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경상도지역 동천(洞天)의 위치 조사 연구 = A Study On the Geographic Locations of Dongcheons(洞天) in Gyeongsang-Do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

      도교의 경전에 최초로 기록된 ‘동천’의 의미는 유교의 근본 목적인 본래 심성을 되찾아 안심과 평안을 얻은 자들이 누리는 현실세계의 상징적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실을 탈피한 이상적인 세계로서의 동경이 ‘동천’이라는 장소성, 그리고 선경(仙境)이 재현된 장소로서의 이상적인 경관을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또한 동천은 주변 경관에 대한 애착과 장소성을 통한 동질감과 우월의식, 정주 공간의 미화화 등의 목적으로 유학자들이 ‘동천’이라는 용어를 주로 차용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2018년 3월부터 2018년 8월까지 경상도 지역을 대상으로 ‘동천’에 대한 현장조사를 통해 구전되어 오거나, 멸실되었거나, 현장이 잘 보존되고 있는 ‘동천’ 각자에 대한 확인조사를 위해 수행되었다. 조사 결과 현재까지 확인된 ‘동천’이라는 언어가 포함된 암각문 또는 현판 등에 새긴 음각문은 경상도 지역에 111개소가 분포하고 있다.
      경상북도 지역에는 확인된 ‘동천’ 암각문이 79개소가 분포하고 있으며, 영주시가 20개소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봉화군이 16개소, 안동시가 11개소, 영양군과 울진군이 7개소의 순서로 분포되어 있었다. 이 중 나무현판 형태로 된 것이 2개소이며, 마을회에서 마을의 표지석으로 세운 것이 6개소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파악된 14개소는 멸실, 또는 미상의 상태이다. 또한 봉화군에서는 16개소 중 9개소가 초서체로 암각 되어 있었다. 경상남도 지역에는 26개소의 동천 암각문이 분포하고 있었다. 함양군과 산청군, 하동군에서 각 3개소의 암각문이 있었고, 마을의 표지석 형태로 제작된 곳이 7개소가 있었으며, 『지봉유설』과 『택지리』에서 등장한 ‘화개동천’과 ‘금산동천’은 둘 다 최치원과 관련한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현재까지 암각문을 확인하지 못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향후 전통 경관관련 연구나 금석문에 대한 연구, 지역의 문화 답사 등을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itially from the Taoist scriptures, ‘Dongcheon’ is a term that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lace in the real world for the enlightened ones who received relief and peace by restoring the human nature taught in the Confucian school. The long fo...

      Initially from the Taoist scriptures, ‘Dongcheon’ is a term that can be regarded as a symbolic place in the real world for the enlightened ones who received relief and peace by restoring the human nature taught in the Confucian school. The long for an ideal world apart from the reality embodied as the labeling some places ‘Dongcheon,’ and the term was used to refer to a scenery where the ideal fairyland is reproduced. Besides, ‘Dongcheon’ was a term often used by Confucian scholars for various purposes including the attachment to the nearby landscapes, expressing homogeneity and superiority through placeness and the beautification of settlement spaces.
      This paper is the result of a field study on ‘Dongcheon’ in the Gyeongsang-Do.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March to August 2018, and we carried out firsthand location surveys on Dongcheons, of which some were lost, others were fairly preserved, and still others could not be located as only their existences were passed down orally. According to the field survey, there were total 111 inscriptions or engravings on the plates in Gyeongsang-Do that include the term ‘Dongcheon.’
      There were 79 ‘Dongcheon’ inscriptions confirmed in the Gyeongsangbuk-Do region: twenty in Yeongju-City, sixteen in Bonghwa-Gun, eleven in Andong-City and seven in Yeongyang-Gun and Ulgin-Gun. Among them, two were in the form of a wooden sign, and six were erected as rock signposts. Fourteen stops reported in the literature were lost or unidentified. Also, among the sixteen signs in Bonghwa-Gun, nine were cursive engravings. Meanwhile, there were 26 Dongcheon inscriptions in the Gyeongsangnam-Do region. Hamyang-Gun and Sancheong-Gun anf Hadong-Gun each housed three inscriptions, and seven places were in the form of rock signposts. ‘Hwagaedongcheon’ and ‘Geumsandongcheon’ could not be identified in inscriptions although they appear in Jibong Yuseol and Taengniji with stories of Choi Chiw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a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es in traditional scenery, epigraphs, or as primary data that helps cultural exploration in the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金成潤, "조선시대 大同社會論의 수용과 전개" 조선시대사학회 (30) : 5-59, 2004

      2 이효숙, "조선 후기 서인 노론계 문인들의 구곡시와 장소성" 국제어문학회 (59) : 109-134, 2013

      3 강기래,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5 (35): 67-75, 2017

      4 김경석, "洞天에 대한 기억의 소환 -가오싱젠 『영산』의 유토피아적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37 : 1-19, 2018

      5 "www.http://encykorea.aks.ac.kr"

      6 "www.http://encykorea.aks.ac.kr"

      7 "www.baike.baidu.com/item"

      8 Lee, J. K., "Wolsajip(月沙集) Vol 40"

      9 Jang, K. B., "Unkupchilchum(雲笈七籤)"

      10 Jang, Y., "Kyegoksunsaengjip(谿谷先生集)"

      1 金成潤, "조선시대 大同社會論의 수용과 전개" 조선시대사학회 (30) : 5-59, 2004

      2 이효숙, "조선 후기 서인 노론계 문인들의 구곡시와 장소성" 국제어문학회 (59) : 109-134, 2013

      3 강기래, "서울시·경기도·강원도지역 구곡·동천 위치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5 (35): 67-75, 2017

      4 김경석, "洞天에 대한 기억의 소환 -가오싱젠 『영산』의 유토피아적 의미-" 인문과학연구소 37 : 1-19, 2018

      5 "www.http://encykorea.aks.ac.kr"

      6 "www.http://encykorea.aks.ac.kr"

      7 "www.baike.baidu.com/item"

      8 Lee, J. K., "Wolsajip(月沙集) Vol 40"

      9 Jang, K. B., "Unkupchilchum(雲笈七籤)"

      10 Jang, Y., "Kyegoksunsaengjip(谿谷先生集)"

      11 Cha, Y. W., "Hanskukdogyosasangyeongu" Seoul National University Publishing 1978

      12 Shin, H., "Ganyijip(簡易集) Vol 3"

      13 Korea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Dongaksan Ilwon Gugok Haksuljosa" 2014

      14 "Dojukkyeong(道迹經)"

      15 Ulsan Daegok Museum, "An ideal world discovered in nature, the Gugok Culture" 2010

      16 Lee, H. J., "A Study on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Dongcheon in the Traditional Space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