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남지역 기행가사의 텍스트 존재 양상과 의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62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rom the standpoints of an area literary theory as materials study, to grasp aspects of existence aspects of travel lyrics text of Yeongnam province area and to disclose features of the text centering around aspects of space perception.
      To do that, first of all, the scope of Yeongnam travel lyrics was determined and, according to the scope, relevant pieces of work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existing lyrics. Next, existence aspects of pieces of work were summarized centering on readers, travel places, itineraries, features of literary works, time of writing, etc. And, it was confirmed that those literary works contained rather different aims and grammar, while sharing mountains, rivers and arbores, the spaces of literature creation of the nobility in Yeongnam province. This study gave an opportunity enabling extensive discussions about local literature based on the nobility which has been discussed on the basis of Chinese literature.
      Also, the author divided the spatial aspects of these pieces of work into longing and experience, and, after looking into each feature, found that it respectively plays a role of granting each reader identity and dependence. Through this, the author described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ravel lyrics of Yeongnam province by contributing to examining how the same space obtains historicity and difference by readers and literary forms. Especially such work has significance in that it gave prominence to features of materials for local study by cleaning up a process of forming interest in and affection for relevant areas by the residents.
      However, this discussion was made from the standpoint of materials study for local literature study, so an individual research of the pieces of work has not been made. Individual researches are scheduled to continue to be looked into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rom the standpoints of an area literary theory as materials study, to grasp aspects of existence aspects of travel lyrics text of Yeongnam province area and to disclose features of the text centering around aspects of sp...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from the standpoints of an area literary theory as materials study, to grasp aspects of existence aspects of travel lyrics text of Yeongnam province area and to disclose features of the text centering around aspects of space perception.
      To do that, first of all, the scope of Yeongnam travel lyrics was determined and, according to the scope, relevant pieces of work were extracted from the collected existing lyrics. Next, existence aspects of pieces of work were summarized centering on readers, travel places, itineraries, features of literary works, time of writing, etc. And, it was confirmed that those literary works contained rather different aims and grammar, while sharing mountains, rivers and arbores, the spaces of literature creation of the nobility in Yeongnam province. This study gave an opportunity enabling extensive discussions about local literature based on the nobility which has been discussed on the basis of Chinese literature.
      Also, the author divided the spatial aspects of these pieces of work into longing and experience, and, after looking into each feature, found that it respectively plays a role of granting each reader identity and dependence. Through this, the author described the features and meanings of travel lyrics of Yeongnam province by contributing to examining how the same space obtains historicity and difference by readers and literary forms. Especially such work has significance in that it gave prominence to features of materials for local study by cleaning up a process of forming interest in and affection for relevant areas by the residents.
      However, this discussion was made from the standpoint of materials study for local literature study, so an individual research of the pieces of work has not been made. Individual researches are scheduled to continue to be looked into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영남지역 기행가사 텍스트의 범주와 존재양상
      • 3. 공간의 양상과 의미
      • 4. 결론
      • 참고문헌
      • 1. 서론
      • 2. 영남지역 기행가사 텍스트의 범주와 존재양상
      • 3. 공간의 양상과 의미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기옥, "「조주후풍가」 창작의 역사적 상황과 작품 이해의 방향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2) -" 진단학회 (112) : 127-180, 2011

      2 오용원,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2) : 439-472, 2005

      3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55-80, 2012

      4 김인구, "츈유가계 기행가사-춘유곡과 유산일록의 경우" 안암어문학회 22 : 23-47, 1981

      5 김기영, "청량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충청문화연구소 (1) : 103-124, 2008

      6 김석회, "지역문학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 한국시가학회 32 : 5-26, 2012

      7 김창원,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 우리어문학회 (29) : 239-263, 2007

      8 박태일, "지역문학 연구와 경북·대구 지역" 현대문학이론학회 (24) : 27-47, 2005

      9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31 (31): 373-409, 2010

      10 백순철,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형태와 현실인식" 고전한문학연구학회 5 : 101-127, 2008

