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양의 의리와 서양의 정의의 비교 = A Comparison between Euri in Eastern Tradition and Justice in Western Tradi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477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주체적 시각에서 민주시민의 자질로서의 동양의 의리와 서양의 정의를 비교하여 상호보완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서양의 정의는 공리를 증가시키는 행위, 공정, 권리와 공동선의 분배적 정의가 핵심이다. 동양의 의리는 올바른 도리로서의 의(義)와 도(道), 덕(德), 그리고 서(恕)가 중심개념이다. 자유주자의 대표적인 롤즈의 정의관인 공정으로서의 정의는 일차적으로 사회의 기본구조에 적용되고 그 사회는 질서정연한 사회이며 개인주의적 관점이다. 그의 정의원칙은 이차적으로 개인에게 적용되며 정의원칙은 공정성, 성실성, 그리고 선행에 대한 책무이다. 이에 반하여 동양의 의리는 성의 · 정심(誠意 正心)을 통하여 천리에 따르면 개체적 조화를 이루어 의가 구체화되어 예(禮)가 저절로 실현되는 공동체가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양의 정의는 사회구조에 일차적 관심을 가지면서도 개인주의 입장이다. 동양의 의리는 일차적으로 자율적 개인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공동체주의 관점에 있다. 그 기본적인 차이점은 천리나 인 및 덕과 같은 근본을 먼저 생각하는가 아니면 사익을 먼저 생각하는가에 연유한다. 서양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수렴을 통한 자유민주사회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에 동양적 의리의 관념인 남과 나를 같이 생각하는 혈구지도(?矩之道)는 좋은 시사점이 되리라 여겨진다.
      번역하기

      본고는 주체적 시각에서 민주시민의 자질로서의 동양의 의리와 서양의 정의를 비교하여 상호보완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서양의 정의는 공리를 증가시키는 행위, 공정, 권리와 공동선의 분...

      본고는 주체적 시각에서 민주시민의 자질로서의 동양의 의리와 서양의 정의를 비교하여 상호보완점을 탐색하는 데 있다. 서양의 정의는 공리를 증가시키는 행위, 공정, 권리와 공동선의 분배적 정의가 핵심이다. 동양의 의리는 올바른 도리로서의 의(義)와 도(道), 덕(德), 그리고 서(恕)가 중심개념이다. 자유주자의 대표적인 롤즈의 정의관인 공정으로서의 정의는 일차적으로 사회의 기본구조에 적용되고 그 사회는 질서정연한 사회이며 개인주의적 관점이다. 그의 정의원칙은 이차적으로 개인에게 적용되며 정의원칙은 공정성, 성실성, 그리고 선행에 대한 책무이다. 이에 반하여 동양의 의리는 성의 · 정심(誠意 正心)을 통하여 천리에 따르면 개체적 조화를 이루어 의가 구체화되어 예(禮)가 저절로 실현되는 공동체가 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서양의 정의는 사회구조에 일차적 관심을 가지면서도 개인주의 입장이다. 동양의 의리는 일차적으로 자율적 개인에 관심을 가지면서도 공동체주의 관점에 있다. 그 기본적인 차이점은 천리나 인 및 덕과 같은 근본을 먼저 생각하는가 아니면 사익을 먼저 생각하는가에 연유한다. 서양에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수렴을 통한 자유민주사회의 이상을 실현하려는 움직임에 동양적 의리의 관념인 남과 나를 같이 생각하는 혈구지도(?矩之道)는 좋은 시사점이 되리라 여겨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essay are to provide a comparison between 'Euri (truth and right)' in eastern tradition and 'Justice' in western tradi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tion of the two concepts. The central substances of justice are utilitarian behaviors, fairness, rights, and fair distribution of common goods. Meanwhile, Euri" in eastern tradition includes 義(eui), 道(do), 德(deok), 恕(seo) as its central concepts. Justice as fairness presented by Rawls representing liberalism is primarily applied to the basic social structure and the society is assumed as an well ordered and based on individualism. Secondarily, his principles of justice is applied to individual and those principles are fairness, sincerity and responsibility of good deed. On the contrary, Euri in eastern tradition assumes that if one follows the natural law with sincerity and right mind, individuals will accomplish a harmony and build a community in which righteousness is specified and courtesy is realized. "Euri" in eastern tradition primarily gives attention to autonomous individuals but is based on communitarianism. It emphasizes a distinction between whether one follows fundamental principles such as natural law, benevolence and virtues and whether one pursues private interests. ?矩之道(hyul-gu-ji-do), central idea of "Euri" that pursues both oneself and others,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western intellectuals that recently seek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encompasses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anism to realize the ideals of liberalism.
      번역하기

      The purposes of this essay are to provide a comparison between 'Euri (truth and right)' in eastern tradition and 'Justice' in western tradi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tion of the two concepts. The central substances of justice ar...

