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Water contamination by acid rock drainage(ARD) and geochemical behavior of Al and Fe in the contaminated wat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493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언
      • 2. 연구 지역의 지질
      • 3. 연구방법
      • 요약
      • ABSTRACT
      • 1. 서언
      • 2. 연구 지역의 지질
      • 3. 연구방법
      • 4. 결과 및 토의
      • 5. 결론
      • 사사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화순 폐탄광지역 광산배수와 침전 및 증발잔류광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 33 : 391-404, 2000

      2 "폐광산지역의 오염특성 조사와 평가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방법" 37 : 35-48, 2004a

      3 "토양수의 지구화학특성에 따른 금속폐광산 광미야적장 주변 토양오염 평가" 61-72, 2004

      4 "태백 동해탄광 일대 물-광물의 반응에 의한 산성광산배수의 지화학적 특성 변화" 35 : 55-66, 2002

      5 "충주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부화" 29 : 495-508, 1996

      6 정명채, "영월,정선 및 평창 지역 폐 석탄광 산성광산배수의 환경오염 평가" 36 : 111-121,

      7 "신보활석광산 주변에 형성된 우라늄 이상치가 지표수계 환경에 미치는 영향" 33 : 261-271, 2000

      8 "수자원의 수질과 오염에 대한 기반암의 영향" 415-429, 2003

      9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26 : 217-226, 1993

      10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33 : 405-415, 2000

      1 "화순 폐탄광지역 광산배수와 침전 및 증발잔류광물에 대한 지구화학적 및 광물학적 연구" 33 : 391-404, 2000

      2 "폐광산지역의 오염특성 조사와 평가를 위한 지구화학적 접근방법" 37 : 35-48, 2004a

      3 "토양수의 지구화학특성에 따른 금속폐광산 광미야적장 주변 토양오염 평가" 61-72, 2004

      4 "태백 동해탄광 일대 물-광물의 반응에 의한 산성광산배수의 지화학적 특성 변화" 35 : 55-66, 2002

      5 "충주지역 흑색셰일 분포지역에서의 잠재적 독성원소들의 분산과 부화" 29 : 495-508, 1996

      6 정명채, "영월,정선 및 평창 지역 폐 석탄광 산성광산배수의 환경오염 평가" 36 : 111-121,

      7 "신보활석광산 주변에 형성된 우라늄 이상치가 지표수계 환경에 미치는 영향" 33 : 261-271, 2000

      8 "수자원의 수질과 오염에 대한 기반암의 영향" 415-429, 2003

      9 "삼보 연-아연-중정석 광산 주변 하상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 연구" 26 : 217-226, 1993

      10 "비금속광상의 황화광염대에 수반되는 산성광산배수의 형성과 지질환경의 오염" 33 : 405-415, 2000

      11 전서령, "백운 폐광산의 방치된 폐석으로 인한 주변 수계의 환경적 영향" 35 : 325-337, 2002

      12 "미원도폭 및 설명서 자원개발연구소" 1980

      13 지상우, "문경 단붕탄광 폐석장 유출수의 조성변화" 4 : 169-174, 1997

      14 "모악 금,은광산에 방치된 폐석이 주변 수계 및 생태계에 미치는 환경적 영향" 28 : 221-229, 1995

      15 "동해탄광 주변 산성광산폐수와 하상퇴적물의 지구화학" 213-220, 1995

      16 "동해탄광 일대 산성광산배수의 지화학적 특성 및 증발잔류물에 대한 광물학적 연구" 36 : 103-109, 2003

      17 "동래 납석광산 산성 광석배수의 중화실험 중금속의 거동 특성 규명" 68-76, 2002

      18 "동 광산 주변에 방치된 폐석의 환경적 영향" 44-55, 1996

      19 "덕음광산 광미의 산화-환원 조건에 따른 전이원소의 이동성" 36 : 285-293, 2003

      20 "금속광상의 탐사를 위한 자연수 지구화학탐사법의 개발에 관한 연구" 24 : 225-266, 1987

      21 정헌복, "광양 폐 금-은 광산 지역 광산폐수의 중금속 오염과 중금속의 제거에 있어 소택지와 지류 혼합의 역할 평가" 13 : 29-50, 2003

