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과제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 개선안 실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제로 튜터제도 내실화 방안이 학생들의 중도탈락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316301
2017
Korean
학술저널
-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과제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 개선안 실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제로 튜터제도 내실화 방안이 학생들의 중도탈락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
본 과제는 시범운영 기간 동안 개선안 실행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실제로 튜터제도 내실화 방안이 학생들의 중도탈락 감소에 효과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존의 튜터제도가 실행된 연도(2016년)와 내실화 방안이 운영된 연도(2017년) 간의 학생 자료를 비교하여, 튜터제도 내실화 방안이 학생들의 2학기 재등록률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본 정책과제는 튜터제도 및 튜터 평가지표의 수정 및 보완 내용을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튜터제도 내실화 방안 실행 결과, 학년 단위 튜터제도 운영에 대한 튜터/튜티들의 만족도는 높았으나, 시범운영에 따른 재등록률의 유의미한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학기가 진행되는 여러 단계 중에서, 신·편입 학생들의 40-50% 정도가 과제주출이나 출석수업과 같은 학기 초기 단계에서 중도탈락되었다. 이를 통해 튜터들의 학기초 활동의 중요성이 다시 한번 확인되었다. 튜터들이 학기초에 집중적인 학생지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안내 및 교육이 필요하고, 또한 이에 대한 지원 및 평가 방안 구축이 요구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방송대 콘텐츠를 활용한 역량기반 KNOU MOOC 서비스 구현 전략
학습소외계층 지원 특화 원격고등평생교육 지원 체제 구축방안
국립대 혁신지원 사업(PoINT) 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