, ""Size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le affected to Visibility Degradation"" 115-117, 1995

      9 Shannnon, J. D, ""Modeling Visibility for Assessment"" 31 (31): 3719-3727, 1997

      10 Kim, Y, ""Investigation of Plume Opacity induced by the Combustion of Orimulsion"" 29 (29): 297-303, 2007

      11 Seigneur, C, ""Formation and Evolution of Sulfate and Nitrate Aerosols in Plumes"" 23 : 283-292, 1982

      12 Gabruk, R. S, ""Evaluation of the Reactive and Optics Model of Emissions (ROME)"" 33 : 383-399, 1999

      13 EPA, ""Addenda to the User's Manual for the Plume Visibility Model (PLUVUE-II)""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외국어명 : CLEAN TECHNOLOGY -> Clean Technology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정기술학회지 -> 청정기술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6 0.26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8 0.4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