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1960년대 한국에서의 “근대화론” 수용과 한국사 인식 ― 고려대와 동국대 학술회의를 중심으로 = `Modernization Theory` and Korean Historiography in the 1960s: With Focus on the Conferences of Korea University and Dongguk Universit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1960년대 한국에서 수용된 “근대화론”은 크게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로 나뉘어볼 수 있다. “근대화론”은 각 사회가 처한 현실과 별개로 근대사회로의 도약이 어디서나 가능하다는 ...

      1960년대 한국에서 수용된 “근대화론”은 크게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의미로 나뉘어볼 수 있다. “근대화론”은 각 사회가 처한 현실과 별개로 근대사회로의 도약이 어디서나 가능하다는 점에서 보편성을 추구한 이론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에서도 이 이론은 상당한 주목을 끌었다. 따라서 이 글은 그간 주목하지 않았던 “근대화론”과 한국사 인식과 의 관계를 다룬다. “근대화론”은 한국에서는 고려대 개교 60주년 기념 학술회의와 동국대 개교 60주년 학술회의를 통해 본격적으로 논의되었다. 특히 고려대 회의는 서구사회에서 “근대화론”을 주장하던 학자들도 대거 참석했는데, 그들은 한국 측 학자들과의 대화를 통해서 합의와 차이점을 드러내었다. 이 회의 이후에 한국에서는 한국사시대 구분론의 논쟁이 있었다. 이 논쟁은 한국사의 내재적 발전을 인정하는 위에서, 근대사회로 진입하는 계기를 한국사의 특정 시점에서 찾고자 한 점에서 “근대화론”의 한국적 맥락화라고 할 수 있다. “근대화론”의 수용 과 한국사 인식과의 관련성을 통해서 근대한국사의 특징이 더 분명히 드러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dernization theory` which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1960s consist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Based on the position that all societies are able to make the leap to modern society, this theory aimed to seek a universal fra...

      `Modernization theory` which was introduced into Korea in the 1960s consists of economic,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Based on the position that all societies are able to make the leap to modern society, this theory aimed to seek a universal framework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entire world, regardless of the specific situation of each society. This theory was viral and popular in Korea in the 1960s. This paper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theory and studies on Korean history, an area that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from scholars. In Korea, modernization theory was widely discussed at two important conferences: the 60th Anniversary of School Founding Conference in Korea University (1965) and Dongguk University (1966). Particularly, several modernization theorists from western societies participated in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at Korea University. Through the diverse exchanges of opinions that took place, the conference illuminated both the common ground and differences between western scholars and their Korean counterparts. After these conferences took place, the theory came to be projected into Korean discourse on periodization in Korean historiography. Debate centered on identifying the impetus of modernization from the viewpoint of Korean history, which would allow a recognition of the internal development of Korean history. In other words, the debate was a internalization of the modernization theory. It is therefore argued that modern Korean historiography can be better understood by examini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modernization theory` and Korean history research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주백, "한국역사학의 기원—근현대 역사학의 제도⋅주체⋅인식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휴머니스트 2016

      2 동국대학교 개교 60주년기념 학술 심포지움 위원회, "한국근대화의 이념과 방향" 동국대학교 1967

      3 정일준, "한국 사회과학 패러다임의 미국화-미국 근대화론의 한국전파와 한국에서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아메리카학회 37 (37): 66-92, 2005

      4 정문상, "포드재단(Ford Foundation)과 동아시아 ‘냉전지식’ -한국과 중화민국의 중국근현대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6 : 179-201, 2014

      5 안종철, "주일대사 에드윈 라이샤워의 ‘근대화론’과 한국사 인식" 역사문제연구소 17 (17): 293-322, 2013

      6 박진우, "일본 근대화론의 이론적 검토" 한국일어일문학회 43 : 357-374, 2002

      7 학술단체협의회, "우리 학문 속의 미국-미국적 학문 패러다임 이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울 아카데미 2003

