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행자의 시공간 인식에 관한 철학적 해석: 자연기반 다큐멘터리 프로그램 호스트여행자를 중심으로 = A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of travelers’ space-time perceptions : Focused on nature-based documentary host travel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03692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의 연구목적은 기행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자연기반여행자들의 여행경험 서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시간과 공간을 인식하고 이러한 시공간 인식이 어떻게 존재론적 성찰과 성스러움 추구로 이어지는지에 관한 철학적 담론을 전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14년과 2015년에 EBS와 KBS에서 방영된 자연기반여행 다큐멘터리 중에서 수행적‧시적 양식의 서사에 가까운 다큐 4편을 선택하였다. 본고의 연구주제는 자연기반여행자들은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느끼고 인식하는가? 시간과 공간 인식이 어떻게 존재론적 사유로 이어지는가? 여행자는 자연대상으로부터 어떻게 종교성을 표출하고 구현하는가? 이다. 다큐의 서사분석은 조사대상 다큐를 반복적으로 시청하고 모든언술내용을 실사하고 여행자의 시공간 인식에 초점을 맞춰 반복해서 읽고 주석을 달았다. 그리고 칸트, 하이데거, 화이트헤드 등의 시공간과 존재론에 관한 이론들을 근거로 철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원시자연에 대한 여행자들의가장 전형적인 반응은 “벅찬 감동, 가슴이 먹먹함, 가슴을 고동치게 함, 말문 막힘, 형언할 수 없음“과 같은 표현에서나타난 바와 같이 자연대상에 의해 압도되면서 동시에 매혹되는 양가적 감정이다. 이는 놀라운 자연현상을 마주칠때 영혼에 내재된 상상력이 작용하여 인간과 우주의 근원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고 감동이 한꺼번에 분출하는 숭고와 두려운 신비함을 말한다. 여행자가 경험하는 자연공간은 마치 속(俗)에서 성(聖)으로, 혹은 비본래성에서 본래성으로 이행하는 존재양식이 전이되는 역공간이다. 지질학자들의 여행에서 특이점은 그들의 과학적 지식이 존재론적‧종교적 성찰을 촉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조사대상 여행자들은 공통적으로 지속적인 존재론적 사유와 인간, 자연, 신이 하나의 체계에 공속되어 있다는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본고는 여행경험을 시공간 인식의 관점에서 처음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자연기반여행에서 여행자의 철학적‧종교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떻게 자연현상에 대한 미적 경험과 시공간인식이 존재론적‧종교적사유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도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고의 연구목적은 기행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자연기반여행자들의 여행경험 서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시간과 공간을 인식하고 이러한 시공간 인식이 어떻게 존재론적 성찰과 성스...

      본고의 연구목적은 기행다큐멘터리에 등장하는 자연기반여행자들의 여행경험 서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어떻게시간과 공간을 인식하고 이러한 시공간 인식이 어떻게 존재론적 성찰과 성스러움 추구로 이어지는지에 관한 철학적 담론을 전개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2014년과 2015년에 EBS와 KBS에서 방영된 자연기반여행 다큐멘터리 중에서 수행적‧시적 양식의 서사에 가까운 다큐 4편을 선택하였다. 본고의 연구주제는 자연기반여행자들은 시간과 공간을 어떻게 느끼고 인식하는가? 시간과 공간 인식이 어떻게 존재론적 사유로 이어지는가? 여행자는 자연대상으로부터 어떻게 종교성을 표출하고 구현하는가? 이다. 다큐의 서사분석은 조사대상 다큐를 반복적으로 시청하고 모든언술내용을 실사하고 여행자의 시공간 인식에 초점을 맞춰 반복해서 읽고 주석을 달았다. 그리고 칸트, 하이데거, 화이트헤드 등의 시공간과 존재론에 관한 이론들을 근거로 철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원시자연에 대한 여행자들의가장 전형적인 반응은 “벅찬 감동, 가슴이 먹먹함, 가슴을 고동치게 함, 말문 막힘, 형언할 수 없음“과 같은 표현에서나타난 바와 같이 자연대상에 의해 압도되면서 동시에 매혹되는 양가적 감정이다. 이는 놀라운 자연현상을 마주칠때 영혼에 내재된 상상력이 작용하여 인간과 우주의 근원에 대한 이미지를 떠올리고 감동이 한꺼번에 분출하는 숭고와 두려운 신비함을 말한다. 여행자가 경험하는 자연공간은 마치 속(俗)에서 성(聖)으로, 혹은 비본래성에서 본래성으로 이행하는 존재양식이 전이되는 역공간이다. 지질학자들의 여행에서 특이점은 그들의 과학적 지식이 존재론적‧종교적 성찰을 촉진하고 있다는 점이다. 조사대상 여행자들은 공통적으로 지속적인 존재론적 사유와 인간, 자연, 신이 하나의 체계에 공속되어 있다는 세계관을 갖고 있었다. 본고는 여행경험을 시공간 인식의 관점에서 처음으로 해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앞으로 자연기반여행에서 여행자의 철학적‧종교적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로 확장해 나갈 필요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어떻게 자연현상에 대한 미적 경험과 시공간인식이 존재론적‧종교적사유로 이어지는지에 대한 정량적 연구도 가능하리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진아, "화이트헤드의 시공간론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07

      2 정연홍,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4

      3 김대규, "화이트헤드 철학과 과정신학의 신 이해 : 자연주의적 유신론으로서의 과정신학이 지니는 긍정적 의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7

