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나르시시즘으로 바라본 황진이와 그 문학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111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thesis is a discussion of Hwang Ji-ni and Hwang Ji-ni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arcissism. As is well known, a gisaeng was one of the lowly ranks of the Joseon Dynasty and belonged to the most inferior position in the hierarchy of ranks. Nevertheless, Hwang Ji-ni is a humanoid who is extremely full of narcissism and confidence in himself, and his attributes are being embodied in literature as they are. In a closed society, low-income groups such as gisaengs have no choice but to live by accepting and acknowledging their situation, so it seems very far from them to realize self-love. However, Hwang Ji-ni is not engrossed in her situation and is revealed as a person full of self-love. There is clearly a unique view of the world and literature that sets her apart from the anecdotes of other prostitutes and the progenitor of prostitutes. This discussion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re the driving force for this bouncing sensibility and self-love really originates.
      In supporting this discussion, Coharts self-psychology is very useful. He argued that narcissism was a prerequisite for a successful life, including engaging with objects, without seeing it as the “wrong” found in people who were mentally ill, immature, and not adequately psychoanalyzed. Fromthis point of view, it can be confirmed that Hwang Ji-nis narcissism is a healthy narcissism, and this mature narcissism is embodied in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thesis is a discussion of Hwang Ji-ni and Hwang Ji-ni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arcissism. As is well known, a gisaeng was one of the lowly ranks of the Joseon Dynasty and belonged to the most inferior position in the hierarchy of rank...

      This thesis is a discussion of Hwang Ji-ni and Hwang Ji-nis liter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narcissism. As is well known, a gisaeng was one of the lowly ranks of the Joseon Dynasty and belonged to the most inferior position in the hierarchy of ranks. Nevertheless, Hwang Ji-ni is a humanoid who is extremely full of narcissism and confidence in himself, and his attributes are being embodied in literature as they are. In a closed society, low-income groups such as gisaengs have no choice but to live by accepting and acknowledging their situation, so it seems very far from them to realize self-love. However, Hwang Ji-ni is not engrossed in her situation and is revealed as a person full of self-love. There is clearly a unique view of the world and literature that sets her apart from the anecdotes of other prostitutes and the progenitor of prostitutes. This discussion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re the driving force for this bouncing sensibility and self-love really originates.
      In supporting this discussion, Coharts self-psychology is very useful. He argued that narcissism was a prerequisite for a successful life, including engaging with objects, without seeing it as the “wrong” found in people who were mentally ill, immature, and not adequately psychoanalyzed. Fromthis point of view, it can be confirmed that Hwang Ji-nis narcissism is a healthy narcissism, and this mature narcissism is embodied in liter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상진, "<청산리 벽계수>와 <텐미니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185-214, 2005

      2 金智勇, "歷代女流漢詩文選" 대양서적 1972

      3 장만식, "황진이의 작품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와 욕망 탐색" 열상고전연구회 (45) : 35-69, 2015

      4 정영문, "황진이의 시세계" 동양고전연구소 (5) : 1999

      5 문미희,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안암교육학회 17 (17): 57-81, 2011

      6 박인과, "황진이의 긴장과 이완의 신경생리학: 「靑山裡 碧溪水ㅣ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9): 1329-1342, 2018

      7 이화형, "황진이와 薛濤의 漢詩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변별성" 우리문학회 (52) : 7-32, 2016

      8 노인숙, "황진이 한시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3) : 2001

      9 박인과, "황진이 시조에 나타나는 브라운운동의 문학치료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159-163, 2018

      10 서종남, "황진이 시가에 나타난 의식구조" 한국시조학회 (13) : 1997

      1 김상진, "<청산리 벽계수>와 <텐미니츠>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한국언어문화학회 (27) : 185-214, 2005

      2 金智勇, "歷代女流漢詩文選" 대양서적 1972

      3 장만식, "황진이의 작품 속에 내재된 트라우마와 욕망 탐색" 열상고전연구회 (45) : 35-69, 2015

      4 정영문, "황진이의 시세계" 동양고전연구소 (5) : 1999

      5 문미희, "황진이의 삶, 사랑(愛) 그리고 교육" 안암교육학회 17 (17): 57-81, 2011

      6 박인과, "황진이의 긴장과 이완의 신경생리학: 「靑山裡 碧溪水ㅣ야」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9 (9): 1329-1342, 2018

      7 이화형, "황진이와 薛濤의 漢詩에 나타난 세계인식의 변별성" 우리문학회 (52) : 7-32, 2016

      8 노인숙, "황진이 한시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23) : 2001

      9 박인과, "황진이 시조에 나타나는 브라운운동의 문학치료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4 (4): 159-163, 2018

      10 서종남, "황진이 시가에 나타난 의식구조" 한국시조학회 (13) : 1997

      11 홍이화, "하인즈코헛의 자기심리학 이야기Ⅰ" 현대정신분석연구소 2011

      12 김동규, "프로이트의 멜랑콜리론 - 서양 주체의 문화적 기질(disposition)론" 중앙철학연구소 28 : 259-287, 2010

      13 金用淑, "조선조여류문학연구" 혜진서관 1990

      14 이무석, "정신분석에로의 초대" 도서출판이유 2008

      15 홍이화, "자기심리학 이야기1, 나르시시즘, 지독한 자기사랑" 대한기독교서회 2010

      16 고영화, "의미 치료적 관점에서의 고전시가 읽기 - 영원성에 대한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치료학회 15 : 73-93, 2010

      17 김흥규, "사설시조의 세계" 세창출판사 2015

      18 이화형, "사대부와 기생의 문학세계 비교 -윤선도와 황진이의 시조를 통한-" 우리문학회 (39) : 175-202, 2013

      19 제레미홈즈, "나르시시즘" 이제이북스 2002

      20 김상진, "기녀시조에 나타난 문학 치료적 효과- 그 가능성을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학회 (28) : 69-94, 2005

      21 심재완, "교본역대시조전서" 세종문화사 1972

      22 김주수, "黃眞伊 한시와 시조의 비교연구 - 수사적 특성을 중심으로" 우리한문학회 25 : 239-263, 2011

      23 김연옥, "黃眞伊 시조의 멋과 풍류" 한국국어교육학회 63 : 209-222, 2002

      24 김태봉, "中國漢詩와의 비교 분석을 통한 황진이 <詠半月> 연구" 한국중국학회 (71) : 147-17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1 0.41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5 1.045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