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교과 교육과정을 통한 창의성 교육 = Learner based creativity education through elementary school subject curricul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347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초등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교과 시간의 교수-학습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함으로써 창...

      초등학교 교육에서의 창의성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해야 한다. 교과 시간의 교수-학습 과정 속에서 학생들이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을 경험하고 창의적 체험활동을 함으로써 창의성을 신장시켜 나가야 한다. 창의성교육을 실제 교수-학 습과정에 도입하기 위해서는 창의성 교육의 교수-학습 내용이 단원이나 교재 등에 구체적으로 드러나야 한다. 이 때 관건이 되는 질문은 ‘초등학교 시기의 아동들에게 어떻게 창의성 교육을 실시할 것인가?’라고 할 수 있을 것인데, 창의성의 발현에 기여하는 구성 요인인 창 의성의 인지적 능력, 창의성의 정의적 성향, 창의적 환경 등을 고려하여 학교 전체 창의성 교육의 큰 틀에서 각 학년 학급별로 근본적 성격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루어 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reativity. Society needs creative talents with original idea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er bas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do based on subject curriculum and the course of ...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creativity. Society needs creative talents with original ideas and problem solving abilities. Learner based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do based on subject curriculum and the course of study. In teaching-learning process of subject instruction time, children may promotes their creativity by experienc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and doing creative hands-on experiencing activity. In order to introduce creativity education into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teaching-learning contents of creativity education must be displayed in subject unit or teaching material, course of study, etc. First of all, important question is how will you execute creativity education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Creativi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must consist of full way in basic trait into each grades and every classes in big framework of whole elementary school creativity education that pay due regard to creative ability and creative personality as well as creative environment that contribute in development of creativ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교과 기반 창의성 교육에서 가르칠 것은 무엇인가?
      • Ⅲ. 창의성의 구성 요인을 고려한 창의성 교육의 방법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교과 기반 창의성 교육에서 가르칠 것은 무엇인가?
      • Ⅲ. 창의성의 구성 요인을 고려한 창의성 교육의 방법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원식, "표준화 창의성 검사 실시 요강 및 규준" 코리안 테스팅 센터 1993

      2 김종안,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98

      3 신문승,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67-291, 2010

      4 신문승, "초등학교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113-135,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 1-1" (주)두산 2009

      6 이병진, "초등교육학개론" 문음사 1999

      7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14 (14): 187-210, 2000

      8 이인순, "창의성의 구성요인과 훈련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7

      9 강충열, "창의성의 교육적 정의" 1 (1): 1-39, 1997

      10 최인수,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모델 연구" 3 : 1-24, 2000

      1 정원식, "표준화 창의성 검사 실시 요강 및 규준" 코리안 테스팅 센터 1993

      2 김종안,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성균관대학교대학원 1998

      3 신문승,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267-291, 2010

      4 신문승, "초등학교 창의성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2 (22): 113-135, 2009

      5 교육과학기술부,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슬기로운 생활 1-1" (주)두산 2009

      6 이병진, "초등교육학개론" 문음사 1999

      7 하주현,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14 (14): 187-210, 2000

      8 이인순, "창의성의 구성요인과 훈련 효과"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987

      9 강충열, "창의성의 교육적 정의" 1 (1): 1-39, 1997

      10 최인수,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한 체계모델 연구" 3 : 1-24, 2000

      11 경기도교육청, "창의성교육 기본계획" 3-21, 2010

      12 이종구, "창의성검사: 창의성 계발을 위한 창의성검사의 이해와 활용" 한국가이던스 2004

      13 임현수, "창의성 측정 도구의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4 이동원, "창의성 교육의 실천적 접근" 교육과학사 2009

      15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성 교육을 위한 평가 방법 개선" 교육과학기술부 2010

      16 전경원, "창의성 교육, 희망을 품다 2" 진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3-15, 2006

      17 이혜주, "창의성 교육"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8

      18 박숙희, "창의성 계발과 교육" 학지사 2004

      19 Caroselli, M, "창의력의 이론과 개발" 교육과학사 2007

      20 김영채, "창의, 인성, 봉사 그리고 창의적 체험활동" 대한사고개발학회 6 (6): 1-24, 2010

      21 Parke, B. N, "일반학급에서 영재교육" 창지사 2007

      22 강충열, "인성 및 창의성 신장 방안" 교원대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1

      23 전경원, "유아 종합 창의성 검사 요강" 학지사 2000

      24 김춘일, "아동용 창의성검사 개발 연구" 16 : 269-306, 1996

      25 Tomlinson, C. A, "수준차가 다양한 교실에서의 효율적인 개별화수업" 교육과학사 2009

      26 교육과학기술부,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

      27 변영계, "교수․학습이론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5

      28 김성준, "교과교육에서 창의성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29 이경화, "경험연구에 기초한 영재교육" 시그마프레스 2008

      30 Tardif, T. Z, "What do we know about creativity?, In The nature of creativity" Cambridge Univ. Press 1988

      31 VanTassel-Baska, J, "The study of humanities. In The nature of creativity" Bacon 274-275, 1988

      32 Amabile, T. M, "The social psychology of creativity (2nd ed.)" Springer-Verlag 1996

      33 Guilford, J. P, "The nature of human intelligence" McGraw-Hill 1978

      34 Khatena, J, "The Khatena-Torrance creative perception inventory for identification, diagnosis, facilitation and research" 21 (21): 517-525, 1977

      35 Renzulli, J. S, "Scale for rating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superior students" 38 : 243-248, 1975

      36 Torrance, E. P, "Predictive validity of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6 : 236-252, 1972

      37 de Bono, E, "PO: Beyond yes and no" Penguin Books 1973

      38 Basadur, M, "Improving the measurement of divergent thinking attitudes in organizations" 33 : 75-111, 1999

      39 Davis, G. A, "Group inventory for finding interests I and II: Instruments for identifying creative potential in the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 16 : 50-57, 1980

      40 Rimm, S. B, "Group inventory for finding creative talent" 10 : 178-182, 1983

      41 Davis, G. A,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5th ed.)" Allyn & Bacon 2004

      42 In-Soo, Choe, "Creativity: A rising star in Korea. In R. Sternberg (Ed.). International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 Press 2006

      43 Feldhusen, J. F., "Creativity self-report scale" 56 (56): 40-45, 1965

      44 Davis, G. A, "Creativity is forever (5th ed.)" Kendall/Hunt Publishing 2005

      45 Rimm, S. B, "Creativity is forever (5th ed.)" Kendall/Hunt Publishing 237-238, 2005

      46 Weisberg, R. W, "Creativity and knowledge: A challenge to theories. In Handbook of creativity" Cambridge Univ. Press 226-250, 1999

      47 Feldhusen, J. F, "Creative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in gifted education" Ballantine Book 1994

      48 Hays, J. R, "Cognitive processes in creativity. In Handbook of creativity" Plenum 1989

      49 Rhodes, M, "Analysis of creativity" 42 (42): 305-310, 1961

      50 Williams, F. E, "A magic circle" 11 (11): 2-5, 1988

      51 Gough, H. G, "A creative personality scale for the adjective check list" 37 : 1398-1405, 1979

      52 김종서, "21세기 교육의 큰 두 개의 축 창의력 교육과 인성 교육(개정판)" 교육과학사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