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업선호도검사 연구용 자료 구축을 위한 타당도 연구 = Analysis on Constructing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Data from Work-Net DB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851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S (short type) data of KEI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test was classified on-line test using Worknet and off-line test using PAPI (paper and pencil interview). Also this study executes a reliability analysis and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st data, conducts a enrichment of data completeness through the coincidence and data cleaning between online test data and offline test data.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6 interested factors - reliability, investigativ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conventional – appropriate for this study. But, some goodness-of-fit indicators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need to look more closely at the results. For ex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should be analyzed to complement using standardization or centering of raw data.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mplementary data that is connected with other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This study has assumed significance in terms of making of the basis to enrich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data of KEI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S (short type) data of KEI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test was classified on-line test using Worknet and off-line test using PAPI (paper and pencil interview). Also this st...

      This study analyzes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S (short type) data of KEIS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test was classified on-line test using Worknet and off-line test using PAPI (paper and pencil interview). Also this study executes a reliability analysis and a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est data, conducts a enrichment of data completeness through the coincidence and data cleaning between online test data and offline test data.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validity and reliability for 6 interested factors - reliability, investigative, artistic, social, enterprising, conventional – appropriate for this study. But, some goodness-of-fit indicators of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need to look more closely at the results. For example, the results showed that should be analyzed to complement using standardization or centering of raw data.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complementary data that is connected with other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This study has assumed significance in terms of making of the basis to enrich the vocational preference inventory test data of KEI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중에 하나인 직업선호도 검사 S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직업선호도검사는 워크넷을 통한 온라인 수검 검사와 지필로 실시하는 오프라인 검사로 구분된다. 두 검사 자료간 일치 및 자료 정제 작업을 통해 자료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실시하였다. 한편, 검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총 6개의 흥미 요인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Cronbach α를 확인한 결과, 6가지 흥미 유형 중 탐구형이 0.888로 가장 낮았고, 하위 척도들 중에서는 탐구형의 일반성향이 0.654로 가장 낮았지만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확인적 요인분석의 일부 적합성 지표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과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원자료에 대한 표준화 또는 중심화(centering)를 통해 자료간 차이를 보완하여 분석하거나 구조모형방정식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고 면밀한 비교 검토를 수반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된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료간 연계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자료를 구성하여 연구자들의 원활한 자료 활용을 돕도록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자료의 활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중에 하나인 직업선호도 검사 S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직업선호도검사는 워크넷을 통한 온라인 수검 검사와 지필로 실시하는 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중에 하나인 직업선호도 검사 S형 자료를 이용하였다. 직업선호도검사는 워크넷을 통한 온라인 수검 검사와 지필로 실시하는 오프라인 검사로 구분된다. 두 검사 자료간 일치 및 자료 정제 작업을 통해 자료 완성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실시하였다. 한편, 검사 자료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파악하기 위해 신뢰도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총 6개의 흥미 요인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Cronbach α를 확인한 결과, 6가지 흥미 유형 중 탐구형이 0.888로 가장 낮았고, 하위 척도들 중에서는 탐구형의 일반성향이 0.654로 가장 낮았지만 충분히 신뢰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확인적 요인분석의 일부 적합성 지표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분석과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원자료에 대한 표준화 또는 중심화(centering)를 통해 자료간 차이를 보완하여 분석하거나 구조모형방정식 적용 과정에서 다양하고 면밀한 비교 검토를 수반해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향후 연구를 통해 보완된 결과를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료간 연계 분석이 가능한 형태의 자료를 구성하여 연구자들의 원활한 자료 활용을 돕도록 하겠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실시하는 직업심리검사 자료의 활용성을 강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둘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혜자, "한국 중년 서글픔 측정도구의 타당도 평가"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061-1072, 2015

      2 정승철, "전문계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취업 후 현재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69-279, 2016

      3 신수경, "약물용 한국어판 변화준비도 단계 및 치료열망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973-985, 2014

      4 윤이나, "구성타당도 평가에서 성분점수에 의한 변수 군집분석의 활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685-695, 2016

      5 Seo, H. J., "User guide of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for adult"

      6 Kim, B. H., "School career counseling" Hakjisa 2011

      7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8 Ko, J. 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7

      9 Chun, Y. M.,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data for research purpose of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5

      1 구혜자, "한국 중년 서글픔 측정도구의 타당도 평가" 한국자료분석학회 17 (17): 1061-1072, 2015

      2 정승철, "전문계고 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가 취업 후 현재일자리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269-279, 2016

      3 신수경, "약물용 한국어판 변화준비도 단계 및 치료열망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6 (16): 973-985, 2014

      4 윤이나, "구성타당도 평가에서 성분점수에 의한 변수 군집분석의 활용" 한국자료분석학회 18 (18): 685-695, 2016

      5 Seo, H. J., "User guide of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for adult"

      6 Kim, B. H., "School career counseling" Hakjisa 2011

      7 Holland, J. L., "Making vocational choices: A theory of vocational personalities and work environments"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7

      8 Ko, J. 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07

      9 Chun, Y. M., "A study on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data for research purpose of occupational psychological tes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