      1 성기옥, "「조주후풍가」 창작의 역사적 상황과 작품 이해의 방향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2) -" 진단학회 (112) : 127-180, 2011

      2 오용원,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2) : 439-472, 2005

      3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55-80, 2012

      4 김인구, "츈유가계 기행가사-춘유곡과 유산일록의 경우" 안암어문학회 22 : 23-47, 1981

      5 김기영, "청량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충청문화연구소 (1) : 103-124, 2008

      6 김석회, "지역문학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 한국시가학회 32 : 5-26, 2012

      7 김창원,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 우리어문학회 (29) : 239-263, 2007

      8 박태일, "지역문학 연구와 경북·대구 지역" 현대문학이론학회 (24) : 27-47, 2005

      9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31 (31): 373-409, 2010

      10 백순철,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형태와 현실인식" 고전한문학연구학회 5 : 101-127, 2008

      11 김창원, "조선후기 近畿 지역 강호시가의 지역성 - 김광욱의 「栗里遺曲」을 대상으로 -" 한국시조학회 (28) : 63-80, 2008

      12 김창원, "조선시대 서울인의 심상지도와「戀君」시가의 지역성" 서울학연구소 (31) : 101-125, 2008

      13 조태성, "정식의 <竺山別曲>과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6) : 369-395, 2010

      14 박수진, "장흥지역 기행가사의 공간인식과 문화양상" 온지학회 (23) : 201-232, 2009

      15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16 최열,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53-64, 2005

      17 정치영, "유산기로 본 조선시대 사대부의 청량산 여행"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4-70, 2005

      18 한양명, "안동지역 양반 뱃놀이(船遊)의 사례와 그 성격" 실천민속학회 12 : 197-236, 2008

      19 손은하, "상징 조형물과 상징공간에 이미지화된 지역성 - 마산의 ‘민주화의 성지’와 ‘문학의 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17) : 419-446, 2010

      20 문재원, "문학담론에서 로컬리티 구성과 전략"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2) : 71-97, 2008

      21 이정옥,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여행경험과 사회화" 경주문화원부설향토문화연구소 3 : 252-270, 2000

      22 황위주, "낙동강 연안의 유람과 창작 공간" 우리한문학회 18 (18): 1281-1309, 2008

      23 염은열, "기행가사의 ‘공간’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89-114, 2006

      24 정호기,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25 권영철, "규방가사에 있어서 風流嘯詠類 연구" 대구가톨릭대사회과학연구소 11 : 109-181, 1982

      26 성범중, "고전문학과 지역성의 문제" 국어국문학회 (144) : 113-142, 2006

      27 김종구, "遊山記에 나타난 遊山과 讀書의 상관성과 그 의미 - 지리산과 청량산 遊山記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125-157, 2009

      28 우응순,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변모 양상 禹應順 425 -周世鵬과 李滉의 作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425-446, 2006

      29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30 김창원, "‘중앙-지방’의 권력과 17세기 어부가(漁父歌)의 갈등 구도" 국제어문학회 (40) : 99-126, 2007

      31 김수경, "‘여행’에 대한 여성적 글쓰기 방식의 탐색 -여성 기행가사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7) : 47-87, 2008

      32 최은숙, "<화전가>에 나타난 자연 인식 양상과 시적 활용 방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6) : 219-253, 2013

      33 최은숙,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 경관과 장소애착성"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10 : 5-31, 2012

      34 김수경, "<이부인기행가사>에 나타난 19세기 여성의 여행체험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97-115, 2002

      35 장정수, "20세기 기행가사의 창작 배경과 작품 세계 ?1945년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47 : 14-448, 2003

      36 전재진, "19~20세기 초기 시조 문화의 교섭 양상 연구 : 『흥비부』와 『악부』(나손본)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3 0.99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