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디자인 씽킹을 통한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Revitalizing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Design Thin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213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정의되었던 공유경제가 코비드-19(COVID-19)라는 변수를 맞아 위기 아닌 위기를 겪고 있다. 공유경제가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와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가 코비드-19와 같은 팬데믹 현상이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도울 수 있는 방안으로 디자인 씽킹과 같은 사고 중심의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디자인 씽킹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한 개념화에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주제어인 공유경제와 디자인 씽킹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주로 논의하였다. 주요 논의들을 토대로 공감을 통한 난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는 공유경제가 가진 다양성과 복잡성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문제 해결 프로세스임을 주지하였다. 하지만 현재 본 연구를 통해 제언된 디자인 씽킹 기반의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은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심도 있는 보완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
      번역하기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정의되었던 공유경제가 코비드-19(COVID-19)라는 변수를 맞아 위기 아닌 위기를 겪고 있다. 공유경제가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4차 산업혁명시대를 이끌어갈 혁신적인 비즈니스 모델로 정의되었던 공유경제가 코비드-19(COVID-19)라는 변수를 맞아 위기 아닌 위기를 겪고 있다. 공유경제가 이러한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문제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와 문제 해결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경제가 코비드-19와 같은 팬데믹 현상이나 위기 상황을 극복하고 공유경제의 활성화를 도울 수 있는 방안으로 디자인 씽킹과 같은 사고 중심의 문제해결 프로세스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디자인 씽킹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에 대한 개념화에 있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주제어인 공유경제와 디자인 씽킹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관련 내용에 대해 주로 논의하였다. 주요 논의들을 토대로 공감을 통한 난제를 해결하는 디자인 씽킹 프로세스는 공유경제가 가진 다양성과 복잡성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문제 해결 프로세스임을 주지하였다. 하지만 현재 본 연구를 통해 제언된 디자인 씽킹 기반의 공유경제 활성화 방안은 개념적 접근을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하겠다. 이는 후속 연구를 통해 보다 심도 있는 보완이 이루어지도록 하겠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haring economy was defined as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that will lea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riencing a crisis rather than a crisis due to the variable of COVID-19. The sharing economy must turn this crisis into an opportunity and bring about new change. In this study, a thought-oriented problem-solving process such as design thinking was discussed as a way for the sharing economy to overcome pandemic or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and help revitalize the sharing econom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 plan to activate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So, in the main text, the concepts of sharing economy and design thinking, which are the main words, are defined and related contents are mainly discussed. Based on this, he argued that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at solves the difficulties through empathy is an important factor in solving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sharing economy. However, the current plan for activating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design thinking proposed thr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being discussed centering on a conceptual approach. These limitations will be complemented in more depth through following studies.
      번역하기

      The sharing economy was defined as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that will lea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riencing a crisis rather than a crisis due to the variable of COVID-19. The sharing economy must turn this crisis int...

      The sharing economy was defined as an innovative business model that will lead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t is experiencing a crisis rather than a crisis due to the variable of COVID-19. The sharing economy must turn this crisis into an opportunity and bring about new change. In this study, a thought-oriented problem-solving process such as design thinking was discussed as a way for the sharing economy to overcome pandemic or crisis situations such as COVID-19 and help revitalize the sharing economy.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ceptualize a plan to activate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an understanding of design thinking. So, in the main text, the concepts of sharing economy and design thinking, which are the main words, are defined and related contents are mainly discussed. Based on this, he argued that the design thinking process that solves the difficulties through empathy is an important factor in solving the diversity and complexity of the sharing economy. However, the current plan for activating the sharing economy based on design thinking proposed throug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that it is being discussed centering on a conceptual approach. These limitations will be complemented in more depth through following stud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2. 공유경제의 개념 3. 디자인 씽킹과 공유경제 4. 결론 참고문헌
      • 1. 서론 2. 공유경제의 개념 3. 디자인 씽킹과 공유경제 4.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경선, "창의・컴퓨팅사고 교육내용 기본 설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65-73, 2018

      2 임한솔, "승차 공유 서비스의 법적 쟁점- 공유경제와 종합경제 논의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01-112, 2020

      3 존 헤스켓, "로고와 이쑤시개" 세미콜론 2005

      4 백승철, "디지털 융합시대의 디자인 사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55-163, 2017

      5 이정열, "디자인사고의 의미 비교" 2010 (2010): 10-, 2010

      6 김시연, "디자인사고의 방법론과 효과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 (19): 51-58, 2016

      7 나건, "디자인발전소" 비주얼스토리공장출판부 2008

      8 주강진, "공유경제와 미래사회 포럼보고서" 창조경제연구회 2016

      9 오세환, "공유경제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북미, 유럽,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질서경제학회 21 (21): 115-138, 2018

      10 이성엽, "공유경제(Sharing economy)에 대한 정부규제의 필요성— 차량 및 숙박 공유를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44) : 19-41, 2016

      1 오경선, "창의・컴퓨팅사고 교육내용 기본 설계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65-73, 2018

      2 임한솔, "승차 공유 서비스의 법적 쟁점- 공유경제와 종합경제 논의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101-112, 2020

      3 존 헤스켓, "로고와 이쑤시개" 세미콜론 2005

      4 백승철, "디지털 융합시대의 디자인 사고 기반 사회문제 해결 아이디어 구체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155-163, 2017

      5 이정열, "디자인사고의 의미 비교" 2010 (2010): 10-, 2010

      6 김시연, "디자인사고의 방법론과 효과적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19 (19): 51-58, 2016

      7 나건, "디자인발전소" 비주얼스토리공장출판부 2008

      8 주강진, "공유경제와 미래사회 포럼보고서" 창조경제연구회 2016

      9 오세환, "공유경제를 활용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북미, 유럽, 중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질서경제학회 21 (21): 115-138, 2018

      10 이성엽, "공유경제(Sharing economy)에 대한 정부규제의 필요성— 차량 및 숙박 공유를 중심으로 —" 행정법이론실무학회 (44) : 19-41, 2016

      11 이지나, "공유경제 현황과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고려대학교 2019

      12 "www.wordreference.com"

      13 "www.oxfordlearnersdictionaries.com"

      14 "www.korean.go.kr"

      15 "https://en.dict.naver.com"

      16 R. Buchanan, "Wicked Problems in Design Thinking" 8 (8): 1995

      17 고윤승, "ICT 발달에 따른 공유경제에 대한 소고" 국제e-비즈니스학회 15 (15): 77-100, 2014

      18 H.W.J. Rittel, "Dilemmas in a General Theory of Planning" 4 (4): 2-, 1973

      19 정병익, "4차 산업혁명 시대 디자인 씽킹이 답이다" 학현사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