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640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인구 약 5만의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농촌지역 거주자 중 65세 이상의 고령자 731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농촌지역 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 및 삶의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과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농촌지역 고령자의 부채에 대한 심각성이 삶의 만족도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보여 주었고, 부양과 정신건강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는 고령자에 대한 지원정책에 있어서 사회적 지원체계의 재정비 뿐 아니라, 개개인의 생활환경에 대한 서비스 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걸맞은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의미와 함께 환경변화의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인구 약 5만의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농...

      본 연구는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이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조사 대상자는 인구 약 5만의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있는 농촌지역 거주자 중 65세 이상의 고령자 731명을 대상으로 면접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농촌지역 고령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분석을 사용하였으며,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 및 삶의 만족도 차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분산분석을,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과 삶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농촌지역 고령자의 부채에 대한 심각성이 삶의 만족도에 어느 정도 영향력을 보여 주었고, 부양과 정신건강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다. 이는 고령자에 대한 지원정책에 있어서 사회적 지원체계의 재정비 뿐 아니라, 개개인의 생활환경에 대한 서비스 정비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걸맞은 농촌지역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을 제고시킬 수 있는 정책적 의미와 함께 환경변화의 시급함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Therefore, it had the main purpose of analyzing how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living environmen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elderly surveyed were selected from the residents of rural town having a population of approximately 50,000. This town is now entering into the ultra-high-aged society. One thousand of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65 years of age or older. First of all, the differences between subjective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about living environments were analyzed. The analyzed factors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family composition, income level, etc.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s between the awareness of severity of living conditions which the elderly themselves feel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tudying the awareness, there were eight factors considered. In the field of society awareness, professional, economic, debt and health care were considered and in the field of personal awareness, support, child custody, family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were don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support and mental health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field of personal and debt has to some extent the influence in the field of society awareness to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this research. Moreover,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Korea's rural community. It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as the based materials for application development.
      번역하기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Therefore, it had the main purpose of analyzing how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living environmen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factors which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Therefore, it had the main purpose of analyzing how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living environment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elderly surveyed were selected from the residents of rural town having a population of approximately 50,000. This town is now entering into the ultra-high-aged society. One thousand of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among 65 years of age or older. First of all, the differences between subjective perception and life satisfaction about living environments were analyzed. The analyzed factors were gende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family composition, income level, etc. This research also analyzed the relationships and the influences between the awareness of severity of living conditions which the elderly themselves feel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Studying the awareness, there were eight factors considered. In the field of society awareness, professional, economic, debt and health care were considered and in the field of personal awareness, support, child custody, family relationships and mental health were done. The analysis results showed support and mental health have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field of personal and debt has to some extent the influence in the field of society awareness to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in this research. Moreover, it suggested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welfare policies for the elderly living in the Korea's rural community. It is also expected to be helpful as the based materials for application developmen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1. 삶의 만족도 개념과 접근방법
      • 2.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접근방법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1. 삶의 만족도 개념과 접근방법
      • 2.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접근방법
      • 3. 선행연구
      • Ⅲ. 연구설계 및 가설설정
      • 1.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 2. 연구가설 및 설계
      • Ⅳ. 연구결과
      • 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특성
      • 2. 인구사회학적변인들에 따른 생활환경 인식차이
      • 3. 인구사회학적변인들에 따른 삶만족도 차이
      • 4. 변인별 상관관계 분석
      • 5. 고령자의 생활환경에 대한 인식과 삶의 만족도
      • Ⅴ. 연구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9-470, 2009

      2 김익기 등, "한국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3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24): 127-151, 2004

      4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5 한경혜,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19 (19): 27-46, 2001

      6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7 성기월,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19 (19): 105-117, 1999

      8 조명환,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1998

      9 이정화,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9 (9): 1-7, 2003

      10 신혜숙, "배우자유무에 다른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관란 연구" 31 (31): 1119-1128, 2001

      1 김원배, "한국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활동이론과 자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49-470, 2009

      2 김익기 등, "한국노인의 삶: 진단과 전망" 미래인력연구센터 1999

      3 허준수, "지역사회거주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4 (24): 127-151, 2004

      4 김미령, "전기, 후기 여성노인의 삶의 질 및 영향요인 비교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97-222, 2006

      5 한경혜, "자녀와의 동․별거가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19 (19): 27-46, 2001

      6 김미령,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공적 노화의 구성요소" 한국노년학회 28 (28): 33-48, 2008

      7 성기월,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일상생활활동정도와 생활만족 정도의 비교" 19 (19): 105-117, 1999

