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50~60년대 연극의 아마추어리즘 비판과 전문화 추구의 의미 = A study on critique of amateurism and pursuit of specialization in the 1950~6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0756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In this paper, we examine critique of amateurism and pursuit of specialization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1960s from the 1950s, check to one aspect of Korean theaters’ thought about Korean theater. Through this, I tried to clear that awareness of the theater that propose a solution that get over amateurism as a target of the Korean theater has been associated with expression of a new gener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conversion of contemporary theater.
      “Jajackgeukhoe” and many critics who appeared in the mid-1950 have criticized the “Sinpa” acting technique and immatureness of “Sinhyop”, demand for “Donginje-Geukdan” that have high degree of completion get over amateurism of the established theater. In this time Collage Theater and “Donginje-Geukdan” have secured the consciousness of a new genera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reform “Sinpa” acting skill of the established actors through study, and perform a task that expose the contemporary sensitivity through a new acting.
      With such a point, “Donginje-Geukdan” imposed on ‘study’ and ‘experiment’ based on academism, and they have acquired the professionalism of theater and present artistry theater that can’t have the established theater to audience. The professionalism is related to not the possibility of vi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as a professional troupe but also the ability to stage of the work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depressed about the work as a 'research community.
      The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new acting skill and works is achieved through association with the academy. In the 1960s including the theater Academy of Drama Center, Dongguk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ere established newly theater movie-related departments, and theater major who is received professional education have appeared. It was possible that a change of acting skill and a theater at the professional level pursued by “Donginje-Geukdan” in mid-1950s. In addition, the self-consciousness that majored in theater at the academy, they can have the new generation consciousness and have separated from not only in the off-the-shelf actors but also the theater people “Donginje-Geukdan” who had worked experience in the theater circle of the University and it was possible to enable a variety of theater in 1970s. Since the mid-1950s, 'establishment of modern drama' of Korean theater have emerged newly from the system of theater through the up-and-coming theater people under the issue that must be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heater and getting over amateurism.
      번역하기

      In this paper, we examine critique of amateurism and pursuit of specialization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1960s from the 1950s, check to one aspect of Korean theaters’ thought about Korean theater. Through this, I tried to clear that awareness o...

