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양희,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개발" 14 (14): 23-44, 2000
2 류연규 ; 김영미,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131-160, 2019
3 김재엽,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2
4 김재엽 ; 류원정, "탈북여성의 아동학대 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배우자 폭력의 가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375-399, 2016
5 박재인, "탈북여성의 기억으로 본 남북의 젠더의식 비교" 인문학연구원 86 : 43-88, 2021
6 조성자, "청년 및 대학생의 Sexuality 인식 및 성역할 관련 태도와 데이트폭력성간의 관계: 젠더감수성 조절효과" 6 (6): 345-368, 2019
7 신상숙,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폭력의 연속선 — 통합적 접근의 모색" 한국여성연구소 18 (18): 267-301, 2018
8 신혜수, "젠더기반 국제개발협력과 인권" 12 (12): 39-64, 2017
9 이상화, "젠더관점에서 본 ‘유리천장'을 넘어선 여성들의 전환학습 경험"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0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 김양희,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개발" 14 (14): 23-44, 2000
2 류연규 ; 김영미, "한국사회 젠더갈등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정책학회 26 (26): 131-160, 2019
3 김재엽, "폭력피해 탈북여성 맞춤형 자립지원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2
4 김재엽 ; 류원정, "탈북여성의 아동학대 피해 및 가해에 관한 연구: 배우자 폭력의 가중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52) : 375-399, 2016
5 박재인, "탈북여성의 기억으로 본 남북의 젠더의식 비교" 인문학연구원 86 : 43-88, 2021
6 조성자, "청년 및 대학생의 Sexuality 인식 및 성역할 관련 태도와 데이트폭력성간의 관계: 젠더감수성 조절효과" 6 (6): 345-368, 2019
7 신상숙, "젠더에 기반한 차별과 폭력의 연속선 — 통합적 접근의 모색" 한국여성연구소 18 (18): 267-301, 2018
8 신혜수, "젠더기반 국제개발협력과 인권" 12 (12): 39-64, 2017
9 이상화, "젠더관점에서 본 ‘유리천장'을 넘어선 여성들의 전환학습 경험"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10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1 손경이, "젠더 문화와 젠더성 범죄에 대한 남녀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12 손경이, "젠더 문화 인식 차이가 젠더 범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안전 범죄정보학회 6 (6): 31-54, 2020
13 정희진,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또 하나의 문화 2001
14 양옥경, "위기 북한이탈주민 발굴및 지원체계 개선 연구"
15 김재엽, "열등의식과 성역할태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과 치료모형에 관한 연구-영세 빈곤가족을 중심으로" 33 : 71-93, 1997
16 김재엽 ; 최수찬, "스트레스 및 성역할태도가 아내구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아내구타 실태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동남아학회 15 (15): 187-222, 2005
17 조무용 ; 김정인, "성평등의식과 성차별주의가 스토킹통념 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심리학회 21 (21): 109-134, 2016
18 정요한 ; 정혜원, "성장기 폭력피해경험, 가부장적 태도, 법 태도가 자녀폭력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혼인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소 51 : 29-51, 2016
19 김진숙 ; 문화진, "성인 남녀의 통제 행동이 데이트폭력 가해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감과 젠더 감수성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 (12): 727-742, 2021
20 변화순, "성의식과 여성에 대한 폭력 연구"
21 한정희, "성역할 고정관념과 데이트폭력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20
22 오주령 ; 박지선, "성별 및 양가적 성차별주의가 데이트 폭력에 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법심리학회 10 (10): 47-65, 2019
23 김영옥·, "사회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지원사업 성별영향평가"
24 양정훈, "북한(사회)의 폭력성이 새터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과학학회 9 (9): 607-630, 2005
25 채경희, "북한 장마당세대의 의식 특성 비교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313-322, 2019
26 권오정 ; 장용언, "부모 간 폭력에 노출된 경험이대학생의 데이트폭력 가해에 미치는 영향: 젠더감수성의 조절효과" 사회과학연구소 43 (43): 235-263, 2019
27 선미경, "대학생의 가정폭력경험과 젠더감수성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연구- 법의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28 안상수, "남성의 삶에 관한 기초연구(I): 군복무 이행, 성역할 재사회화 및 성평등정책 수용을 중심으로" 국여성정책연구원 2014
29 우양호, "공직사회 성차별의 양가적 차원과 요인 검증 : 지방공무원을 중심으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7 (27): 173-202, 2013
30 박소현, "가정폭력의 가부장성 분석을 통한 법제도 개선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31 양현아, "가정폭력에 대한 비판적 성찰: 젠더폭력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법학회 20 (20): 1-45, 2006
32 윤진 ; 양승연 ; 박병금, "가정폭력경험, 가부장적 성역할 태도, 열등감이 대학생의 데이트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9 (19): 79-107, 2012
33 이수정 ; 김은영, "가정폭력 노출경험과 데이트폭력성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젠더감수성의 역할: 대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심리학회 27 (27): 1-21, 2022
34 최종숙, "‘20대 남성 현상’ 다시 보기: 20대와 3040세대의 이념성향과 젠더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125) : 189-224, 2020
35 Whitehurst, R. N., "Violence in husband-wife interaction"
36 Gelles, R. J., "Through a sociological lens: Social structure and family violence"
37 Baron, R. M.,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51): 1173-, 1986
38 Yamawaki, N., "The functions of gender role traditionality, ambivalent sexism, injury, and frequency of assault on domestic violence perception: A study between Japanese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15 (15): 1126-1142, 2009
39 Jewkes, R., "Risk factors for domestic violence : findings from a South African cross-sectional study" 55 (55): 1603-1617, 2002
40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ublications 2015
41 Smith, M. D., "Patriarchal ideology and wife beating : A test of a feminist hypothesis" 5 (5): 257-273, 1990
42 Rosenbaum, A., "Marital violence: Characteristics of abusive couples" 49 (49): 63-71, 1981
43 이사빈, "Gender Conflict Perception and Social Identities: In the Context of Backlash Phenomenon" 아시아여성연구원 35 (35): 1-24, 2019
44 Miers, M.,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gender sensitive care : exploring concepts and knowledge" 40 (40): 69-77, 2002
45 Kaufman, J., "Child Maltreatment: Theory and Research on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Child Abuse and Negl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129-150, 1989
46 Newman, C., "Better practices in gender sensitivity. A gender sensitivity assessment tool for Reproductive Health and Family Planning (FP/RH)curricula"
47 여성가족부, "2021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
48 통일부, "2021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실무편람"
49 여성가족부, "2010년 전국 가정폭력 실태조사"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