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언어 교육은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중요시하고, 특정 맥락이나 상황 속에서 적절한 언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언어 교육 현실에서 강조하고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95643
김보은 (광주여자대학교)
2017
Korean
Korean Language Education ; Speaking Task ; Type of Task ; How to perform tasks ; Static Task ; Dynamic Task ; 한국어교육 ; 말하기 과제 ; 과제 유형 ; 과제 수행 방법 ; 정적 과제 ; 동적 과제
KCI등재
학술저널
247-279(3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최근 언어 교육은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중요시하고, 특정 맥락이나 상황 속에서 적절한 언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언어 교육 현실에서 강조하고 있...
최근 언어 교육은 실제 언어 사용 능력을 중요시하고, 특정 맥락이나 상황 속에서 적절한 언어 수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이 있다. 이 연구는 최근의 언어 교육 현실에서 강조하고 있는 언어 사용 능력 향상과 관련하여 말하기 과제 개선에 대한 논의를 하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수업 참여와 능동적인 과제 수행을 이끌어 내고 교실 현장과 교실 밖에 일상생활에서 유창한 언어 사용을 촉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제 유형과 과제 수행 방법에 주안점을 두었다. 과제는 일상생활에서 접할 가능성이 높은 특정 맥락과 상황을 가정하여 의사소통 연습을 하는 수단으로써 교실 언어와 교실 밖 실제 생활의 언어를 매개하는 장치로써 중요한 기능을 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대학 내 한국어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중급 교재에서의 말하기 과제 유형과 과제 수행 방법을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한국어 교재 및 한국어교육에서의 말하기 과제 개선 방향을 논의하고 그 방향에 맞는 과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상의 연구는 말하기 과제의 연구 영역을 좀 더 넓히고 다양한 관점에서 말하기 과제 유형과 과제 수행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한다는 근거를 마련해주는 데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speaking task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anguage use ability which is emphasized in recent language training courses.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type of tasks and the way of carry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improvement of speaking tasks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language use ability which is emphasized in recent language training courses. Specifically, it focused on the type of tasks and the way of carrying out the tasks that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class and actively carry out tasks and to promote the use of fluent language in the classroom and in everyday life outside the classroom. Tasks are a means of communicating with the assumption of specific contexts and situations likely to be encountered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types of speaking tasks and how to perform tasks in Korean intermediate textbooks u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stitutions in college, and discusses ways to improve speaking tasks in Korean textbook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above-mentioned researches also broaden the research area of the speaking task and provide a basis for the study on the speaking task type and how to perform tasks from various perspectives.
참고문헌 (Reference)
1 원해영, "한국어교재의 과제활동 수행양상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257-282, 2009
2 이상희, "한국어 교재의 과제 활용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급 3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윤실, "한국어 고급 교재의 말하기 과제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유신,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5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3" (주)교보문고 2010
6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3-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1
7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3A" (주)투판즈 2015
8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 3A"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출판부 2012
9 홍정은, "과제 중심 한국어 교재의 과제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0 김정숙,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법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 (9): 95-112, 1998
1 원해영, "한국어교재의 과제활동 수행양상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257-282, 2009
2 이상희, "한국어 교재의 과제 활용 방안 연구 : 한국어 중급 3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3 이윤실, "한국어 고급 교재의 말하기 과제 분석"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4 유신, "학문 목적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말하기 교재 개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3
5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 "재미있는 한국어 3" (주)교보문고 2010
6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이화 한국어3-1"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1
7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서울대 한국어3A" (주)투판즈 2015
8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서강 한국어 3A"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출판부 2012
9 홍정은, "과제 중심 한국어 교재의 과제 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10 김정숙,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교육 방법론" 국제한국어교육학회 9 (9): 95-112, 1998
11 김지영, "과제 수행 중심의 한국어 말하기 수업에서 담화 분석 활동의 활용 방안"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5 (25): 29-52, 2014
12 Ellis, R., "Task-base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Oxford University Press 2003
13 Willis, J., "Task based learning for beginners and young learners" Longman 1996
14 Prabhu, S., "Second Language Pedagogy:A Perspective"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15 Nunan, D., "Designing Tasks for the Communicativ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Express 1989
16 Willis, J., "A Framework for task based learning" Longman 1996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어학습 동기와 학업성취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을 기초로 한 한국어교육학의 연구 영역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2-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Association of Korean Education | ![]() |
2013-12-01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The Moder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 KOREAN EDUCA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8 | 0.95 | 1.479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