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종교와 정신건강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들을 재검토하고 그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준거틀을 제시함으로써 종교 자원의 활용이 청소년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497617
2009
Korean
학술저널
99-122(2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종교와 정신건강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들을 재검토하고 그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준거틀을 제시함으로써 종교 자원의 활용이 청소년 정...
본 연구는 종교와 정신건강 사이의 상관관계에 대해 기존에 이루어진 연구결과들을 재검토하고 그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준거틀을 제시함으로써 종교 자원의 활용이 청소년 정신건강 증진에 기여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종교와 정신건강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기존 연구 결과의 혼재는 종교가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에 대한 실증적 검증이 부족한 것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트레스 대처 이론과 사회적 지지 이론을 기반으로 청소년에게 있어서 종교와 정신건강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하였다. 또한 청소년에 대한 접근성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효과성을 고려할 때, 종교 자원, 특히 교회 자원의 활용에 대한 사회복지 차원의 관심이 요구된다. 따라서 교회와 종교 단체들을 활용한 청소년의 정신건강 증진과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대안 모색이 요구되어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of religion in adolescents’liv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has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Findings from many studies sup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rel...
Despite the significant role of religion in adolescents’lives,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research has examined the associations betwee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in adolescence. Findings from many studies sup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religion on mental health. However, a few studies revealed that religion would be potentially harmful to a certain population. These inconsisten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would be due to the lack of theoretical models to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religiosity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suggests that conceptual models based on stress coping theory and social support theory would provide a plausible explanation on the inconsistent findings from previous studies. In addition, the current study suggests how religious institutions including church can utilize their resources in a way to improve mental health outcomes of adolesc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산업사회 청소년복지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 독일 기독교사회봉사국 사례를 중심으로
독일의 디아코니아 교과과정과 특징: 개신교 사회사업대학을 중심으로
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재난과 정신건강(Disaster and Mental Health)
K-MOOC 대구대학교 현진희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인간관계와 정신건강 /Human relationship and mental health
K-MOOC 동국대학교(WISE) 김인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