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선흘리 식송계 연구 = A Study of Seonheulri's Shiksong-gy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4895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1943년 1월, 선흘리 상동 주민 25명이 귀중한 생존자원인 소나무를 심고 가꾸기 위해 결성한 ‘식송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지금까지 남아있는 선흘리 식송계 좌목을 분석...

      이 글은 1943년 1월, 선흘리 상동 주민 25명이 귀중한 생존자원인 소나무를 심고 가꾸기 위해 결성한 ‘식송계’에 관한 연구이다. 이 연구에서 지금까지 남아있는 선흘리 식송계 좌목을 분석하여 전통 제주 사회 마을 공동체 조직인 ‘계’의 공동체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선흘리 식송계는 ‘송계’의 일반적 취지에 따르는 한편 제주지역 특성을 반영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제주 4.3’으로 인하여 선흘리 식송계는 지속하지 못하였다. 게다가 소나무 숲이 모두 불에 타 흔적 없이 사라졌다. 하지만 식송계를 결성하기 4년 전 이미 선흘리 주민들은 ‘용수접’을 결성했던 저력이 있다. 그리고 1953년 선흘리 곶자왈과 임야에 대한 관리와 보존 및 계원 간 친목 도모를 위해 식송계의 연장이라 할 수 있는 산림계를 만들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1980년대 이후 마을 공동자원인 동백동산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동체와 공동체 의식의 복원을 추구하여왔다.
      이에서 보면 선흘리 주민의 마을 공동체 의식은 ‘1938년 용수접 - 1943년 식송계 - 제주 4.3 - 1953년 산림계 - 공유자산 동백동산 가꾸기 - 선흘 곳을 활용한 마을 만들기’로 이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011년 7월 30일, 선흘리 식송계 계원의 자손들이 선흘리 식송계의 역사를 잊지 않으려고 식송탑을 세웠다. 이는 오래전 사라진 식송계의 취지와 역사적 의미, 나아가 선흘리 마을 공동체 의식과 정신이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음을 입증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Shiksong-gye’ formed by 25 residents of Sang-dong, Seonheul-ri in January 1943 to plant and take care of pine trees, a valuable resource for survival. In this study, the communal meaning of ‘Gye’, a traditional ...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Shiksong-gye’ formed by 25 residents of Sang-dong, Seonheul-ri in January 1943 to plant and take care of pine trees, a valuable resource for survival. In this study, the communal meaning of ‘Gye’, a traditional Jeju social village community organization, was examined by analyzing ‘Jwamok’ of the Sunheul-ri Shiksong-gye seat left until now.
      However, due to ‘Jeju 4.3’, the Seonheul-ri Shiksong-gye could not continue. In addition, all the pine forests were burned and disappeared without a trace. However, the residents of Seonheul-ri already had the potential to create ‘Yongsu-jeop’ four years before the formation of the Shiksong-gye. In 1953, Sanlim-gye(forest guild), an extension of the Shiksong-gye, was established to manage and preserve the forests of Seonheul-ri and to promote friendship among the members of community organization.
      As a result, the village community spirit of Seonheul-ri residents can be said to be ‘Yongsu-jeop in 1938 - Shiksong-gye in 1943 - Jeju 4.3 - Sanlim-gye in 1953 - Caring for Dongbaek Dongsan as a shared asset - Improving a village using Seonheul-goj.
      On July 30, 2011, descendants of Seonheul-ri Shiksong-gye members built the ‘Shiksong Tower’ in order not to forget the history of Seonheul-ri Shiksong-gye. This proves that the purpose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long-lost Shiksong-gye, and furthermore, the sense and spirit of the community in Seonheul-ri village are still continuing.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식송계의 생성과 변천
      • Ⅲ. 선흘리 식송계의 조직과 운영
      • Ⅳ. 선흘리 식송계와 지역공동체 의식
      • Ⅴ. 결론
      • Ⅰ. 서론
      • Ⅱ. 식송계의 생성과 변천
      • Ⅲ. 선흘리 식송계의 조직과 운영
      • Ⅳ. 선흘리 식송계와 지역공동체 의식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