      The purposes of this essay are to provide a comparison between 'Euri (truth and right)' in eastern tradition and 'Justice' in western tradition and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plementation of the two concepts. The central substances of justice are utilitarian behaviors, fairness, rights, and fair distribution of common goods. Meanwhile, Euri" in eastern tradition includes 義(eui), 道(do), 德(deok), 恕(seo) as its central concepts. Justice as fairness presented by Rawls representing liberalism is primarily applied to the basic social structure and the society is assumed as an well ordered and based on individualism. Secondarily, his principles of justice is applied to individual and those principles are fairness, sincerity and responsibility of good deed. On the contrary, Euri in eastern tradition assumes that if one follows the natural law with sincerity and right mind, individuals will accomplish a harmony and build a community in which righteousness is specified and courtesy is realized. "Euri" in eastern tradition primarily gives attention to autonomous individuals but is based on communitarianism. It emphasizes a distinction between whether one follows fundamental principles such as natural law, benevolence and virtues and whether one pursues private interests. ?矩之道(hyul-gu-ji-do), central idea of "Euri" that pursues both oneself and others, provides useful insights for western intellectuals that recently seek an integrative approach that encompasses individualism and communitarianism to realize the ideals of liberalis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흥수, "현대정치와 국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2 이상은,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1983

      3 이유선 역, "정의에 관한 6가지 이론 Sex Theories of Justice" Augsburg publishing House Ltd 20011986

      4 이진우, "이성정치와 문화민주주의" 한길사 2000

      5 이승환, "의리와 정의" 철학과 현실사 1996

      6 이상익, "유교의 충서론과 자유주의" 심산 2004

      7 이상익, "유가사회철학 연구" 2001

      8 김동수, "민주주의와 공동체주의" 28 (28): 1994

      9 이진우 역, "담론윤리의 해명" 문예출판사 1997

      10 이승환, "공자맹자의 정의관 비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1 한흥수, "현대정치와 국가"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8

      2 이상은,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1983

      3 이유선 역, "정의에 관한 6가지 이론 Sex Theories of Justice" Augsburg publishing House Ltd 20011986

      4 이진우, "이성정치와 문화민주주의" 한길사 2000

      5 이승환, "의리와 정의" 철학과 현실사 1996

      6 이상익, "유교의 충서론과 자유주의" 심산 2004

      7 이상익, "유가사회철학 연구" 2001

      8 김동수, "민주주의와 공동체주의" 28 (28): 1994

      9 이진우 역, "담론윤리의 해명" 문예출판사 1997

      10 이승환, "공자맹자의 정의관 비교"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1

      11 Mill,J.S, "Utilitarianism" Bobbs Merrill 1957

      12 Ross,W, "The Right and Good" Clarendon 1930

      13 Copp, "The Idea of Democracy" Cambridge Univ Press 1999

      14 Walzer, "Spheres of Justice A Defenses of Pluralism and Equality" Basic Books Inc 1983

      15 Walzer, "Spheres of Justice A Defenses of Pluralism and Equality" Basic Books Inc 1983

      16 Perry,R.B, "Puritanism and Democracy" 1944

      17 Miller, "Principles of Social Justice" Harvard Univ Press 2001

      18 Pennock,J.R, "Liberal Democracy:Its Merits and Prospects" 1950

      19 Rawls, "Justice as Fairness" Harvard Univ Press 2003

      20 Rescher,N, "Distributive Justice:A Constructive Critique of the Utilitarian Theory of Distribution" Bobbs Merrill 1966

      21 황경식 역,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 Press 20031999

      22 Rawls, "A Theory of Justice" Harvard Univ Press 1999

      23 Temerson,C, "A Small Treatise on the Great Virtue" Metropolitan Books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3-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4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8 1.27 1.781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