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퇴계의 경사상과 『활인심방』에서의 마음치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995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퇴계(退溪)는 만병의 근원은 마음이라고 인식하고 마음을 치유함으로써 병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그 방법으로 ‘경(敬)’을 통한 심신의 수양을 제시하였다. 마음의 ...

      퇴계(退溪)는 만병의 근원은 마음이라고 인식하고 마음을 치유함으로써 병의 근원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을 제시하며 그 방법으로 ‘경(敬)’을 통한 심신의 수양을 제시하였다. 마음의 치유를 위한 수양론은 마음 다스리기이고, 마음의 다스림은 몸의 치유로까지 이어진다고 본 것이다. 퇴계는 경을 지극히 엄숙하고 정제된 자세로서 마음이 미발인 상태에서는 존양의 도를 실천하는 것이며 기발의 상태에서는 성찰의 도를 실천함으로써 흐트러진 마음을 다시 모아 심기를 일전시켜 몸의 치유까지 이르게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수양의 일단으로 제시하고 마음 치유의 방법으로 활용한 것이 『활인심방(活人心方)』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활인심방』에서는 ‘중화탕(中和湯)’과 ‘화기환(和氣丸)’으로 마음의 수양을 약에 비유하여 마음을 다스림으로써 만병을 치료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이 퇴계는 마음을 다스리는 실천방법을 형상화시켜 구체적으로 제시해 줌으로써 병에 걸리지 않고 예방할 수 있는 수련법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egye(退溪) recognizes that the source of all diseases is the mind, and suggests a direction to solve the underlying problem of the disease by healing the mind. The method is mind and body training through ‘Kyoung(敬)’. The cultivate one’s m...

      Toegye(退溪) recognizes that the source of all diseases is the mind, and suggests a direction to solve the underlying problem of the disease by healing the mind. The method is mind and body training through ‘Kyoung(敬)’. The cultivate one’s mind for the healing of the mind is the reign of the mind, and the reign of the mind leads to the healing of the body. According to Toegye, ‘Kyoung’ is an extremely solemn and refined posture, and in a state where the mind does not move, it is to nurture a good character that is the original mind. And when the mind is already moving, it gather the scattered mind again by reflection, and healing the body by changing the mind.
      It is Hwal-In-Shim-Bang(活人心方) that it is presented as a part of this fostering and used as a method of healing the heart. Especially, Hwal-In-Shim-Bang tried to treat the mind by comparing the discipline of mind to drugs such as ‘Joonghwatang(中和湯)’ and ‘Hwagihwan(和气丸)’. As such, Toegye suggested a method of training that can be prevented without getting sick by presented the concrete way to practice the mi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퇴계의 치심(治心)과 지경(持敬)
      • 3. 『활인심방』의 마음치유
      • 4. 맺음말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퇴계의 치심(治心)과 지경(持敬)
      • 3. 『활인심방』의 마음치유
      • 4.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진수, "한국의 양생사상 연구" 한양대학교출판부 1999

      2 吳錫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儒敎文化硏究所 2012

      3 조성환, "퇴계학에서 마음과 생명의 만남 - 『심경부주』와 『활인심방』을 중심으로 -" 영남퇴계학연구원 (18) : 93-117, 2016

      4 최봉근, "퇴계철학을 통해 본 『活人心方』의 질병과 양생의 의미" 동양철학연구회 (44) : 89-118, 2005

      5 윤경희, "퇴계의 인간관과 심신수련법" 28 (28): 45-49, 2002

      6 이희대, "퇴계의 수적(手蹟) 활인심방(活人心方)" 28 (28): 96-97, 1980

      7 김부찬, "퇴계의 敬사상에 있어서 몸의 문제" 유학연구소 25 : 117-138, 2011

      8 권오봉, "퇴계선생 일기회성" 창지사 1994

      9 이조원, "퇴계사상체계에서의 敬과 禪에 관한 연구" 한국선학회 (21) : 11-46, 2008

      10 이연도, "유가 공부론과 명상 - 퇴계 {活人心方}을 응용한 수양치료 모형" 한국철학사연구회 (28) : 363-386, 2010

      1 이진수, "한국의 양생사상 연구" 한양대학교출판부 1999

      2 吳錫源, "한국 도학파의 의리사상" 儒敎文化硏究所 2012

      3 조성환, "퇴계학에서 마음과 생명의 만남 - 『심경부주』와 『활인심방』을 중심으로 -" 영남퇴계학연구원 (18) : 93-117, 2016

      4 최봉근, "퇴계철학을 통해 본 『活人心方』의 질병과 양생의 의미" 동양철학연구회 (44) : 89-118, 2005

      5 윤경희, "퇴계의 인간관과 심신수련법" 28 (28): 45-49, 2002

      6 이희대, "퇴계의 수적(手蹟) 활인심방(活人心方)" 28 (28): 96-97, 1980

      7 김부찬, "퇴계의 敬사상에 있어서 몸의 문제" 유학연구소 25 : 117-138, 2011

      8 권오봉, "퇴계선생 일기회성" 창지사 1994

      9 이조원, "퇴계사상체계에서의 敬과 禪에 관한 연구" 한국선학회 (21) : 11-46, 2008

      10 이연도, "유가 공부론과 명상 - 퇴계 {活人心方}을 응용한 수양치료 모형" 한국철학사연구회 (28) : 363-386, 2010

      11 김민재, "명상의 관점에서 본 퇴계 ‘경(敬)’ 사상의 교육적 시사점" 철학연구소 37 : 327-358, 2014

      12 이연도, "동양 수양론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 모색 - 『活人心』과 철학치료" 한국중국학회 (59) : 411-426, 2009

      13 반광식, "뇌내혁명" 사람과 책 1996

      14 차건수, "退溪의 철학 사상과 活人心方에 나타난 건강의 의미" 39 (39): 69-77, 2000

      15 성호준, "退溪의 心身觀과 <活人心法>"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16) : 73-92, 2010

      16 이동기, "退溪의 人性敎育論(1)" 영남퇴계학연구원 (14) : 217-239, 2014

      17 임식, "退溪의 「活人心方」에 대한人文學的 養生 試論" 민족문화연구소 (59) : 447-476, 2015

      18 이진수, "退溪哲學의 養生思想에 관한 硏究" 81-142, 1992

      19 김성일, "活人心方에서 찾아본 退溪의 건강교육과 사상" 민족문화연구소 (56) : 211-230, 2014

      20 최봉근, "活人心方과 퇴계철학, 그 의학과 철학의 만남" 한국양명학회 (15) : 165-198, 2005

      21 김중한, "活人心方과 양생법" 6 : 150-161, 2000

      22 이윤희, "活人心方" 예문서원 2006

      23 주동진, "「活人心方」에서 살펴본 퇴계의 건강(養生)론" 영남퇴계학연구원 (13) : 251-273, 2013

      24 권봉숙, "<活人心方>의 健康增進 談論"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18) : 79-98,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