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정치철학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롤스는 기본소득에 대한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력한 사람의 소득이, 노동할 능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매일 노는 것을 선택한 사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 정치철학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롤스는 기본소득에 대한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력한 사람의 소득이, 노동할 능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매일 노는 것을 선택한 사람...
현대 정치철학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롤스는 기본소득에 대한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노력한 사람의 소득이, 노동할 능력이 있는데도 불구하고 매일 노는 것을 선택한 사람에게 지급되는 것은 부정의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서 기본소득 옹호론자들은 롤스의 정의론을 통해서 기본소득을정당화하려 했지만, 롤스의 엄격한 ‘노동윤리’를 극복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이런 이유로 본 연구는 롤스의 정의론을 통해서 토지의 지대를 재원으로 하는 지대기본소득이 도출됨을 보이려고 하였고, 이 같은 시도는 기본소득의 보편성 획득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awls, who ha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modern political philosophy,made it clear that he opposed Basic Income. That’s because he thought it unjustto offer the income earned by workers to non workers who have the ability towork but choose n...
Rawls, who has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modern political philosophy,made it clear that he opposed Basic Income. That’s because he thought it unjustto offer the income earned by workers to non workers who have the ability towork but choose not to work. The supporters of basic income tried to justify thetheory through ‘A theory of Justice’ by Rawls, but it seemed that they didn’t overcomethe strict ‘Work Ethics’ of Rawls. For this reason, this thesis tried to approvethe Rent-Basic Income whose finance is land lent. This attempt may be able tohelp to obtain the universality of Basic Income.
참고문헌 (Reference)
1 Kymlicka, Will,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6
2 남기업, "토지정의, 대한민국을 살린다" 평사리 2012
3 전강수, "토지의 경제학: 경제학자도 모르는 부동산의 비밀" 돌베개 2012
4 Gaffney, Mason, "진보와 빈곤" 비봉출판사 1997
5 김윤상,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9
6 박동천, "정치경제학 원리 4" 나남 2010
7 Rawls, John, "정의론" 이학사 2003
8 국토교통부, "전국 토지소유 현황을 ‘한눈에’… 통계작성 공표"
9 경향신문, "일자리·복지로는 한계… 국민 누구든 먹고살 기본소득을 달라"
10 Rousseau, Jean-Jacques, "인간불평등기원론" 집문당 1995
1 Kymlicka, Will, "현대 정치철학의 이해" 동명사 2006
2 남기업, "토지정의, 대한민국을 살린다" 평사리 2012
3 전강수, "토지의 경제학: 경제학자도 모르는 부동산의 비밀" 돌베개 2012
4 Gaffney, Mason, "진보와 빈곤" 비봉출판사 1997
5 김윤상, "지공주의: 새로운 토지 패러다임"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9
6 박동천, "정치경제학 원리 4" 나남 2010
7 Rawls, John, "정의론" 이학사 2003
8 국토교통부, "전국 토지소유 현황을 ‘한눈에’… 통계작성 공표"
9 경향신문, "일자리·복지로는 한계… 국민 누구든 먹고살 기본소득을 달라"
10 Rousseau, Jean-Jacques, "인간불평등기원론" 집문당 1995
11 이정우, "위기의 부동산: 시장만능주의를 넘어서" 후마니타스 2009
12 김윤상, "위기의 부동산: 시장 만능주의를 넘어서" 후마니타스 2009
13 Skidelsky, Robert, "얼마나 있어야 충분한가" 부·키 2013
14 박순성, "사회정의와 정치경제학: 맑스, 롤스, 센" (11) : 93-118, 1998
15 곽노완, "분배정의와 지속가능한 최대의 기본소득 -게으른 자에게도 지급되는 기본소득은 정의로운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4 (24): 7-29, 2013
16 민경국, "롤스와 하이에크: 서민층과 자유주의" (73) : 119-132, 2007
17 박석삼, "기본소득을 둘러싼 쟁점과 비판" (3) : 307-326, 2010
18 백승호, "기본소득 모델들의 소득재분배 효과 비교분석"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185-212, 2010
19 강남훈, "기본소득 도입 모델과 경제적 효과" (45) : 12-43, 2010
20 강남훈, "국민 모두에게 기본소득을!"
21 채만수, "과학에서 몽상으로 사회주의의 발전·발전·발전!"
22 남기업, "공정국가: 대한민국의 새로운 국가모델" 개마고원 2010
23 황경식, "공정과 정의사회: 한국사회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知的 모색" 조선뉴스프레스 2011
24 Keynes, J. M.,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 비봉출판사 1997
25 Hunt, E. K, "경제사상사 Ⅱ" 풀빛 1983
26 Schumpeter Joseph A., "경제분석의 역사 3" 한길사 2013
27 Nozick, Robert, "自由主義의 정의론" 大光文化社 1991
28 이정전, "土地經濟學" 博英社 1995
29 남기업, "‘토지가치공유’의 관점에서 본 자유지상주의의 새로운 가능성" 대한정치학회 14 (14): 345-366, 2007
30 Marangos, John, "Thomas Paine(1737~1809) and Thomas Spence(1750-1814) on land ownership, land taxes and the provision of citizens’ dividend" 35 (35): 313-325, 2008
31 Van Donselaar, G, "The Right to Exploit: Parasitism, Scarcity, Basic Income"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32 Rawls, John, "The Priority of Right and Ideas of the Good" 17 : 251-276, 1988
33 Foldvary, Fred E., "The Marginalists Who Confronted Land" 67 (67): 89-117, 2008
34 Otsuka, Michael, "Self-Ownership and Equality: A Lockean Reconciliation" 27 : 65-92, 1998
35 Birnbaum, Simon, "Radical liberalism, Rawls and the welfare state: justifying thepolitics of basic income" 13 (13): 495-516, 2010
36 Cirillo, Renato, "Léon Walras and Social Justice" 43 (43): 53-60, 1984
37 Vallentyne, Peter, "Left-Libertarianism and Its Critics" Palgrave macmillan 2001
38 Tideman, Nicolaus, "Knight: Nemesis from the Chicago School" 63 (63): 381-409, 2004
39 Rawls, John, "Justice As Fairness: A Restatement" Havard University Press 2001
40 Henry, John F., "John Bates Clark: The Making of a Neoclassical Economist" Macmillan Press Ltd 1995
41 Meade, James, "Efficiency, equality and the ownership of property" Allen & Unwin 1964
42 Wilderquist, Karl, "Basic Income: An Anthology of Contemporary Research" Wiley Blackwell 2013
43 Groot, Loek, "Basic Income, Unemployment and Compensatory Justice" Kluwer Academic Publishers 2003
44 Mckinnon, Catriona, "Basic Income, Self-Respect and Reciprocity" 20 (20): 143-158, 2003
45 Murray, Matthew C, "Basic Income Worldwide Horizons of Reform" Palgrave macmillan 2012
46 Steiner, Hillel, "An Essay on Rights" Blackwell Publishers 1994
정치 실패의 대가(Price of Politics Failure)는 불평등의 확대『불평등의 대가』(열린책들,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6 | 1.32 | 1.495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