      In this paper, we examine critique of amateurism and pursuit of specialization that has been discussed in the 1960s from the 1950s, check to one aspect of Korean theaters’ thought about Korean theater. Through this, I tried to clear that awareness of the theater that propose a solution that get over amateurism as a target of the Korean theater has been associated with expression of a new gener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conversion of contemporary theater.
      “Jajackgeukhoe” and many critics who appeared in the mid-1950 have criticized the “Sinpa” acting technique and immatureness of “Sinhyop”, demand for “Donginje-Geukdan” that have high degree of completion get over amateurism of the established theater. In this time Collage Theater and “Donginje-Geukdan” have secured the consciousness of a new generation in terms of being able to reform “Sinpa” acting skill of the established actors through study, and perform a task that expose the contemporary sensitivity through a new acting.
      With such a point, “Donginje-Geukdan” imposed on ‘study’ and ‘experiment’ based on academism, and they have acquired the professionalism of theater and present artistry theater that can’t have the established theater to audience. The professionalism is related to not the possibility of viability and commercialization of as a professional troupe but also the ability to stage of the work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depressed about the work as a 'research community.
      The need for systematic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deep understanding of the new acting skill and works is achieved through association with the academy. In the 1960s including the theater Academy of Drama Center, Dongguk University, Chung-Ang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were established newly theater movie-related departments, and theater major who is received professional education have appeared. It was possible that a change of acting skill and a theater at the professional level pursued by “Donginje-Geukdan” in mid-1950s. In addition, the self-consciousness that majored in theater at the academy, they can have the new generation consciousness and have separated from not only in the off-the-shelf actors but also the theater people “Donginje-Geukdan” who had worked experience in the theater circle of the University and it was possible to enable a variety of theater in 1970s. Since the mid-1950s, 'establishment of modern drama' of Korean theater have emerged newly from the system of theater through the up-and-coming theater people under the issue that must be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theater and getting over amateuris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글은 1950년대 중후반과 1960년대에 연극계에서 논의되었던 아마추어리즘 비판과 전문화 추구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1950년대 중반 이후 연극계가 연극의 존재방식에 대해 새롭게 사유하는 지점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마추어리즘의 탈피를 한국 연극의 목표로 제시한 연극계의 문제의식이 새로운 세대의식의 발현 및 현대연극으로의 전환과 관련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1950년대 중반 등장한 제작극회와 여러 비평가들은 신협의 신파적 연기술과 미숙한 무대를 비판하고 동인제극단에 기성연극의 아마추어리즘에서 벗어난 완성도 높은 무대를 요구하였다. 이 시기 대학극과 동인제극단은 기성연극이 지닌 신파적 연기를 ‘연구’를 통해 쇄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세대의식을 확보하였으며, 새로운 연기를 통해 현대적 감수성을 표출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았고 또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1960년대 동인제극단이 내세운 ‘연구’와 ‘실험’은 기성연극이 갖추지 못한 학구성을 기반으로 하여 연극에 대한 전문성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기성연극이 지닐 수 없었던 연극의 예술성을 관객에게 제시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에게 전문성이란 단순한 직업극단으로서의 생존 가능성이나 상업화 가능성이 아니라 ‘연구단체’의 성격을 지닌 극단으로서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이해를 통해 작품을 무대화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것이었다. 현대극에 대한 아카데믹한 전문성의 획득을 통해 한국 연극을 현대연극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바로 동인제극단의 ‘연구’와 ‘실험’의 근간이 될 수 있었다.
      새로운 연기술 및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은 아카데미와의 연계를 통해 달성될 수 있었다. 1960년대에는 드라마센터의 연극 아카데미를 비롯하여 동국대, 중앙대, 한양대 등에 연극영화 관련 학과가 신설되며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연극 전공자가 등장하는데, 이들의 등장으로 인해 1950년대 중반 이후 동인제극단이 추구했던 연기술의 변화와 전문적 수준의 연극이 본격적으로 가능해 질 수 있었다. 나아가 아카데미에서 연극을 전공한다는 자의식은 이들이 기성연극인뿐만 아니라 주로 대학의 연극 동아리에서 활동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던 동인제극단의 연극인들과도 구분되는 새로운 세대의식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면서 1970년대 이후 연극의 다양화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연극의 ‘현대극 수립’은 한국 연극이 아마추어리즘에서 벗어나 연극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에서 신진연극인을 통해 연극의 체계를 새롭게 형성해 나감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번역하기

      이 글은 1950년대 중후반과 1960년대에 연극계에서 논의되었던 아마추어리즘 비판과 전문화 추구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1950년대 중반 이후 연극계가 연극의 존재방식에 대해 새롭게 사유하는 ...

