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차이코프스키 ‘환상서곡’의 장르적 경계의 모호성: 환상서곡 《로미오와 줄리엣》(1880)과 《햄릿》(1883)을 중심으로 = The Ambiguity of Genre's Border in Tchaikovsky's Fantasy Overture: Mainly on the Romeo and Juliet, 3rd.(1880) and Hamlet(198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9978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omeo and Juliet and the Hamlet - the fantasy overtures composed by Peter Ilyich Tchaikovsky in late half of nineteen century - have paid attention on the programatic character and as a result, shows tendency to consider them as a symphonic poem of the new German school. However, these two works differ from the intention of the symphonic poem which breaks from the classical formal principle, then pursues the new ideal of symphonic music and in which "the contents decide the form". Because both fantasy overtures have the sonata form which involves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presentation between introduction and coda, and, inspite of different program, they have similar formal structure.
      The musical construction of two overtures shows transformation of the sonata form in addition to the thematic transformation, episode insertion, and end-weighting construction. That can be appreciated within the overtures tradition. Those show that concert overture had been composed as ever, not had declined by the appearance of the symphonic poem, and had been succeeding the tradition of 19th century's programatic overture with genre individuality distinguishable from the symphonic poem.
      번역하기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omeo and Juliet and the Hamlet - the fantasy overtures composed by Peter Ilyich Tchaikovsky in late half of nineteen century - have paid attention on the programatic character and as a result, shows tendency to conside...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Romeo and Juliet and the Hamlet - the fantasy overtures composed by Peter Ilyich Tchaikovsky in late half of nineteen century - have paid attention on the programatic character and as a result, shows tendency to consider them as a symphonic poem of the new German school. However, these two works differ from the intention of the symphonic poem which breaks from the classical formal principle, then pursues the new ideal of symphonic music and in which "the contents decide the form". Because both fantasy overtures have the sonata form which involves exposition, development, and representation between introduction and coda, and, inspite of different program, they have similar formal structure.
      The musical construction of two overtures shows transformation of the sonata form in addition to the thematic transformation, episode insertion, and end-weighting construction. That can be appreciated within the overtures tradition. Those show that concert overture had been composed as ever, not had declined by the appearance of the symphonic poem, and had been succeeding the tradition of 19th century's programatic overture with genre individuality distinguishable from the symphonic po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세기 후반기에 작곡된 차이코프스키의 환상서곡 《로미오와 줄리엣》과 《햄릿》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환상서곡’이라는 고유의 장르명에도 불구하고, 이 곡들이 갖는 표제적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신독일악파의 교향시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위의 곡들은 고전주의 형식 원리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교향악적 음악의 새로운 이상을 추구”하는 동시에, “내용이 형식을 결정”하는 교향시의 의도와 구별된다. 왜냐하면 두 곡의 환상서곡 모두 서주부와 코다 사이에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혹은 제시부와 재현부)가 포함된 소나타악장 형식에 기초하고 있어, 서로 다른 표제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형식적 틀이 서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 곡들의 악곡구성, 특히 표제의 음악적 구현을 위해 주제변형, 에피소드의 삽입, 종결 지향적 구성 등과 함께 소나타악장 형식의 변형을 보이는 것은 전통적인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 그 중에서도 ‘극적 특성’을 갖는 서곡들의 전통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연주회용 서곡이 교향시의 등장과 함께 쇠퇴한 것이 아니라 여전히 창작되었고, 교향시와 뚜렷이 구별되어 장르 자체의 독자성을 유지한 채 19세기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의 전통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19세기 후반기에 작곡된 차이코프스키의 환상서곡 《로미오와 줄리엣》과 《햄릿》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환상서곡’이라는 고유의 장르명에도 불구하고, 이 곡들이 갖는 표제적 특성...

      19세기 후반기에 작곡된 차이코프스키의 환상서곡 《로미오와 줄리엣》과 《햄릿》에 대한 기존의 논의들은, ‘환상서곡’이라는 고유의 장르명에도 불구하고, 이 곡들이 갖는 표제적 특성에 주목함으로써, 신독일악파의 교향시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위의 곡들은 고전주의 형식 원리에서 완전히 탈피하여 “교향악적 음악의 새로운 이상을 추구”하는 동시에, “내용이 형식을 결정”하는 교향시의 의도와 구별된다. 왜냐하면 두 곡의 환상서곡 모두 서주부와 코다 사이에 제시부, 발전부, 재현부(혹은 제시부와 재현부)가 포함된 소나타악장 형식에 기초하고 있어, 서로 다른 표제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인 형식적 틀이 서로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이 곡들의 악곡구성, 특히 표제의 음악적 구현을 위해 주제변형, 에피소드의 삽입, 종결 지향적 구성 등과 함께 소나타악장 형식의 변형을 보이는 것은 전통적인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 그 중에서도 ‘극적 특성’을 갖는 서곡들의 전통 안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는 연주회용 서곡이 교향시의 등장과 함께 쇠퇴한 것이 아니라 여전히 창작되었고, 교향시와 뚜렷이 구별되어 장르 자체의 독자성을 유지한 채 19세기 표제적 연주회용 서곡의 전통을 계속해서 이어가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Lechtentritt, Hugo, "음악의 형식" 삼호출판사 1989

