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세계화 시대의 한국 역사교육의 방향과 과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283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변화에 적합한 역사교육의 내용과 체제를 모색함으로써 역사학습을 통해 세계화라는 새로운 시대환경을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전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역사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 역사교육이 처해왔던 상황은 오히려 파행과 비정상이었던 까닭에 우리 역사교육이 이 지경에 처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다.
      일제 강점기는 말할 것도 없고 해방 후 우리 역사교육은 체제와 내용 모두에서 주체적이고 체계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역사교육이 궁극적으로 구성원이 속한 국가와 사회에 관한 자기 정체성의 인식과 확립에 관련되어 있다고 할 때 식민지배의 상황에서는 이러한 역사교육의 기본전제와 조건이 아예 부재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더구나 해방 후 사회과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역사의식/교육의 문제는 과목편제의 합리성의 문제로 속박되고 말았다. 현행 사회과체제하에서 역사교육은 고유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형편에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역사과를 사회과로부터 독립시켜야 한다.
      개선안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과정

      · 1학년 「역사Ⅰ」(주당 시수 2시간)
      · 2학년 「역사Ⅱ」(주당 시수 2시간)
      · 3학년 「역사Ⅲ」(주당 시수 2시간)

      「역사Ⅰ」「역사Ⅱ」은 국사 「역사Ⅲ」은 세계사

      2) 고등학교 과정

      · 1학년 「역사Ⅰ」(6단위: 한국사(3)+세계사(3), 근현대사 비중강화)

      · 심화선택과정 「(가칭)한국문화사」(8),「(가칭)세계사」(8) 및 한국전근대사 과목 등을 비롯하여 4~8단위 과목 5~6개 신설.

      전국규모 교육과정의 편성과 시행, 그 간 사회과체제로 운영하면서 수반되었던 교과목 편제와 교사양성 체제 등 사회과에서부터 역사과를 독립시키는 것에 적지 않은 혼란과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안이 역사과의 독립을 가장 중요한 원칙이자 전제로 하는 것은 그러지 않고서는 더 이상 역사교육의 활로를 찾을 수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역사과를 독립한다고 해서 무조건 교육과정상의 시수를 확대하여 사회과의 다른 영역의 가치와 그것이 처한 상황을 무시한 것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단지 역사학습시간의 양적 팽창이 아니라 최근 상황에서 더욱 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자신, 국가, 세계에 대한 비판적 역사의식의 함양이다. 이를 위해 역사교육에 대한 역사학계의 자기 혁신적인 의지와 노력을 개선안에 포함하고자 하였다.
      여러 연구자들이 우리 역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각각의 주제를 검토분석하고 해결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지만 이 연구의 개선안은 대략적인 역사교과 체제와 운영방향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실질적인 내용구성방안을 구체화하지는 못하였다. 이 연구가 발판이 되어 이러한 후속작업이 장기적인 계획아래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여전히 미흡하지만 이 연구가 1)다양한 경력과 전공을 가진 다수의 연구진을 구성하여 범 역사학계의 논의와 제안을 수렴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 2)역사교육의 여러 문제에 대한 피상적인 지적이나 편협한 제안을 지양하고 우리 역사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장기적이고도 근본적으로 진단하고 모색함으로써 교과이기주
      번역하기

      이 연구는 사회변화에 적합한 역사교육의 내용과 체제를 모색함으로써 역사학습을 통해 세계화라는 새로운 시대환경을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전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

      이 연구는 사회변화에 적합한 역사교육의 내용과 체제를 모색함으로써 역사학습을 통해 세계화라는 새로운 시대환경을 주체적으로 인식하고 전망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역사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새롭게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현재까지 우리 역사교육이 처해왔던 상황은 오히려 파행과 비정상이었던 까닭에 우리 역사교육이 이 지경에 처한 이유가 무엇인지를 밝히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했다.
      일제 강점기는 말할 것도 없고 해방 후 우리 역사교육은 체제와 내용 모두에서 주체적이고 체계적인 목표와 방향을 설정하지 못하였다. 역사교육이 궁극적으로 구성원이 속한 국가와 사회에 관한 자기 정체성의 인식과 확립에 관련되어 있다고 할 때 식민지배의 상황에서는 이러한 역사교육의 기본전제와 조건이 아예 부재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더구나 해방 후 사회과의 도입으로 말미암아 역사의식/교육의 문제는 과목편제의 합리성의 문제로 속박되고 말았다. 현행 사회과체제하에서 역사교육은 고유의 기능과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없는 형편에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우선 역사과를 사회과로부터 독립시켜야 한다.
      개선안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중학교 과정

      · 1학년 「역사Ⅰ」(주당 시수 2시간)
      · 2학년 「역사Ⅱ」(주당 시수 2시간)
      · 3학년 「역사Ⅲ」(주당 시수 2시간)

      「역사Ⅰ」「역사Ⅱ」은 국사 「역사Ⅲ」은 세계사

      2) 고등학교 과정

      · 1학년 「역사Ⅰ」(6단위: 한국사(3)+세계사(3), 근현대사 비중강화)

      · 심화선택과정 「(가칭)한국문화사」(8),「(가칭)세계사」(8) 및 한국전근대사 과목 등을 비롯하여 4~8단위 과목 5~6개 신설.

