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세계 경제위기이후 항공수요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저가항공(LCC)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였다. 1987년부터 시작된 EU의 항공자유화정책은 1997년에 완결되었다. 이를 통해서 E...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749496
-
2016년
Korean
항공자유화정책 ; Open Sky Agreement ; Low Cost Carrier ; European Union ; Undeveloped Area ; Regional Development ; EU ; FSC ; LCC ; 회원국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8년 세계 경제위기이후 항공수요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저가항공(LCC)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였다. 1987년부터 시작된 EU의 항공자유화정책은 1997년에 완결되었다. 이를 통해서 E...
2008년 세계 경제위기이후 항공수요가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저가항공(LCC)분야는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였다. 1987년부터 시작된 EU의 항공자유화정책은 1997년에 완결되었다. 이를 통해서 EU내 저가항공사들이 회원국 간에 신규항로를 개척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었다.
EU 항공자유화 정책에 힘입어 EU저가항공사는 성장을 하였고, 그 결과 EU내 10대 항공사 중 4개가 저가항공사일 정도로 저가항공의 성장은 괄목할 만 하였다.
그러나 저가항공의 성장이 회원국별로 동일하게 발생한 것은 아니었다. 영국과 스페인에서, LCC는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지만, 프랑스에서 LCC발전은 프랑스의 국적항공사 지원정책 때문에 제한되었다. 유럽 10대 LCC항공사 중에 프랑스 LCC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EU 10대 LCC거점 공항 중에 프랑스 공항은 존재하지 않았다.
프랑스의 LCC 발전의 제약에 대한 주요 요인은프랑스 정부의 정책과 프랑스 국적항공사인 에어프랑스의 노사문제였다. 2000년대 초반 프랑스 정부는 에어프랑스를 보호하기 위해서 LCC의 발전을 막아왔다. 저가항공이라는 시장환경에 적응하기위해서, 에어프랑스도 Transavia라는 LCC 자회사를 유럽 전역에 설립하려 하였지만, 에어프랑스 노조는 이에 반발하여 2014년에 2주동안 파업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에어프랑스 경영진은 LCC자회사인 Transavia를 유럽전역에 설립하려는 계획을 접을 수 밖에 없었다.
EU에서 저가항공은 정규항공에 비해서 항공자유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EU에서의 항공자유화를 통한 저가항공의 성장은 ASEAN의 항공자유화에 따라서 ASEAN으로도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ven if the air travel demand is reducing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sector of Low Cost carrier's growth is continuing. The EU's Open Sky policy which has started in 1987 and has been complete in 1997 allowed the small airline comp...
Even if the air travel demand is reducing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2008, the sector of Low Cost carrier's growth is continuing. The EU's Open Sky policy which has started in 1987 and has been complete in 1997 allowed the small airline companies including the low cost airlines companies to increase new air-routes between the EU member-states.
LCC has made use of Open Sky policy of the EU much more actively than FSC.
The development of LCC is expected also in ASEAN due to the Open Sky Policy
With the EU's Open Sky policy, the EU's low cost carriers has experienced the continuous growth. In the EU, 4 LCC companies are among the 10 largest airline companies in EU.
However, the growth of LCC is not identical between the EU member-states. In United Kingdom and Spain, LCC market was rapidly expanded while in France, the growth of LCC was restricted due to the support of French government for its national carrier Air France. Among the 10 largest LCC companies, French LCC company dose not exist. Among the 10 largest airport of LCC, French airport does not exist. Among the 10 mot important air routes of the EU, the air route from or to French airport does not exist.
This undeveloped situation of French LCC is caused by the French government and the industrial relations of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