      8 조명환,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집문당 1998

      9 이정화, "사회적 환경으로서의 지원망 특성이 농촌노인의 심리적 복지에 미치는 영향" 9 (9): 1-7, 2003

      10 신혜숙, "배우자유무에 다른 여성노인의 자아존중감, 건강상태 및 생활만족도에 관란 연구" 31 (31): 1119-1128, 2001

      11 김기태, "독거노인의 생활만족도와 사회지지망-지역복지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노인을 중심으로" 20 (20): 153-168, 2000

      12 서경현, "독거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원과 정신건강에 관한 탐색" 21 : 7-26, 2003

      13 김춘택, "대구시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9 (9): 21-33, 1999

      14 서말희, "대구근교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37 (37): 29-41, 1999

      15 배진희,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생활만족도 : 자녀와 이웃지원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 (20): 197-216, 2004

      16 김상범, "농촌주거환경개선사업에 따른 농촌주거환경실태와 주거만족도" 9 (9): 9-16, 2003

      17 박광희, "농촌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1 : 43-61, 2002

      18 김오남, "농촌노인의 건강수준,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8 (8): 5-22, 2003

      19 박승희, "농촌노인들의 욕구충족과 욕구생성의 실대에 관한 사례 연구" 34 : 1007-1036, 2000

      20 김은경, "농촌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성인자녀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27-36, 2002

      21 김숙경, "농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23 (23): 179-202, 2004

      22 하춘광,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만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393-414, 2009

      23 이신숙, "노인이 경험하는 긴장상태에 대한 사회적 지원의 완충효과-노인의 생활만족도를 중심으로" 35 (35): 199-208, 1997

      24 전귀연,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28-139, 2002

      25 김태현, "노인의 주거환경과 생활만족도 연구" 7 : 77-92, 1987

      26 서미경, "노인의 정신건강과 부양의 완충작용에 관한 연구-한국노인을 중심으로" 68-86, 1990

      27 이현지, "노인의 자긍심과 자녀와의 정서적 유대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령과 배우자 유무의 중재효과-" 한국노인복지학회 (39) : 175-194, 2008

      28 민경진, "노인의 일상생활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223-248, 2007

      29 김경호, "노인의 우울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0 (20): 95-116, 2008

      30 허준수,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3 (13): 7-35, 2002

      31 김수정, "노인의 소득지위에 따른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 분석"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06

      32 조규범, "노인의 생활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5

      33 한형수, "노인의 삶의 질의 객관적 지표와 주관적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9 (39): 345-370, 2008

      34 박성복, "노인의 삶의 질 연구를 위한 통합적 접근" 2004

      35 남철현,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32 (32): 66-74, 2006

      36 권현수, "노인의 사회참여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우울, 주관적 건강상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생활과학회 18 (18): 995-1008, 2009

      37 강이주, "노인들의 노동시장 참여형태와 동거유형이 건강수준 및 주관적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9 (19): 1031-1044, 2010

      38 신현구, "노동시장 은퇴자의 은퇴만족도 및 삶의 만족도" 2007 (2007): 81-94, 2007

      39 배나래, "노년기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7

      40 박기남, "노년기 삶의 만족도의 성별 차이" 한국노년학회 24 (24): 13-29, 2004

      41 권중돈,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20 (20): 61-76, 2000

      42 권미애, "노년기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자원봉사활동 집단과 경제활동집단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28 (28): 1089-1111, 2008

      43 이인정, "남녀노인의 우울, 삶의 만족에 대한 심리사회적 요인들의 영향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노인복지학회 36 (36): 161-182, 2007

      44 김동배, "고령자의 자산유형과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경제활동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6 (36): 471-494, 2009

      45 조황희, "고령자의 삶의 질 증대를 위한 과학기술 활용방안"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07

      46 徐炳淑, "老後適應에 관한 硏究: 生活滿足度 및 家族의 交流度를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1988

      47 Alford, D.M, "Wellness and Health promotion of elder" 221-225, 1992

      48 Neugarten, B. L., "The Measurement of life satisfaction" 16 (16): 134-143, 1961

      49 Fisher, B., "Successful aging, life satisfaction and generativity in later life" 41 (41): 239-250, 1995

      50 Rowe, W, "Successful Aging" 37 : 433-440, 1997

      51 Burrett, A.,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Never Married" 21 (21): 46-73, 1999

      52 Idler, E., "Religion and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 II: Attendance at religious services as a predictor of the course of disability" 52 : 306-316, 1997

      53 Kalish. R. A., "Late Perspective on Human Development" Cole Publishing. Co 1975

      54 Kraese, N, "Clarifying the Functions of Socail Support in Later Life" 16 (16): 251-280, 1994

      55 Mroczek, D. K, "Change in life satisfaction during adulthood: Findings from the veterans affairs normative aging study" 88 (88): 189-202, 2005

      56 Chen, C., "Aging and life satisfaction" 54 (54): 57-82,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11-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영문명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Integrated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5-17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of Academy Care Management -> Korean Academy of Care Management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9 1.629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