      4 이경재, "한국동서철학회 <시간과 철학>" 철학과 현실사 97-124, 2009

      5 신상희, "하이데거의 사방세계와 신" 한국철학회 (84) : 63-86, 2005

      6 박찬국, "하이데거 읽기" 새창미디어 2014

      7 임형모, "폴 틸리히의 ‘새로운 존재’에 대한 종교신학적 의의" 한국기독교학회 (91) : 105-130, 2014

      8 김종대, "칸트의 숭고미에 대해" 외국문학연구소 (53) : 101-118, 2014

      9 공병혜, "칸트미학에 있어서 미적이념의 체계적 위치" 49 : 123-149, 1996

      10 변찬복, "진정성추구여행의 종교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49-65, 2018

      1 임진아, "화이트헤드의 시공간론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대학원 2007

      2 정연홍, "화이트헤드의 과정철학"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4

      3 김대규, "화이트헤드 철학과 과정신학의 신 이해 : 자연주의적 유신론으로서의 과정신학이 지니는 긍정적 의의"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7

      4 이경재, "한국동서철학회 <시간과 철학>" 철학과 현실사 97-124, 2009

      5 신상희, "하이데거의 사방세계와 신" 한국철학회 (84) : 63-86, 2005

      6 박찬국, "하이데거 읽기" 새창미디어 2014

      7 임형모, "폴 틸리히의 ‘새로운 존재’에 대한 종교신학적 의의" 한국기독교학회 (91) : 105-130, 2014

      8 김종대, "칸트의 숭고미에 대해" 외국문학연구소 (53) : 101-118, 2014

      9 공병혜, "칸트미학에 있어서 미적이념의 체계적 위치" 49 : 123-149, 1996

      10 변찬복, "진정성추구여행의 종교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7 (27): 49-65, 2018

      11 William James, "종교적 경험의 다양성" 한길사 2000

      12 김재영, "종교경험의 다양성 속에 나타난 윌리엄 제임스의 종교이론" 9 : 143-180, 1994

      13 강학순, "존재와 공간: 하이데거 존재의 토폴로지와 사상의흐름" 한길사 2011

      14 변찬복, "자연기반 여행객의 미적 경험에 관한 연구 - 칸트 미학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30 (30): 535-559, 2015

      15 배철현, "인간의 위 대한 여정" 21세기북스 2017

      16 Murray Stein, "융의 영혼의 지도" 문예출판사 2015

      17 변찬복, "영성관광의 진정성에 관한 연구 - 하이데거의 존재론을 중심으로 -" 대한관광경영학회 27 (27): 75-95, 2013

      18 변찬복, "여행의 진정성에 관한 철학적 고찰"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 (26): 279-296, 2017

      19 Botton, A., "여행의 기술" 이레 2004

      20 임마누엘 칸트, "순수이성비판" 아카넷 2006

      21 루돌프 오토, "성스러움의 의미" 분도출판사 2013

      22 Mircea Eliade, "성과 속: 종교의 본질" 학민사 1983

      23 임경미, "산티아고 순례길 여행 체험에 대한 평생학습적 의미"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24 Paul Tillich, "믿음의 역동성" 그루터기하우스 2005

      25 송인랑, "미를 통한 자연과 인간의 화해 : 아도르노와 칸트의 미학에서 자연미와 예술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26 안정식, "멀치아 엘리아데의 사상에 대한 종교신학적 비평" 23 (23): 253-275, 2005

      27 변찬복, "기행다큐멘터리 서사에 나타난 자연기반여행의 미학적 해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5 (25): 165-180, 2016

      28 문환희, "과정신학의 신 이해"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29 가스통 바술라르,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30 Tuan, Y. F., "공간과 장소" 도서출판대윤 2011

      31 아우구스티누스, "고백론" CH북스(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16

      32 이길용, "고대인의 눈으로 현대를 조망한 호모 렐리기우스멀치아 엘리아데" 49 (49): 190-202, 2005

      33 "http://www.travel-industry-dictionary.com"

      34 "http://outdooreconomy.com"

      35 Willson, G. B., "Tourism and spirituality : a phenomenological analysis" 42 : 150-168, 2013

      36 Urry, J., "The tourist gaze: leisure and travel in contemporary societies" Sage Publications 2002

      37 Pargament, K. I., "The psychology of religion and coping:Theory, research, practice" Guidlford Publications 1997

      38 Haynes, R. D., "Seeking the center: The Australian desert in literature, art and film" Cabridge University Press 1998

      39 Allport, G. W., "Personal religious orientation and prejudice" 5 : 432-443, 1967

      40 Clifford, G., "Interpretation of Cultures" Basic Books 1973

      41 MacCannell, D., "Hosts and guests revisited:Tourism issues of the 21st century" Cognizant Communication Corporation 380-390, 2001

      42 Li, Y., "Geographical consciousness and tourism experience" 27 (27): 863-883, 2000

      43 Laing, J. H., "Frontier tourism: retracing mythic journeys" 38 (38): 1516-1534, 2011

      44 Sage, V., "Encountering the wilderness, encountering the mist:nature romanticism and contemporary paganism" 20 (20): 27-52, 2009

      45 Cohen, E., "Contemporary Tourism. diversity and Change" ELSEVIER Ltd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12-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6-03-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관광연구저널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5 1.95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18 0.6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