      8 윤해동,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탈식민주의 역사학 연구를 위하여" 책과 함께 2016

      9 백영서, "사회인문학의 길—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 창비 2014

      10 정일준, "미제국의 제3세계 통치와 근대화이론-군산학복합체와 근대화이론의 탄생-" 비판사회학회 57 : 5-147, 2003

      1 신주백, "한국역사학의 기원—근현대 역사학의 제도⋅주체⋅인식은 어떻게 탄생했는가" 휴머니스트 2016

      2 동국대학교 개교 60주년기념 학술 심포지움 위원회, "한국근대화의 이념과 방향" 동국대학교 1967

      3 정일준, "한국 사회과학 패러다임의 미국화-미국 근대화론의 한국전파와 한국에서의 수용을 중심으로" 한국아메리카학회 37 (37): 66-92, 2005

      4 정문상, "포드재단(Ford Foundation)과 동아시아 ‘냉전지식’ -한국과 중화민국의 중국근현대사연구 사례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소 36 : 179-201, 2014

      5 안종철, "주일대사 에드윈 라이샤워의 ‘근대화론’과 한국사 인식" 역사문제연구소 17 (17): 293-322, 2013

      6 박진우, "일본 근대화론의 이론적 검토" 한국일어일문학회 43 : 357-374, 2002

      7 학술단체협의회, "우리 학문 속의 미국-미국적 학문 패러다임 이식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울 아카데미 2003

      8 윤해동, "식민주의 역사학과 제국-탈식민주의 역사학 연구를 위하여" 책과 함께 2016

      9 백영서, "사회인문학의 길—제도로서의 학문, 운동으로서의 학문" 창비 2014

      10 정일준, "미제국의 제3세계 통치와 근대화이론-군산학복합체와 근대화이론의 탄생-" 비판사회학회 57 : 5-147, 2003

      11 허은, "미국의 헤게모니와 한국 민족주의-냉전시대(1945-65) 문화적 경계의 구축과 균열의 동반"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8

      12 박태균, "로스토우 제3세계 근대화론과 한국" 역사문제연구소 (66) : 136-166, 2004

      13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동아시아한국학의 분화와 계보-복수의 한국학들" 소명출판 2013

      14 미야지마 히로시, "동아시아는 몇 시인가? 동아시아사의 새로운 이해를 찾아서" 너머북스 2015

      15 김우민, "근대화이론과 미국의 지식인들" 16 : 2007

      16 신주백, "관점과 태도로서 ‘內在的 發展’의 분화와 民衆的 民族主義 歷史學의 등장- 民衆의 再認識과 分斷의 發見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65) : 193-233, 2014

      17 김경태, "韓國近代史의 起點과 時期區分問題" 50 : 1993

      18 Ekbladh, David, "The Great American Mission: Modernization and the Construction of an American World Or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0

      19 Palais, James,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Harvard University Press 1975

      20 Eckert, Carter J., "Offspring of Empire: The Koch’ang Kims and the Colonial Origins of Korean Capitalism 1876-1945"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91

      21 Gilman, Nils, "Mandarins of the Future: Modernization Theory in Cold War Americ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3

      22 Cumings, Bruce, "Learning Places: The Afterlives of Area Studies" Duke University Press 2002

      23 Asiatic Research Cente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the Problems of Modernization in Asia, June 28-July 7, 1965 Report" Asia Research Center, Korea University 1966

      24 허은, "1960년대 후반 ‘조국근대화’ 이데올로기 주조와 담당 지식인의 인식" 한국사학회 (86) : 247-291, 2007

      25 홍석률, "1960년대 한국 민족주의의 두 흐름" 한국사회사학회 (62) : 6-203, 2002

      26 황병주, "1960년대 비판적 지식인 사회의 민중인식"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1) : 110-147, 2009

      27 이상록, "1960~70년대 비판적 지식인들의 근대화 인식" 18 :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 Institute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5-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Journal of Humanites -> Journal of Humanit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8 0.62 1.31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