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교와 실존주의 교육철학에서의 자아와 본래성의 문제 = Self and Authenticity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of Buddhism and Existent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813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서구전통에서 거론되는 자아실현은 서구 근대적 자아개념, 즉 모든 사물과 자연으로부터 분립된 자기를 주체로 하여 자기중심성을 확보하는 실체적인 자아를 상정한다. 그러나 불교와 하이...

      서구전통에서 거론되는 자아실현은 서구 근대적 자아개념, 즉 모든 사물과 자연으로부터 분립된 자기를 주체로 하여 자기중심성을 확보하는 실체적인 자아를 상정한다. 그러나 불교와 하이데거의 실존철학은 자아와 세계를 이원론적 관점에서 보고 있지 않다. 가립적(假立的)이자 관계적 존재로서의 자아는 어디까지나 현상적 자아이며, 본래성은 끊임없이 변화해가는 현상적 자아를 실체화함으로써 비롯되는 분별과 집착에서 벗어나는 방향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래성 실현을 위한 실천은 현상적 자아의 이면에 놓인 본질로서의 ‘무’ 또는 ‘무아’의 자각을 요청하며, 본래성을 실현한 자아의 모습은 주객의 이분법에서 벗어난 전일적 상태로 특징지어진다. 인간은 저마다의 고유한 실존적 상황을 살고 있다는 점에서, 본래성 실현이라는 인간의 공통적인 존재론적 과업은 각자의 개별성을 반영한 다양한 양상으로 추구될 수 있다. 자아의 본래성 실현을 위한 실천으로서 불교의 지관수행과 하이데거의 포이에시스는 자기중심적 자아실현과 자아확대를 지양하는 데 초점을 둔다는 점에서 서구의 근대적 자아개념을 기반으로 삼고 있는 현대의 교육관과 정면으로 대조를 이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entral to the notion of self-realisation currently in the ascendant is the modern Western view of a substantial self that tries to secure oneself, separate from things in the ‘outside’ world. What is common both to Buddhism and Heideggerian exist...

      Central to the notion of self-realisation currently in the ascendant is the modern Western view of a substantial self that tries to secure oneself, separate from things in the ‘outside’ world. What is common both to Buddhism and Heideggerian existentialism, however, is a denial of self-world dualism. As the subject of all phenomenal existence, a substantial self is in fact provisional in the sense of being dependently originated from other causes and conditions. It is by way of awakening from the illusion of self-substantiality or self-identification that the ideal of self-authenticity begins to be pursued. Buddhism and Heideggerian existentialism show that what is implicit in all of our ordinary conceptions of the self is the nothing or selflessness as the essence of self, and that the full awareness of this leads us to the holistic view of the self and the world. What essentially characterises the ideal of self-authenticity is the holistic state of consciousness. A human being is given the ontological duty of pursuing the ideal of self-authenticity, and the ways of performing this duty are not standardised because they should be based upon individual existence. Samatha-Vipassana Meditation in Buddhism and poiesis in Heidegger’s existentialism are the exemplar practices of attaining the ideal of self-authenticity that stand in sharp contrast to the modern educational ideal of self-realisation as self-expans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엄일승법계도"

      2 "화엄경문의요결문답"

      3 정혜정, "한국전통사유에 나타난 개체성 이해와 교육" 불교학연구회 22 : 123-171, 2009

      4 김진, "하이데거와 불교" 울산대학교출판부 2004

      5 김형효,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 청계 2001

      6 Hempel, H.-P, "하이데거와 禪" 민음사 1995

      7 Brochert, B, "초월적 세계를 향한 관념의 역사" 예문 1999

      8 서용석, "진리와 교육: 하이데거 존재론의 관점" 한국교육철학학회 (49) : 77-97, 2010

      9 정혜정,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유가의 태극논변과 운봉 대지(雲峰 大智) 선사의 다성론(多性論)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135-159, 2011

      10 김월운, "잡아함경 1" 동국역경원 2006

      1 "화엄일승법계도"

      2 "화엄경문의요결문답"

      3 정혜정, "한국전통사유에 나타난 개체성 이해와 교육" 불교학연구회 22 : 123-171, 2009

      4 김진, "하이데거와 불교" 울산대학교출판부 2004

      5 김형효, "하이데거와 마음의 철학" 청계 2001

      6 Hempel, H.-P, "하이데거와 禪" 민음사 1995

      7 Brochert, B, "초월적 세계를 향한 관념의 역사" 예문 1999

      8 서용석, "진리와 교육: 하이데거 존재론의 관점" 한국교육철학학회 (49) : 77-97, 2010

      9 정혜정, "조선조 유불교섭과 불교 심성론에 나타난 개성실현의 의미 -유가의 태극논변과 운봉 대지(雲峰 大智) 선사의 다성론(多性論)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135-159, 2011

      10 김월운, "잡아함경 1" 동국역경원 2006

      11 "잡아함경"

      12 박정태,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주)이학사 2008

      13 김용준, "사람, 종교, 과학" 50 : 281-310, 2005

      14 한자경, "불교의 무아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6

      15 김성철, "불교의 뇌과학으로 조명한 자아와 무아, In 불교와 뇌과학" 7-36, 2015

      16 운허용하, "불교사전" 동국역경원 1980

      17 김태희, "물리학자의 철학적 세계관" 필로소픽 2013

      18 Gethin, R, "무아:개인의 연속성과 연기설" 34 (34): 221-262, 1998

      19 Watts, A. W, "동양과 서양의 정신치료" 하나의학사 2004

      20 한자경, "동서양의 인간 이해" 서광사 2001

      21 Adyashanti, "깨어남에서 깨달음까지" 정신세계사 2009

      22 이형록, "그저. . . 바라보기" 이룸나무 2012

      23 "구사론"

      24 平川彰, "自我と無我" 平樂寺書店 1963

      25 이지관, "佛敎大辭林 7" 가산불교문화연구원출판부 2005

      26 서용석, "‘Authenticity’ 개념에 관한 교육학적 일고찰: 하이데거의 ‘죽음과 탄생’의 교육론" 한국교육철학학회 33 (33): 49-72, 2011

      27 Heidegger, M, "What Is Metaphysics? Pathma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82-96, 1998

      28 Heidegger, M, "Letter on ‘Humanism’. Pathmarks" Cambridge University Press 239-276, 1998

      29 Cooper, D. E., "Existentialism" Blackwell 1999

      30 Heidegger, M, "Being and Time" Blackwell 1962

      31 Sartre, J.-P, "Being and Nothingness" Kensington 195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 -> 교육철학연구 KCI등재
      2011-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교육철학회 -> 한국교육철학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Philosophy of Education Society -> The Korea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5 0.75 0.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88 1.27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