      2 Temperley, Nicholas, "overture"

      3 Brown, Maurice J. E., "fantasia"

      4 Ewert, Hansjörg, "Zwischen Schema und Programm: Lesarten zu Schumanns Ouvertüre zur Braut von Messina von Schiller" Böhlau 97-112, 2007

      5 Coppola, Catherine, "The Elusive Fantasy: Genre, Form, and Program in Tchaikovsky’s “Francesca da Rimini" 22 (22): 169-189, 1998

      6 Durham, George D.,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Concert Overture" Catholic U. Washington DC 1957

      7 Brown, David, "Tchaikovsky. The Man and his Music" Pegasus Books 2007

      8 Wiley, Roland John, "Tchaikovsky, Pyotr Il’yich"

      9 Helmut Wirth, "Symphonische Dichtung. In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allgemeine Enzyklopädie der Musik" Bärenreiter 1949

      10 Scholes, Percy, "Symphonic poem [tone-poem], In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1 Lechtentritt, Hugo, "음악의 형식" 삼호출판사 1989

      2 Temperley, Nicholas, "overture"

      3 Brown, Maurice J. E., "fantasia"

      4 Ewert, Hansjörg, "Zwischen Schema und Programm: Lesarten zu Schumanns Ouvertüre zur Braut von Messina von Schiller" Böhlau 97-112, 2007

      5 Coppola, Catherine, "The Elusive Fantasy: Genre, Form, and Program in Tchaikovsky’s “Francesca da Rimini" 22 (22): 169-189, 1998

      6 Durham, George D., "The Development of the German Concert Overture" Catholic U. Washington DC 1957

      7 Brown, David, "Tchaikovsky. The Man and his Music" Pegasus Books 2007

      8 Wiley, Roland John, "Tchaikovsky, Pyotr Il’yich"

      9 Helmut Wirth, "Symphonische Dichtung. In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allgemeine Enzyklopädie der Musik" Bärenreiter 1949

      10 Scholes, Percy, "Symphonic poem [tone-poem], In The Oxford Companion to Music"

      11 Macdonald, Hugh, "Symphonic Poem"

      12 Rosen, Charles, "Sonata Forms" Norton 1980

      13 Schmidt, Christian Martin, "Signum der Geisterwelt: Die ominöse Kadenz in Mendelssohns Konzert-Ouverture zu Shakespeares Sommernachtstraum op.21. In Wiener Musikgeschichte: Annäherungen—Analysen—Ausblicke" Böhlau 265-276, 2009

      14 Scruton, Roger, "Program Music"

      15 Scholes, Percy, "Overture. In The New Oxford Companion to Music" Oxford University Press 1372-1373, 1983

      16 Wolf, Eugene K., "Overture. In The New Harvard Dictionary of Music" The Belknap Press of Harvard University Press 601-, 1986

      17 Pelker, Bärbel, "Ouvertüre. In Die Musik in Geschichte und Gegenwart: allgemeine Enzyklopädie der Musik" Bärenreiter 1242-1256, 1997

      18 Wagner, Richard, "On the overture, in Tranlated by William Ashton. In Richard Wagner's prose works" Broude Bros 1966

      19 Pelto, Willam, "Musical structure and extramusical meaning in the concert overtures of Felix Mendelssohn" University of Texas 1993

      20 Keym, Stefan, "Mendelssohn und der langsame Schluss in der Instrumentalmusik des 19. Jahrhunderts" 24 (24): 3-22, 2009

      21 Haney, Joel, "Haney, Joel. “Navigating sonata space in Mendelssohn's Meeresstille und glückliche Fahrt" 28 (28): 108-132, 2004

      22 Kloiber, Rudolf, "Handbuch der Symphonischen Dichtung" Breitkopf & Härtel 1980

      23 Floros, Constantin, "Grundsätzliches über Programmusik. In Hamburg Jahrbuch für Musikwissenschaft. Bd. 6" Laaber-Verlag 1983

      24 Botsitiber, Hugo, "Geschichte der Ouvertüre und der freien Orchesterformen" Breitkopf & Härtel 1913

      25 Pelker, B., "Die deutsche Konzert ouvertüre (1825-1865): Werkkatalog und Rezeptionsdokumente" Ruprecht-Karls-Universität Heidelberg 1990

      26 Steinbeck, Susanne, "Die Ouverture in der Zeit von Beethoven bis Wagner. Probleme und Lösungen" Freiburg im Breisgau 1972

      27 D'indy, Vincent, "Cours de Composition Musicale" A. Durand et fils 1909-1950,

      28 Pelker, Bärbel, "'Zwischen absoluter und Programmusik': Bemerkungen zu Mendelssohns Hebriden-Ouvertüre. In Studien zur Musik geschichte: Eine Festschrift für Ludwig Finscher" Bärenreiter 560-571, 1995

      29 Stewart-MacDonald, Rohan H., "'Developmental recession' and large-scale teleology in the sonata-type movements of Felix Mendelssohn Bartholdy" 7 (7): 71-11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9 0.22 0.84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