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필립 글래스(Philip Glass) 작품의 멀티미디어적 분석 : 영화 코야니스카치(Koyaanisqatsi, 1982)를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51897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201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예술전문사)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 음악학과 음악학전공 , 2014.2

      • 발행연도

        201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70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Multimedia Analysis of Philip Glass's work: through film Koyaanisqatsi(1982)

      • 형태사항

        Ⅷ, p.113 : 삽화,표,악보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 p.106-111

      • 소장기관
        •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ilip Glass is an American contemporary music composer. Well known for his minimal style music, Glass has composed numerous multimedia works such as opera, film music, theater music, and dance music. He has a strong interest in multimedia music, which leads us to the new methodology to analyze his music.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musical aspects of Glass in multimedia through Koyaanisqatsi(1982), an experimental film, made by Godfrey Reggio and Philip Glass. The followings are the musical features of Glass studied in this paper.
      Firstly, the repetition of musical figures in his works makes a synchronization of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It is because of the picture-like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ing musical patterns can be easily juxtaposed with the repetitive patterns of images in the film.
      Secondly, the repetitions of chordal progress or musical division are employed as musical ostinato in the film. In this case, the moving image of film can be perceived as a musical melody line. Furthermore, this way of combination can be extended as an integrated tension made by visual and acoustic senses, because the audiences are able to recognize musical elements being put into visual elements or vice versa.
      Thirdly, non-polyphonic structures or the texture of multi-layered arpeggios can smoothly combine themselves with the visual medium which has only one screen such as film. This is because musical structures of his works make steady rhythms of pulses. For these reasons, music of Glass and moving image create a relationship like that of dance music and dancer.
      After researching these aspects, I analyze one sequence named ‘Grid’ from the film in a context of the three features mentioned above. In detailed, I study the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musical elements presented in the sequence, such as harmonies, rhythms, and repetitions, and visual elements such as cuts, some of mise-en-scène, and camera movements.
      This study is not a study of film music, which deals with music as a subelement of a film. Instead, this focused on a sort of example of the way music exists in new circumstances. Also, this result shows us that music can create a new meaning in a multimedia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an observation of this interaction, various musical features of Philip Glass, for instance his extreme simplicity, can be newly understood as his own charms, cannot be interpreted in the formalism context.
      번역하기

      Philip Glass is an American contemporary music composer. Well known for his minimal style music, Glass has composed numerous multimedia works such as opera, film music, theater music, and dance music. He has a strong interest in multimedia music, whic...

