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특성에 따른 주민의 혈중 Pb 농도와 요중 Cotinine의 농도 = Level of Blood Lead and Urine Cotinine of Residents by A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240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rd KONEHs) conducted a survey of 280 residents in Ulsan, Suwon and Asan, an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blood and urine were also analyzed. In case of blood lead concentration, Ulsan 2.2...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3rd KONEHs) conducted a survey of 280 residents in Ulsan, Suwon and Asan, an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 blood and urine were also analyzed. In case of blood lead concentration, Ulsan 2.27 ㎍/㎗, Suwon 2.08 ㎍/㎗, and Asan 1.75 ㎍/㎗, the high peak in Ulsan, and the low peak in Asan. In case of cotinine concentration, Ulsan smoking(609.16 ㎍/g_ct) is higher than nonsmoking(74.07 ㎍/g_ct), as Suwon and Asan smoking(416.72 ㎍/g_ct, 903.21 ㎍/g_ct) is higher than nonsmoking(72.72 ㎍/g_ct, 18.06 ㎍/g_ct), smoking group is higher than nonsmoking group in all area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p<0.01). In considering results synthetically, these study results are an aid to constructing environmental health science-side heavy metal management measure education programs for normal resi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정숙,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노출관련 인자"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089-2099, 2015

      2 정경식, "한국인의 요중 크레아티닌 농도에 관한 연구−국민건강영양조사 4기 자료 이용−" 한국환경보건학회 38 (38): 31-41, 2012

      3 유인영, "한국 성인의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대사 증후군" 한국생활환경학회 21 (21): 251-259, 2014

      4 이상우, "폐금속 광산지역 비소 및 중금속 오염에 대한 인체위해성평가 및 복원농도 설정" 한국광물학회 28 (28): 309-323, 2015

      5 송선호, "충청북도 일부 폐광산 지역 주민의 만성 납 노출 정도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19 (19): 527-532, 2010

      6 박지웅, "직업적 납 노출이 없는 일부 한국성인에서 혈중 납농도와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 (20): 165-173, 2008

      7 김아라, "울산의 두 지역 초등학생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과 요중 카드뮴 농도와의 관련성" 한국환경보건학회 42 (42): 396-408, 2016

      8 김찬우, "우리나라 일부 지역 주민에서 생선 섭취 빈도가 혈중 수은 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114-121, 2010

      9 김효준, "우리나라 일부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 농도" 한국생명과학회 19 (19): 472-478, 2009

      10 이유진, "요중 코티닌 농도를 이용한 클럽 이용자들의 간접흡연 수준 평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8 (28): 45-53, 2011

      1 오정숙,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노출관련 인자"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2089-2099, 2015

      2 정경식, "한국인의 요중 크레아티닌 농도에 관한 연구−국민건강영양조사 4기 자료 이용−" 한국환경보건학회 38 (38): 31-41, 2012

      3 유인영, "한국 성인의 혈중 납, 수은, 카드뮴 농도와 대사 증후군" 한국생활환경학회 21 (21): 251-259, 2014

      4 이상우, "폐금속 광산지역 비소 및 중금속 오염에 대한 인체위해성평가 및 복원농도 설정" 한국광물학회 28 (28): 309-323, 2015

      5 송선호, "충청북도 일부 폐광산 지역 주민의 만성 납 노출 정도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19 (19): 527-532, 2010

      6 박지웅, "직업적 납 노출이 없는 일부 한국성인에서 혈중 납농도와 생활습관에 관한 연구"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0 (20): 165-173, 2008

      7 김아라, "울산의 두 지역 초등학생의 알레르기 질환 유병과 요중 카드뮴 농도와의 관련성" 한국환경보건학회 42 (42): 396-408, 2016

      8 김찬우, "우리나라 일부 지역 주민에서 생선 섭취 빈도가 혈중 수은 농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직업환경의학회 22 (22): 114-121, 2010

      9 김효준, "우리나라 일부 도시와 농촌지역 주민의 혈중 납 및 혈중 카드뮴 농도" 한국생명과학회 19 (19): 472-478, 2009

      10 이유진, "요중 코티닌 농도를 이용한 클럽 이용자들의 간접흡연 수준 평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8 (28): 45-53, 2011

      11 최윤정, "서울지역 미세먼지 고농도에 따른 천식사망자 사례일의 종관기상학적 분류" 한국환경과학회 26 (26): 159-172, 2017

      12 홍석환, "생활환경 여건이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31 (31): 329-336, 2017

      13 곽미영, "금연동기단계에 따른 코칭프로그램이 환자 금연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7 (17): 188-198, 2016

      14 임지영, "국내 일부 지역주민의 혈액과 요중 중금속 농도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 22 (22): 59-72, 2013

      15 최충익, "경제성장과 환경오염간의 관계에 대한 국제비교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1 (41): 153-166, 2006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environmental pollutant analysis manual of biological material"

      17 Ministry of Environment, "Whitepaper of Environment" 2014

      18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tobacco analysis method : the analysis of cigarette main stream smoke"

      19 Baek, K. O., "The change of white blood cell count according to blood cadmium level" Keimyung University 2016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The 3rd survey of hazardous substances in national biological samples" 2008

      21 Kim, E. K., "Related factors on the concentrations blood lead, mercury and cadmium: finding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al examination survey(KNHES)" Korea University 2013

      22 Han, Y. J., "Reference level of blood lead in Korean adults : result from the 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 254-254, 2016

      23 Liu, Y., "Potential health risk in areas with high naturally -occurring cadmium background in southwestern China" 122-131, 2015

      24 박용선, "PC방에서의 간접흡연에 따른 요중 코티닌의 농도" 한국환경보건학회 28 (28): 11-19, 2002

      25 Ju, W. K., "How to remedial treatment of drug abuse" 10 : 239-287, 2000

      26 Jo, H. M., "Heavy metal level in blood and urine of residents in industrial area" Soonchunhyang University 2008

      27 Jeong, D. J., "Contamination and ecological risk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masan bay and Ulsan coast" 144 : 2018

      28 Lee, E. J., "Construction of cadmium and lead database for commonly consumed food items among Korean population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dietary cadmium and lead expos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2015

      2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Annual report of air quality in Korea" 2009

      30 Byun, J. H., "A Decrease in smoking strategy for health promotion of Koreans" Ministry of Health &Welfare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2-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KCI등재
      2011-05-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3-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6 0.35 0.52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