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SCOPUS

      담관염과 석회화 담낭이 동반된 석회유 담즙 1예 = A Case of Limy Bile Associated with Cholangitis and Calcified Gallbladd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40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imy bile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precipitation of calcium carbonate, and generally preceded by gallbladder obstruction. Three case reports have been found in the domestic literatures. It is rare that limy bile syndrome associates cholangitis or calcified gallbladder.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limy bile, located in the gallbladder, common bile duct, and intrahepatic duct, with association of calcified gallbladder. This case showed characteristic radiologic and endoscopic findings. The patient was treated by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번역하기

      Limy bile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precipitation of calcium carbonate, and generally preceded by gallbladder obstruction. Three case reports have been found in the domestic literatures. It is rare that limy bile syndrome associates cholangitis or...

      Limy bile is characterized by excessive precipitation of calcium carbonate, and generally preceded by gallbladder obstruction. Three case reports have been found in the domestic literatures. It is rare that limy bile syndrome associates cholangitis or calcified gallbladder. We report the case of a patient with limy bile, located in the gallbladder, common bile duct, and intrahepatic duct, with association of calcified gallbladder. This case showed characteristic radiologic and endoscopic findings. The patient was treated by endoscopic sphincterotomy and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석회유 담즙은 탄산석회의 침강이 특징이며, 발생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았지만 담낭관의 폐쇄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3예가 보고되었다. 주로 담낭에 발생하며 드물게 담관염을 동반하거나 석회화 담낭이 병발한다. 저자들은 간내담관, 담낭, 간외담관에 발생하고 석회화 담낭이 합병된 석회유 담즙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에 복강경 담낭절제술로 치료를 받았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석회유 담즙은 탄산석회의 침강이 특징이며, 발생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았지만 담낭관의 폐쇄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3예가 보고되었다. 주로 담낭에 발생하며 드물게 ...

      석회유 담즙은 탄산석회의 침강이 특징이며, 발생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았지만 담낭관의 폐쇄와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서는 3예가 보고되었다. 주로 담낭에 발생하며 드물게 담관염을 동반하거나 석회화 담낭이 병발한다. 저자들은 간내담관, 담낭, 간외담관에 발생하고 석회화 담낭이 합병된 석회유 담즙 1예를 경험하였다. 환자는 내시경 유두괄약근 절개술 후에 복강경 담낭절제술로 치료를 받았다. 이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the disappearing limy bile syndrome" 94 : 311-312, 1970

      2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porcelain gallbladder and limy bile.A contribution to the pathomechanism of heterotopic calcification" 101 : 399-409, 1960

      3 "Spontaneous disappearance of limy bile:report of a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79 : 884-888, 1984

      4 "Spontaneous disappearance of limy bile A cause of acute pancreatitis" 220-221, jclingastroenterol1994

      5 "Milk of calcium cholelithiasis in children" 36 : 644-647, 2001

      6 "Limy bile:a case of obstructive jaundice and review of 26 cases" 49 : 67-70, 2003

      7 "Limy bile.A surgical experience in 16 patients" 18 : 550-555, 1994

      8 "Limy bile syndrome.Study of a case with double localization in the gallbladder and common bile duct" 12 : 156-159, 1988

      9 "Limy bile syndrome complicated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42 : 44-47, 2003

      10 "Limy bile syndrome" 28 : 1568-1569, 1993

      1 "the disappearing limy bile syndrome" 94 : 311-312, 1970

      2 "The simultaneous presence of porcelain gallbladder and limy bile.A contribution to the pathomechanism of heterotopic calcification" 101 : 399-409, 1960

      3 "Spontaneous disappearance of limy bile:report of a case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79 : 884-888, 1984

      4 "Spontaneous disappearance of limy bile A cause of acute pancreatitis" 220-221, jclingastroenterol1994

      5 "Milk of calcium cholelithiasis in children" 36 : 644-647, 2001

      6 "Limy bile:a case of obstructive jaundice and review of 26 cases" 49 : 67-70, 2003

      7 "Limy bile.A surgical experience in 16 patients" 18 : 550-555, 1994

      8 "Limy bile syndrome.Study of a case with double localization in the gallbladder and common bile duct" 12 : 156-159, 1988

      9 "Limy bile syndrome complicated with primary hyperparathyroidism" 42 : 44-47, 2003

      10 "Limy bile syndrome" 28 : 1568-1569, 1993

      11 "Limy bile syndrome" 193 : 245-246, 1965

      12 "Limy 'milky' bile:without apparent gall-bladder obstruction by a gallstone" 57 : 405-408, 1987

      13 "Chemical and crystallographic studies an 33 cases of calcium carbonate gallstone(So-called limy bile)" 21 : 162-166, 1986

      14 "Acute cholecystitis with large amounts of calcium soap in gall bladder" 22 : 223-224, 1911

      15 "A casee report of limy bile" 17 : 57-60, 1975

      16 "A case of milk of calcium bile" 4 : 21-24, 1972

      17 "A case of hourglass gallbladder associated with milk of calcium bile at the fundal compartment" 35 : 574-579, 198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2-2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KCI등재후보
      2006-06-21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2 0.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21 0.18 0.3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