      Philip Glass is an American contemporary music composer. Well known for his minimal style music, Glass has composed numerous multimedia works such as opera, film music, theater music, and dance music. He has a strong interest in multimedia music, which leads us to the new methodology to analyze his music.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musical aspects of Glass in multimedia through Koyaanisqatsi(1982), an experimental film, made by Godfrey Reggio and Philip Glass. The followings are the musical features of Glass studied in this paper.
      Firstly, the repetition of musical figures in his works makes a synchronization of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It is because of the picture-like characteristics of the repeating musical patterns can be easily juxtaposed with the repetitive patterns of images in the film.
      Secondly, the repetitions of chordal progress or musical division are employed as musical ostinato in the film. In this case, the moving image of film can be perceived as a musical melody line. Furthermore, this way of combination can be extended as an integrated tension made by visual and acoustic senses, because the audiences are able to recognize musical elements being put into visual elements or vice versa.
      Thirdly, non-polyphonic structures or the texture of multi-layered arpeggios can smoothly combine themselves with the visual medium which has only one screen such as film. This is because musical structures of his works make steady rhythms of pulses. For these reasons, music of Glass and moving image create a relationship like that of dance music and dancer.
      After researching these aspects, I analyze one sequence named ‘Grid’ from the film in a context of the three features mentioned above. In detailed, I study the organic relationships between musical elements presented in the sequence, such as harmonies, rhythms, and repetitions, and visual elements such as cuts, some of mise-en-scène, and camera movements.
      This study is not a study of film music, which deals with music as a subelement of a film. Instead, this focused on a sort of example of the way music exists in new circumstances. Also, this result shows us that music can create a new meaning in a multimedia environment. In addition, through an observation of this interaction, various musical features of Philip Glass, for instance his extreme simplicity, can be newly understood as his own charms, cannot be interpreted in the formalism contex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필립 글래스(Philip Morris Glass, 1937~)는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이다. 그는 미니멀리즘 작곡가로 유명하며 오페라, 영화, 연극음악, 무용음악 등으로 대표되는 멀티미디어 음악 작품들을 많이 작곡했다. ‘멀티미디어 음악’에 대한 글래스의 폭넓은 관심은, 그의 음악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게 한다. 멀티미디어 작품들은 이미지, 내러티브, 연기 등의 음악 외적 요소가 음악과 결합한 총체로 관객에게 전달되며, 멀티미디어 안의 음악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실험영화 코야니스카치(Koyaanisqatsi, 1982)의 멀티미디어적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글래스의 음악이 ‘영상’과 관계 맺는 방식을 밝힌다. 이는 기존에 축적된 글래스 음악에 대한 연구들이 멀티미디어라는 환경 안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먼저 본 논문에서 관찰한 영화 속 글래스 음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영상과 결합해 있다.
      첫째, 사운드 트랙 속의 ‘음형 반복’은 영화 속 기하학적 이미지와 만나 음악의 ‘시청각화’를 초래한다. 이는 글래스 음악 특유의 반복적인 음악요소(음형과 연타음 등)가 가지고 있는 회화적 인상이 영상 속 이미지의 ‘패턴’과 쉽게 병치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퀀스 ‘리소스’에 등장하는 강의 풍경이나 시퀀스 ‘그리드’에 등장하는 ‘밤거리’의 모습은 음악과 영상이 통합된 ‘시청각’ 형태의 정보로 관객에게 다가간다.
      둘째, 사운드 트랙의 ‘화성진행 반복’이나 ‘음악적 단락’의 반복은 영화 안에서 거대한 오스티나토처럼 작용하며, 이에 결합하는 영상을 마치 ‘선율’처럼 견인한다. 이 경우, 음악과 영상은 서로 다른 변인으로 분리된 채 인식된다. 관객들은 영화를 보며 반복하는 음악의 오스티나토 위에 ‘영상선율’이 진행하는 것을 수월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이 두 번째 결합방식은 음악과 영상이 통합적인 시간적 긴장감을 성취하는 것으로도 확장된다. 예를 들어 영화는 음악진행의 긴장감이 떨어질 무렵 영상요소들(화면전환, 화면 틀의 움직임, 화면조작 등)을 추가함으로써 긴장감이 유지한다. ‘그리드’ 시퀀스가 20분가량의 시간을 거쳐 클라이맥스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음악과 영상이 서로 다른 변인으로 작용하여 긴장감을 만들기 때문이다.
      셋째, 반-폴리포니적 짜임새 또는 선율선이 부재하고 아르페지오 음형과 다층적인 성부의 겹침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글래스 음악의 짜임새는 하나의 스크린을 갖는 영상매체와의 결합을 원활하게 한다. 사운드 트랙 속 음악의 짜임새가 음향 전면에 일정하게 뻗어 나가는 펄스를 생성하며, 이는 영상의 1방향적인 시간과 결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코야니스카치 대부분의 시퀀스들은 시간에 따른 음악의 각 ‘지점’들이 영상의 ‘지점’들과 1대 1로 결합한다. 마치 음악에 맞추어 영상이 춤을 추는 것과 같다.
      그리고 이 논문은 위의 영상결합방식을 바탕으로 영화의 한 시퀀스를 복합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에 사용되는 시퀀스 ‘그리드’는 음악과 영상의 상호작용이 최고조에 달한 부분으로, 영화 전체의 클라이맥스를 형성한다.
      번역하기

      필립 글래스(Philip Morris Glass, 1937~)는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이다. 그는 미니멀리즘 작곡가로 유명하며 오페라, 영화, 연극음악, 무용음악 등으로 대표되는 멀티미디어 음악 작품들을 많이 ...

