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기옥, "「조주후풍가」 창작의 역사적 상황과 작품 이해의 방향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2) -" 진단학회 (112) : 127-180, 2011
2 오용원,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2) : 439-472, 2005
3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55-80, 2012
4 김인구, "츈유가계 기행가사-춘유곡과 유산일록의 경우" 안암어문학회 22 : 23-47, 1981
5 김기영, "청량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충청문화연구소 (1) : 103-124, 2008
6 김석회, "지역문학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 한국시가학회 32 : 5-26, 2012
7 김창원,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 우리어문학회 (29) : 239-263, 2007
8 박태일, "지역문학 연구와 경북·대구 지역" 현대문학이론학회 (24) : 27-47, 2005
9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31 (31): 373-409, 2010
10 백순철,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형태와 현실인식" 고전한문학연구학회 5 : 101-127, 2008
1 성기옥, "「조주후풍가」 창작의 역사적 상황과 작품 이해의 방향 - 이시의 「조주후풍가」와 광해 혼정기의 안동사림(2) -" 진단학회 (112) : 127-180, 2011
2 오용원, "嶺南地方 樓亭文學 硏究(1)*-慶州, 淸道, 永川, 安東 地域 所在 樓亭을 중심으로-"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2) : 439-472, 2005
3 서영숙,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6 (16): 55-80, 2012
4 김인구, "츈유가계 기행가사-춘유곡과 유산일록의 경우" 안암어문학회 22 : 23-47, 1981
5 김기영, "청량산의 시가문학적 형상화와 그 의미" 충청문화연구소 (1) : 103-124, 2008
6 김석회, "지역문학 연구의 성과와 방향성" 한국시가학회 32 : 5-26, 2012
7 김창원, "지역문학 연구의 방법과 방향" 우리어문학회 (29) : 239-263, 2007
8 박태일, "지역문학 연구와 경북·대구 지역" 현대문학이론학회 (24) : 27-47, 2005
9 최은주, "조선후기 영남선비들의 여행과 공간감성 - 18세기 영남선비 淸臺 權相一의 사례를 중심으로 -" 동양한문학회 31 (31): 373-409, 2010
10 백순철, "조선후기 여성기행가사의 여행형태와 현실인식" 고전한문학연구학회 5 : 101-127, 2008
11 김창원, "조선후기 近畿 지역 강호시가의 지역성 - 김광욱의 「栗里遺曲」을 대상으로 -" 한국시조학회 (28) : 63-80, 2008
12 김창원, "조선시대 서울인의 심상지도와「戀君」시가의 지역성" 서울학연구소 (31) : 101-125, 2008
13 조태성, "정식의 <竺山別曲>과 그 문학사적 의미"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6) : 369-395, 2010
14 박수진, "장흥지역 기행가사의 공간인식과 문화양상" 온지학회 (23) : 201-232, 2009
15 구모룡, "장소와 공간의 지역문학―지역문학의 문화론"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337-361, 2009
16 최열, "장소애착 인지 및 결정요인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0 (40): 53-64, 2005
17 정치영, "유산기로 본 조선시대 사대부의 청량산 여행" 한국지역지리학회 11 (11): 54-70, 2005
18 한양명, "안동지역 양반 뱃놀이(船遊)의 사례와 그 성격" 실천민속학회 12 : 197-236, 2008
19 손은하, "상징 조형물과 상징공간에 이미지화된 지역성 - 마산의 ‘민주화의 성지’와 ‘문학의 도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17) : 419-446, 2010
20 문재원, "문학담론에서 로컬리티 구성과 전략"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2) : 71-97, 2008
21 이정옥, "내방가사에 나타난 여성의 여행경험과 사회화" 경주문화원부설향토문화연구소 3 : 252-270, 2000
22 황위주, "낙동강 연안의 유람과 창작 공간" 우리한문학회 18 (18): 1281-1309, 2008
23 염은열, "기행가사의 ‘공간’ 체험이 지닌 교육적 의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12) : 89-114, 2006
24 정호기, "기억의 정치와 공간적 재현 : 한국에서의 민주화 운동들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2
25 권영철, "규방가사에 있어서 風流嘯詠類 연구" 대구가톨릭대사회과학연구소 11 : 109-181, 1982
26 성범중, "고전문학과 지역성의 문제" 국어국문학회 (144) : 113-142, 2006
27 김종구, "遊山記에 나타난 遊山과 讀書의 상관성과 그 의미 - 지리산과 청량산 遊山記를 중심으로 -" 한국문학언어학회 (51) : 125-157, 2009
28 우응순, "淸凉山 遊山文學에 나타난 공간인식과 그 변모 양상 禹應順 425 -周世鵬과 李滉의 作品을 중심으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34 (34): 425-446, 2006
29 정우락, "朝鮮中期 江岸地域의 文學活動과 그 性格 - 낙동강 중류 지역을 중심으로 한 하나의 시론 -" 한국학연구원 (40) : 203-258, 2010
30 김창원, "‘중앙-지방’의 권력과 17세기 어부가(漁父歌)의 갈등 구도" 국제어문학회 (40) : 99-126, 2007
31 김수경, "‘여행’에 대한 여성적 글쓰기 방식의 탐색 -여성 기행가사의 형상화 방식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17) : 47-87, 2008
32 최은숙, "<화전가>에 나타난 자연 인식 양상과 시적 활용 방식"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6) : 219-253, 2013
33 최은숙, "<한양가>에 나타난 한양 경관과 장소애착성"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10 : 5-31, 2012
34 김수경, "<이부인기행가사>에 나타난 19세기 여성의 여행체험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회 97-115, 2002
35 장정수, "20세기 기행가사의 창작 배경과 작품 세계 ?1945년 이전 작품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47 : 14-448, 2003
36 전재진, "19~20세기 초기 시조 문화의 교섭 양상 연구 : 『흥비부』와 『악부』(나손본)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