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집권이후 이념성 사건에 대한 사회적 갈등과 논란이 어느 때 보다 점증돼 가고 있는 가운데 동국대 강정구 교수 사건에 관한 신문의 사설보도를 분석하였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918266
서울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 2007
학위논문(석사) --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 , 언론정보학과 언론전공 , 2007.2
2007
한국어
서울
vii, 82 p. : 삽도 ; 26 cm.
지도교수: 심재철
단면인쇄임
부록수록
참고문헌 : p. 73-7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집권이후 이념성 사건에 대한 사회적 갈등과 논란이 어느 때 보다 점증돼 가고 있는 가운데 동국대 강정구 교수 사건에 관한 신문의 사설보도를 분석하였다. ...
이 논문에서는 노무현 대통령 집권이후 이념성 사건에 대한 사회적 갈등과 논란이 어느 때 보다 점증돼 가고 있는 가운데 동국대 강정구 교수 사건에 관한 신문의 사설보도를 분석하였다.
진보성향의 세력은 우리 사회가 탈냉전시대에 들어섰고, 각 분야에서 남과 북의 교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학문적 논의나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아직도 남북이 대치하는 우리만의 특수상황과 법치주의아래서 이적행위에 대한 엄단을 촉구했다. 나아가 검찰권 독립의 원칙이 무너지는 헌정사상 초유의 사태까지 발생했다.
이 논문은 이 같은 상황 속에서 언론이 이념문제를 둘러싼 정치, 사회적 갈등이슈에 관해 어떤 프레임을 구성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신문 사설에 비친 보도태도를 살펴보았다.
논문의 연구대상은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신문 중 사회적 영향력이 크고 이데올로기적으로 상반된 태도를 보여 온 조선일보와 한겨레신문, 그리고 종교적 양심, 사원지주제 형식의 탈 독점자본 등을 배경으로 각기 보수와 진보 진영의 대칭점에서 각기 빗겨나 있을 것으로 보이는 세계일보와 경향신문 등 4개 신문을 중점 분석했다.
이 연구를 위해 우선 강정구 교수사건의 발전과정을 추적, 국면단위로 구분해 보았다. 이 과정에서 강 교수 사건이 발단이 된 6.25전쟁의 역사해석, 안보개념, 공안정책, 공안책임공방, 대학사회 이념강좌, 공안부서 위상변화, 정치권 책임공방 등 7개 주제를 찾을 수 있었다. 언론사별 주제 사용빈도를 살펴본 결과 ‘정치적 공방’에 대해 가장 많은 보도를 하였다. 그 만큼 공안사건을 둘러싼 정치적 이해대립이 많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이기도 하겠지만, 언론이 정책적 이슈를 정쟁적 사건으로 구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여기에 헌정사상 첫 수사지휘권이 발동되고, 이에 검찰총장의 항명성 사퇴가 이어지는 등 본격적인 갈등국면에 접어들면서 조선일보와 한겨레 등 보수와 진보진영의 신문들 사이에서 관점의 차이가 극명히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동일사건에 대해 보수진영의 신문들은 공안질서와 정체성, 실정법에 의한 처리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진보진영의 신문들은 학문과 표현의 자유, 인권보장, 제도개선 등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고 이런 기본적 시각차에서부터 뉴스 프레임 구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유형별 대립과 갈등국면에 관한 프레임을 도출하였다.
그러한 결과, 이념성 사건에 대해 국내 언론은 사회통합을 위한 중재자로서 의사소통 또는 건전한 논의구조 양산을 유도하거나 계도하지 아니하고 수용자 태도에 앞서 보도매체 간에 보·혁 진영을 가르고, 사안마다 정치 쟁점화 하는 자사(自社) 중심적인 이념 패권주의 경향도 나타났다.
또한 이 논문의 연구대상을 굳이 4개 신문으로 삼은 것도 추후 일어날 수 있는 이념성 사건에 대한 논조의 차이는 물론, 각 언론사별 이데올로기에 의한 스펙트럼의 지형을 부수적으로 유추해 보기 위함이다.
이러한 보도 프레임 구성을 통해 분석한 결과, 언론이 뉴스 수용자로 하여금 이념성 사건에 대한 정부 공안정책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게 하기보다는 파생적이고 부차적인 문제에 주목하게 만듦으로써 사회적 논의를 왜곡된 방향으로 이끌 우려가 있다는 점을 문제로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뿐만 아니라, 각 언론은 거의 모든 주제의 프레임에서 확연한 대립구도를 드러냈다. 조선일보와 세계일보 등 보수언론은 극히 냉소적이고 공격지향적인 프레임 구성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의 참여정부 아래서 국가 정통성, 정체성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 즉 사회내 공안사건과 공안사범에 대한 무질서와 무원칙을 부각시키려는 태도를 보였다.
반면 개인의 자유와 인권, 권익신장을 창간 모토로 하는 한겨레신문은 학문과 표현의 자유, 개인의 양심적 차원에서 지금껏 우리사회에서 금기시돼온 어떠한 이념이나 사상문제에 관해서도 ‘논의의 장’이 마련돼야만 한다는 가치기준을 기본설정에 두고 보도 프레임이 짜여 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차제에 이를 가로막는 국가보안법 등 제도개선에 관해서도 강력히 촉구하는 입장을 견지했다. 이에 따른 대(對) 보수언론에 대한 강한 반박논조로 대치하는 태도를 보여주었다.
특히, 이념적 대칭점에서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을 것으로 보였던 세계일보와 경향신문 역시 명확한 대립구도의 프레임 양태를 띠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연구대상을 사설 등 의견기사를 중심에 둔 것도 각 언론의 이 같은 태도분석을 살피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언론은 국가존립에 관한 사회 공동의 가치를 인식하거나 커뮤니티를 형성하기보다 특정의 유사사건을 부각시켜 각자의 논리나 주장을 극대화하거나 반대의견은 사소화 함으로써, 그러한 보도를 접하는 수용자로 하여금 여론의 실체를 왜곡하거나 단편적으로 인식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보도태도는 사회발전을 위한 건강한 토론을 원천적으로 막아서려 한다는 점에서 언론이 ‘공론의 장’으로서 의사소통 기능을 하기보다 정치, 사회적 사건에 대한 규제자의 역할을 하는 것이란 그릇된 해석을 낳을 수 있게 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