      전국규모 교육과정의 편성과 시행, 그 간 사회과체제로 운영하면서 수반되었던 교과목 편제와 교사양성 체제 등 사회과에서부터 역사과를 독립시키는 것에 적지 않은 혼란과 어려움이 따를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안이 역사과의 독립을 가장 중요한 원칙이자 전제로 하는 것은 그러지 않고서는 더 이상 역사교육의 활로를 찾을 수 없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역사과를 독립한다고 해서 무조건 교육과정상의 시수를 확대하여 사회과의 다른 영역의 가치와 그것이 처한 상황을 무시한 것은 아니다. 이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단지 역사학습시간의 양적 팽창이 아니라 최근 상황에서 더욱 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자신, 국가, 세계에 대한 비판적 역사의식의 함양이다. 이를 위해 역사교육에 대한 역사학계의 자기 혁신적인 의지와 노력을 개선안에 포함하고자 하였다.
      여러 연구자들이 우리 역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각각의 주제를 검토분석하고 해결방안에 대해 의견을 나누었지만 이 연구의 개선안은 대략적인 역사교과 체제와 운영방향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실질적인 내용구성방안을 구체화하지는 못하였다. 이 연구가 발판이 되어 이러한 후속작업이 장기적인 계획아래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여전히 미흡하지만 이 연구가 1)다양한 경력과 전공을 가진 다수의 연구진을 구성하여 범 역사학계의 논의와 제안을 수렴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점, 2)역사교육의 여러 문제에 대한 피상적인 지적이나 편협한 제안을 지양하고 우리 역사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장기적이고도 근본적으로 진단하고 모색함으로써 교과이기주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tries to provide history students, teachers, and scholars with opportunities for taking a new perspective on the Global Age by exploring a new paradigm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By doing so, it also aims to bring a new light on the value and meaning of history education. We have to look back the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first, however, because overall Korean history education had been distorted and still is not on the right trac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and even after the Liberation, aims and vision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were not successfully established in its contents and formats. Once we recognize that history education is necessarily related with self identification of the people about their society or 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self negated the cause and meaning of Korean historical consciousness. After the Liberation, "the social studies" imported as a new subject for political democratization by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Office delimited the position and value of school history. Under the social studies system, now implying the integrated subject covering History, Geography, Civics, we don't think that history education can do its role of bringing up historical and critical thinking for our students. History subjec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social studies curricular system.
      Here is our proposal for new course of study for independent subject of History.

      Junior High Level
      7th grade: History 1(2 classes per week)
      8th grade: History 2(2 classes per week)
      9th grade: History 3(2 classes per week)

      History 1, 2 : Korean History
      History 3: World History

      Senior High Level
      10th grade: History (3 classes per week)
      This course will be composed of integrated Korean and World history with more emphasis on the modern period up to the present.

      Electives for In Depth Studies
      Korean Cultural History (8 units), World History (8 units), Pre modern History of Korea(8 units), and more.

      We are expecting enormous difficulties in separating history from the social studies. Top down nationwide curricular system,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a long period time, and adapt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are maj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history curricular reform. Not disregarding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we strongly insist that history should be taught independently from the social studies, not because we want more history classes or units, but because we want students to have historical consciousness about the past and present. What we are trying to do is to provide a new framework for thoughtful history education which has been hindered by the idea and practice of the social studies program.

      Even though we tried hard to suggest persuasive solutions to deal with current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by focusing on each researcher's special field and discussing topics and issues for further analysis, we could not make a practically more detailed proposal which should include organizing principles of Korean and world history. We expect intensive studies on this topic to be followed in the near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tries to provide history students, teachers, and scholars with opportunities for taking a new perspective on the Global Age by exploring a new paradigm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By doing so, it also aims to bring a new light on the val...

      This study tries to provide history students, teachers, and scholars with opportunities for taking a new perspective on the Global Age by exploring a new paradigm of history education in Korea. By doing so, it also aims to bring a new light on the value and meaning of history education. We have to look back the history of history education first, however, because overall Korean history education had been distorted and still is not on the right track.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period and even after the Liberation, aims and visions of Korean history education were not successfully established in its contents and formats. Once we recognize that history education is necessarily related with self identification of the people about their society or nation, it can be said that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self negated the cause and meaning of Korean historical consciousness. After the Liberation, "the social studies" imported as a new subject for political democratization by the American Military Government Office delimited the position and value of school history. Under the social studies system, now implying the integrated subject covering History, Geography, Civics, we don't think that history education can do its role of bringing up historical and critical thinking for our students. History subject should be separated from the social studies curricular system.
      Here is our proposal for new course of study for independent subject of History.

      Junior High Level
      7th grade: History 1(2 classes per week)
      8th grade: History 2(2 classes per week)
      9th grade: History 3(2 classes per week)

      History 1, 2 : Korean History
      History 3: World History

      Senior High Level
      10th grade: History (3 classes per week)
      This course will be composed of integrated Korean and World history with more emphasis on the modern period up to the present.

      Electives for In Depth Studies
      Korean Cultural History (8 units), World History (8 units), Pre modern History of Korea(8 units), and more.

      We are expecting enormous difficulties in separating history from the social studies. Top down nationwide curricular system, implementation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a long period time, and adaptation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are major factors to be considered in history curricular reform. Not disregarding the effects of these changes, we strongly insist that history should be taught independently from the social studies, not because we want more history classes or units, but because we want students to have historical consciousness about the past and present. What we are trying to do is to provide a new framework for thoughtful history education which has been hindered by the idea and practice of the social studies program.

      Even though we tried hard to suggest persuasive solutions to deal with current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by focusing on each researcher's special field and discussing topics and issues for further analysis, we could not make a practically more detailed proposal which should include organizing principles of Korean and world history. We expect intensive studies on this topic to be followed in the near futur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