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상진, "<청산리 벽계수>와 <텐미니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185-214, 2005
2 金智勇, "歷代女流漢詩文選" 대양서적 1972
3 장만식, "황진이의 작품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와 욕망 탐색" 열상고전연구회 (45) : 35-69, 2015
4 정영문, "황진이의 시세계" 동양고전연구소 (5) : 1999
5 문미희,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안암교육학회 17 (17): 57-81, 2011
6 박인과, "황진이의 긴장과 이완의 신경생리학: 「靑山裡 碧溪水ㅣ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9): 1329-1342, 2018
7 이화형, "황진이와 薛濤의 漢詩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변별성" 우리문학회 (52) : 7-32, 2016
8 노인숙, "황진이 한시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3) : 2001
9 박인과, "황진이 시조에 나타나는 브라운운동의 문학치료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159-163, 2018
10 서종남, "황진이 시가에 나타난 의식구조" 한국시조학회 (13) : 1997
1 김상진, "<청산리 벽계수>와 <텐미니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185-214, 2005
2 金智勇, "歷代女流漢詩文選" 대양서적 1972
3 장만식, "황진이의 작품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와 욕망 탐색" 열상고전연구회 (45) : 35-69, 2015
4 정영문, "황진이의 시세계" 동양고전연구소 (5) : 1999
5 문미희,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안암교육학회 17 (17): 57-81, 2011
6 박인과, "황진이의 긴장과 이완의 신경생리학: 「靑山裡 碧溪水ㅣ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9): 1329-1342, 2018
7 이화형, "황진이와 薛濤의 漢詩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변별성" 우리문학회 (52) : 7-32, 2016
8 노인숙, "황진이 한시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3) : 2001
9 박인과, "황진이 시조에 나타나는 브라운운동의 문학치료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159-163, 2018
10 서종남, "황진이 시가에 나타난 의식구조" 한국시조학회 (13) : 1997
11 홍이화, "하인즈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Ⅰ"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011
12 김동규, "프로이트의 멜랑콜리론 - 서양 주체의 문화적 기질(disposition)론" 중앙철학연구소 28 : 259-287, 2010
13 金用淑, "조선조여류문학연구" 혜진서관 1990
14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도서출판이유 2008
15 홍이화, "자기심리학 이야기1, 나르시시즘, 지독한 자기사랑" 대한기독교서회 2010
16 고영화, "의미 치료적 관점에서의 고전시가 읽기 - 영원성에 대한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15 : 73-93, 2010
17 김흥규, "사설시조의 세계" 세창출판사 2015
18 이화형, "사대부와 기생의 문학세계 비교 -윤선도와 황진이의 시조를 통한-" 우리문학회 (39) : 175-202, 2013
19 제레미홈즈, "나르시시즘" 이제이북스 2002
20 김상진, "기녀시조에 나타난 문학 치료적 효과- 그 가능성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28) : 69-94, 2005
21 심재완, "교본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22 김주수, "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25 : 239-263, 2011
23 김연옥, "黃眞伊 시조의 멋과 풍류" 한국국어교육학회 63 : 209-222, 2002
24 김태봉, "中國漢詩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황진이 <詠半月> 연구" 한국중국학회 (71) : 147-170,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