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적용될 학업 성취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 포함된 변인과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웹 학습요소와 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259511
2010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463-471(9쪽)
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학습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적용될 학업 성취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 포함된 변인과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웹 학습요소와 자...
학습 본 연구의 목적은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서 적용될 학업 성취 수준별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는 것이다. 블랜디드 러닝 환경에 포함된 변인과 구조를 살펴보기 위해 웹 학습요소와 자기조절학습을 기초로 하여 두 종류의 설문지를 개발하였고, 또한 이를 적용한 반응을 근거로 하여 각 요소 간 위상과 경로를 표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 154명을 실험 대상으로 2주간 사이버 학습을 실시하고 각 학습자의 성취 수준과 설문지 자료를 획득하였다. 또한 상관분석, 전통적 다차원척도법 그리고 중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통계적 처리를 통해 각 요소 간 위상과 경로를 규명하고 블랜디드 러닝 모형을 정형화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learning model based on achievement level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nd mechanism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e started by attempt to develop two quest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ticulate learning model based on achievement level in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and mechanisms in th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we started by attempt to develop two questionnaires using the components of web-based instruc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nd its results were implemented to represent the topology and directed merging path within components. 154 students at a high school were required to take each web course respectively for two weeks. And questionnaires data, achievement level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Various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such as correlation analysis, classical multidimensional scal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the data. As an result, the topology and directed path within factors of blended learning process were derived and revised as a final mode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인성,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16 (16): 223-246, 2000
2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이론: 의미, 구성요소, 설계원리" 14 (14): 143-162, 1999
3 이재경,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6 (16): 83-106, 2000
4 임철일,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전략의 특성과 효과" 17 (17): 53-83, 2001
5 김종두, "웹 기반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분석: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학업성취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2 (22): 87-113, 2006
6 이의길, "온라인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협동학습의 관계 및 이들이 인지적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53-78, 2005
7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67-72, 2003
8 강이철, "e-Learning환경에서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정보 구조화 방략" 191-215, 2001
9 D. H. Schunk, "Verbaliza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11 : 347-369, 1986
10 J. R. Malpss,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high-stakes math achieve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 students" 21 : 281-299, 1995
1 정인성, "평생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16 (16): 223-246, 2000
2 신민희, "자기조절 학습이론: 의미, 구성요소, 설계원리" 14 (14): 143-162, 1999
3 이재경, "웹기반 자기주도적 학습 모형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16 (16): 83-106, 2000
4 임철일, "웹기반 자기조절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전략의 특성과 효과" 17 (17): 53-83, 2001
5 김종두, "웹 기반 교육의 가능성과 한계성 분석: ‘교육공학연구’에 나타난 학업성취 관련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2 (22): 87-113, 2006
6 이의길, "온라인 수업에서 자기조절학습과 협동학습의 관계 및 이들이 인지적 참여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 한국교육공학회 21 (21): 53-78, 2005
7 임규혁, "교육심리학" 학지사 67-72, 2003
8 강이철, "e-Learning환경에서 학습효과 제고를 위한 정보 구조화 방략" 191-215, 2001
9 D. H. Schunk, "Verbaliza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ed learning" 11 : 347-369, 1986
10 J. R. Malpss, "Self-regulation, self-efficacy, and high-stakes math achievement for mathematically gifted high schoo students" 21 : 281-299, 1995
11 C. Senecal, "Self-regul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135 : 607-617, 1995
12 D. H. Jonassen, "Revisiting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in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LEA 89-121, 2000
13 K. Ley, "Instructional principles for self-regulation" 49 (49): 93-105, 2001
14 B. J. Zimmerman,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80 : 284-290, 1994
15 김도헌, "Blended Learning 그것이 알고 싶다" 151 : 54-57, 2004
16 K. Mantyla, "Blended E-LEARNING" ASTD 2003
한국 대학생들과 한국에서 한국어를 배우는 중국 대학생들의 태도 차이
공공기관 교육용 콘텐츠의 학습효과 증진을 위한 디자인 전략
교육주체간 상호작용을 고려한 구성주의 기반 학급운영시스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