      22 "광산배수 수용하천의 중금속이온 평형에 관한 연구" 29 : 733-738, 1996

      23 이평구, "광미 및 오염된 토양에서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잠재적인 이동도" 37 : 87-98, 2004b

      24 "경북지역 폐금속광산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26 : 465-472, 1993

      25 허봉,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에 분포하는 폐탄광으로부터의 배수에 의한 임곡천 및 동해의 오염" 5 : 44-45, 1998

      26 Adams, "a possible cause of sulfate retention by acid soil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Journal" 686-692, 1977

      27 Ball, "WATEQ4F-User's manual with revised thermodynamic data base and test cases for calculating speciation of major trace and redox element in natural waters" 185-, 1991

      28 Adriano, "Trace elements in the Terrestrial environment" 867-, 1986

      29 Drever, "The geochemistry of natural waters" Prentice Hall 436-, 1988

      30 "The geochemical behavior of aluminum in identified surface waters" 54-56, 1986

      31 "The effect of sulfate on aluminum con- centration in natual waters Field occurreances and identification of aluminum hydroxysulfate precipitates Abstracts with Program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1984

      32 "Sorption of trace metals to an aluminum precipitate in a stream receiving acid rock-drainage" 17 : 421-430, 2002

      33 Bigham J.M, "Schwertmannite and the chemical modeling of iron in acid sulfate waters" 60 : 2111-2121, 1996

      34 "Removal of trace metals by coprecipitation with Fe and Mn from natural waters contaminated with acid mine drainage in the Ducktown Mining District" 17 : 569-581, 2002

      35 Charlton, S.R, "PHREEQCI--a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the geochemical computer program PHREEQC" 1997

      36 Kim, J.J, "Mineralogical characterization of microbial ferrihydrite and schwertmannitem andnon-biogenic Al-sulfate precipitates from acid mine drainage in the Donghae mine area" 42 : 19-31, 200219-31

      37 Fishman, "Method of analysis by the U Geological Survey national water quality laboratory - determination of inorganic and organic constituents in water and fluvial sediments" 217-, 1993

      38 Allison, "MINTEQA2/PRODEFA2-A geochemical assessment model for environmental systems -version 3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and): 106-, 1990

      39 "Iron sulfide oxidation and the chemistry of acid generation" 289-295, 1988

      40 "Iron oxide removal from soils and clays by a dithionite-citrate-bicarbonate system buffered with sodium bicarbonate" 7 : 317-327, 1960

      41 Chon, H.T, "Hydrogeo-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cid mine drainage around the abandoned Yongdong coal mine in Korea" 49 : 113-120, 1999

      42 Gray N.F, "Field assessment of acid mine drainage contamination in surface and groundwater" 27 : 358-361, 1996

      43 "Fate of the pollutants from the abandoned coal mine drainages along Imgok Creek in Gangdong-Myeon area" 28 : 529-, 1996

      44 "Environmental Chemistry of Soils" 406-, 1994

      45 "Dissolved aluminum in acid sulfate soils and in acid mine waters" 1973

      46 "Dilution and removal of dissolved metals from acid mine drainage along Imgok creek" 16 : 1041-1053, 2001

      47 "Differenzierung der Eisenoxide des Bodens durch Extraktion mit Ammoniumoxalate-Losung" 1964194-202

      48 "Chemical kinetics of water-rock interactions" 4009-4025, 1984

      49 "Chemical equilibria in soils" 128-149, 1976

      50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and contaminantion from Uranium- bearing black shales in Goesan-Boeun area" 24 : 261-273, 2002

      51 "Aqueous pyrite oxidation and the consequent formation of secondary minerals" 37-56, 1982

      52 "Aquatic chemistry" 690-691, 1996

      53 "Apparent solubility of schwertmannite and ferrihydrite in natural stream waters polluted by mine drainage" 63 : 3407-3416, 1999

      54 Karathanasis, A.D., Evangelou, V.P. and Thomson, Y.L, "Aluminium and iron equilibria in soil solution and surface waters of acid mine watersheds" 17 : 534-54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4-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4 0.94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4 1.386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