      필립 글래스(Philip Morris Glass, 1937~)는 미국의 현대음악 작곡가이다. 그는 미니멀리즘 작곡가로 유명하며 오페라, 영화, 연극음악, 무용음악 등으로 대표되는 멀티미디어 음악 작품들을 많이 작곡했다. ‘멀티미디어 음악’에 대한 글래스의 폭넓은 관심은, 그의 음악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고민하게 한다. 멀티미디어 작품들은 이미지, 내러티브, 연기 등의 음악 외적 요소가 음악과 결합한 총체로 관객에게 전달되며, 멀티미디어 안의 음악은 다양한 구성 요소들과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형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실험영화 코야니스카치(Koyaanisqatsi, 1982)의 멀티미디어적 분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글래스의 음악이 ‘영상’과 관계 맺는 방식을 밝힌다. 이는 기존에 축적된 글래스 음악에 대한 연구들이 멀티미디어라는 환경 안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다. 먼저 본 논문에서 관찰한 영화 속 글래스 음악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영상과 결합해 있다.
      첫째, 사운드 트랙 속의 ‘음형 반복’은 영화 속 기하학적 이미지와 만나 음악의 ‘시청각화’를 초래한다. 이는 글래스 음악 특유의 반복적인 음악요소(음형과 연타음 등)가 가지고 있는 회화적 인상이 영상 속 이미지의 ‘패턴’과 쉽게 병치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시퀀스 ‘리소스’에 등장하는 강의 풍경이나 시퀀스 ‘그리드’에 등장하는 ‘밤거리’의 모습은 음악과 영상이 통합된 ‘시청각’ 형태의 정보로 관객에게 다가간다.
      둘째, 사운드 트랙의 ‘화성진행 반복’이나 ‘음악적 단락’의 반복은 영화 안에서 거대한 오스티나토처럼 작용하며, 이에 결합하는 영상을 마치 ‘선율’처럼 견인한다. 이 경우, 음악과 영상은 서로 다른 변인으로 분리된 채 인식된다. 관객들은 영화를 보며 반복하는 음악의 오스티나토 위에 ‘영상선율’이 진행하는 것을 수월하게 인지할 수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이 두 번째 결합방식은 음악과 영상이 통합적인 시간적 긴장감을 성취하는 것으로도 확장된다. 예를 들어 영화는 음악진행의 긴장감이 떨어질 무렵 영상요소들(화면전환, 화면 틀의 움직임, 화면조작 등)을 추가함으로써 긴장감이 유지한다. ‘그리드’ 시퀀스가 20분가량의 시간을 거쳐 클라이맥스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음악과 영상이 서로 다른 변인으로 작용하여 긴장감을 만들기 때문이다.
      셋째, 반-폴리포니적 짜임새 또는 선율선이 부재하고 아르페지오 음형과 다층적인 성부의 겹침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글래스 음악의 짜임새는 하나의 스크린을 갖는 영상매체와의 결합을 원활하게 한다. 사운드 트랙 속 음악의 짜임새가 음향 전면에 일정하게 뻗어 나가는 펄스를 생성하며, 이는 영상의 1방향적인 시간과 결합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코야니스카치 대부분의 시퀀스들은 시간에 따른 음악의 각 ‘지점’들이 영상의 ‘지점’들과 1대 1로 결합한다. 마치 음악에 맞추어 영상이 춤을 추는 것과 같다.
      그리고 이 논문은 위의 영상결합방식을 바탕으로 영화의 한 시퀀스를 복합적으로 분석한다. 분석에 사용되는 시퀀스 ‘그리드’는 음악과 영상의 상호작용이 최고조에 달한 부분으로, 영화 전체의 클라이맥스를 형성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분석대상과 분석방법 3
      • 3. 선행연구 5
      • I. 서론 1
      • 1. 문제제기 1
      • 2. 분석대상과 분석방법 3
      • 3. 선행연구 5
      • II. 필립 글래스의 생애와 음악 어법 8
      • 1. 생애와 대표적 음악작품 8
      • 1) 유년과 피츠버그시기 8
      • 2) 프랑스 유학 (1964~1966) 9
      • 3) 뉴욕 정착 초기 (1967~1975) 11
      • 4)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과 멀티미디어 작업 (1976년 이후) 13
      • 5) 대중에게 접근 (1982년 이후) 14
      • 6) 교향곡 (1992년 이후) 15
      • 2. 필립 글래스 음악 어법의 특징 16
      • 1) 자유로운 부가적 구조의 곡들 16
      • 2) 엄격한 규칙을 가진 부가적 구조 17
      • 3) 화성어휘의 발전 20
      • 4) 조성종지의 반복, 오페라 해변의 아인슈타인 23
      • 5) 선율의 반복, 오페라 사티아그라하 26
      • 6) 미니멀리즘과 포스트미니멀리즘 26
      • 7) 어법의 혼재 28
      • 8) 영화 코야니스카치의 음악어법 30
      • III. 영화 코야니스카치(Koyaanisqatsi, 1982)의 특징 31
      • 1. 제작 배경과 작업 방식 31
      • 2. 영화의 특이성 34
      • 3. 음악의 특징 36
      • 1) 코야니스카치 음악의 전체적 특징 38
      • 2) 사운드 트랙의 특징 39
      • 3) 전체 사운드 트랙의 조성흐름 44
      • IV. 영화 코야니스카치에서 음악과 영상의 결합방식 49
      • 1. 시청각화 49
      • 1) ‘음악적 반복’과 시청각화 50
      • 2) 영화는 움직이는 악보가 된다 54
      • 2. 개별적 변인으로 인식되는 영상과 음악 55
      • 1) ‘오스티나토’로써의 음악과 ‘선율’로써의 영상 55
      • 2) 영화에서 구현되는 음악적 긴장감 60
      • 3. ‘음악의 시간’과 ‘영상의 시간’의 결합 63
      • 1) 1채널 영상과 호모포니 음악의 결합 63
      • 2) 영상은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춘다 66
      • V. 시퀀스 ‘그리드’ 분석 67
      • 1. 시퀀스 ‘그리드’의 구성 67
      • 1) 음악의 흐름 67
      • 2) 영상과 음악의 결합 70
      • 2. 세 가지 결합방식을 적용한 분석 73
      • 1) <서주>와 <가>부분의 시청각적 주제 제시 73
      • 2) 단락의 연결부들: <가>부분과 <나>부분의 연결 79
      • 3) 다양한 층위에서 일어나는 단락 간의 대조: <가>부분~<라>부분 82
      • 4) 단락 내부의 통합적 긴장감 형성: <마>부분, <바>부분 88
      • 5) 시청각적 재현부: <사>부분 92
      • 6) 시청각적 완전 5도: <아>부분 96
      • 3. 시퀀스 ‘그리드’ 결론: 비언어적 내러티브의 생성 100
      • VI. 결론 : 필립 글래스 음악의 재조명 103
      • 참고문헌 106
      • Abstract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