      이 글은 1950년대 중후반과 1960년대에 연극계에서 논의되었던 아마추어리즘 비판과 전문화 추구의 양상을 살핌으로써 1950년대 중반 이후 연극계가 연극의 존재방식에 대해 새롭게 사유하는 지점을 점검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마추어리즘의 탈피를 한국 연극의 목표로 제시한 연극계의 문제의식이 새로운 세대의식의 발현 및 현대연극으로의 전환과 관련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1950년대 중반 등장한 제작극회와 여러 비평가들은 신협의 신파적 연기술과 미숙한 무대를 비판하고 동인제극단에 기성연극의 아마추어리즘에서 벗어난 완성도 높은 무대를 요구하였다. 이 시기 대학극과 동인제극단은 기성연극이 지닌 신파적 연기를 ‘연구’를 통해 쇄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세대의식을 확보하였으며, 새로운 연기를 통해 현대적 감수성을 표출해야 하는 과제를 부여받았고 또 수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에서 1960년대 동인제극단이 내세운 ‘연구’와 ‘실험’은 기성연극이 갖추지 못한 학구성을 기반으로 하여 연극에 대한 전문성을 획득하고, 이를 통해 기성연극이 지닐 수 없었던 연극의 예술성을 관객에게 제시할 수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에게 전문성이란 단순한 직업극단으로서의 생존 가능성이나 상업화 가능성이 아니라 ‘연구단체’의 성격을 지닌 극단으로서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과 이해를 통해 작품을 무대화할 수 있는 능력과 관련된 것이었다. 현대극에 대한 아카데믹한 전문성의 획득을 통해 한국 연극을 현대연극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은 바로 동인제극단의 ‘연구’와 ‘실험’의 근간이 될 수 있었다.
      새로운 연기술 및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한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은 아카데미와의 연계를 통해 달성될 수 있었다. 1960년대에는 드라마센터의 연극 아카데미를 비롯하여 동국대, 중앙대, 한양대 등에 연극영화 관련 학과가 신설되며 전문적인 교육을 받은 연극 전공자가 등장하는데, 이들의 등장으로 인해 1950년대 중반 이후 동인제극단이 추구했던 연기술의 변화와 전문적 수준의 연극이 본격적으로 가능해 질 수 있었다. 나아가 아카데미에서 연극을 전공한다는 자의식은 이들이 기성연극인뿐만 아니라 주로 대학의 연극 동아리에서 활동한 경험을 가지고 있었던 동인제극단의 연극인들과도 구분되는 새로운 세대의식을 형성할 수 있게 하면서 1970년대 이후 연극의 다양화를 이끌어내는 데 기여하였다. 1950년대 중반 이후 한국 연극의 ‘현대극 수립’은 한국 연극이 아마추어리즘에서 벗어나 연극의 전문성을 강화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아래에서 신진연극인을 통해 연극의 체계를 새롭게 형성해 나감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었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옥란,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2) : 341-374, 2010

      2 "한국일보"

      3 정호순, "한국의 소극장과 연극운동" 연극과 인간 2002

      4 김정수, "한국연극 연기에 있어서 화술표현의 변천양태 연구 :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5 차범석, "한국소극장연극사" 연극과인간 2004

      6 "조선일보"

      7 노승희, "이해랑의 낭만적 사실주의 연기술의 정착과정 연구 -‘내적 진실’ 개념의 변용과정과 관련하여-" 한국극예술학회 (33) : 85-127, 2011

      8 차범석, "예술가의 삶 6" 혜화당 1993

      9 "서울신문"

      10 "동아일보"

      1 김옥란, "한국현대연극비평의 기원으로서의 오화섭과 여석기 -1950․1960년대 신문비평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2) : 341-374, 2010

      2 "한국일보"

      3 정호순, "한국의 소극장과 연극운동" 연극과 인간 2002

      4 김정수, "한국연극 연기에 있어서 화술표현의 변천양태 연구 :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7

      5 차범석, "한국소극장연극사" 연극과인간 2004

      6 "조선일보"

      7 노승희, "이해랑의 낭만적 사실주의 연기술의 정착과정 연구 -‘내적 진실’ 개념의 변용과정과 관련하여-" 한국극예술학회 (33) : 85-127, 2011

      8 차범석, "예술가의 삶 6" 혜화당 1993

      9 "서울신문"

      10 "동아일보"

      11 유치진, "동랑 유치진 전집 9-자서전" 서울예대출판부 1993

      12 이미경, "극단 「실험극장」사 연구: 창단부터 현재까지"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13 박경선, "극단 ‘가교’ 연구 -‘천막극장 시대’를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41) : 103-137, 2013

      14 "경향신문"

      15 실험극장, "實驗劇場十年誌" 극단 실험극장 1970

      16 김지현, "1960년대 동인제 극단의 연극 대중화 양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5

      17 김정인, "1960년대 근대화 정책과 대학" 한국근현대사학회 (63) : 243-274, 2012

      18 백로라, "1960년대 ‘연극 대중화’ 운동과 ‘대중’ 담론" 국제언어인문학회 11 (11): 175-201, 2009

      19 김옥란, "1950년대 연극과 신협의 위치" 한국문학연구소 (34) : 119-156, 2008

      20 정호순, "1950년대 소극장운동과 원각사" 한국극예술학회 12 : 2000

      21 이영석, "1950년대 ‘현대극’으로서 사실주의 연극의 양상 - 차범석의 장막극과 제작극회의 공연을 중심으로" 한국극예술학회 (47) : 81-127,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1 1.138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