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인철, "지식과 믿음의 대상" 32 (32): 531-548, 1996
2 홍정표, "주체의 존재태 연구: 정념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50) : 576-624, 2002
3 홍정표, "정념의 독점성과 미시체계 연구" 프랑스학회 25 : 319-335, 2003
4 박은영, "정념의 기호학 연구: 보들레르의 악의 꽃에서 주체의 행로" 59-79, 2001
5 홍정표, "정념 도식 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48) : 726-745, 2001
6 박일우, "영화기호학을 향한 일반기호학의 제언" 한국기호학회 (26) : 9-34, 2009
7 백선기, "영화,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8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2"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9 홍정표, "양태 이론 고찰: 정념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137) : 839-851, 1998
10 황인순, "애정의 정념 양상과 의미작용 -삼국유사 <박제상 설화>를 대상으로-" 시학과언어학회 (17) : 69-87, 2009
1 박인철, "지식과 믿음의 대상" 32 (32): 531-548, 1996
2 홍정표, "주체의 존재태 연구: 정념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불어불문학회 (50) : 576-624, 2002
3 홍정표, "정념의 독점성과 미시체계 연구" 프랑스학회 25 : 319-335, 2003
4 박은영, "정념의 기호학 연구: 보들레르의 악의 꽃에서 주체의 행로" 59-79, 2001
5 홍정표, "정념 도식 연구" 한국불어불문학회 (48) : 726-745, 2001
6 박일우, "영화기호학을 향한 일반기호학의 제언" 한국기호학회 (26) : 9-34, 2009
7 백선기, "영화,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8 백선기, "영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2"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9 홍정표, "양태 이론 고찰: 정념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137) : 839-851, 1998
10 황인순, "애정의 정념 양상과 의미작용 -삼국유사 <박제상 설화>를 대상으로-" 시학과언어학회 (17) : 69-87, 2009
11 백승국, "아문열의 소설 <詩人>의 정념 기호학적 분석: 방랑 시인 김삿갓의 정념행로" 71-98, 2003
12 박정수, "실재의 열망, 그 상징적 몸짓에 대해: 최근 영화를 대상으로" (7) : 63-83, 2004
13 오정민, "소설 마농 레스코와 클로드 소테의 영화에 나타난 정염의 양상" 14 : 103-130, 2004
14 백선기, "보도 비펴으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15 홍정표, "박경리의 『표류도』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분석" 26 : 403-437, 2009
16 백선기,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17 홍정표, "김동인의 단편 소설 <배따라기>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20 (20): 285-344, 2006
18 홍정표, "김동리의 단편 소설 ??황토기??에 나타난 질투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22 (22): 383-432, 2007
19 홍정표, "그레마스 기호학에서 ‘정념 도식’의 적용과 한계* - 이효석의 『화분』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4 : 457-486, 2008
20 백선기, "광고 기호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10
21 김상봉, "감성의 홀로주체성" 한국기호학회 (14) : 9-52, 2003
22 홍정표, "‘질투’에 관해서: 정념의 기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