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후풍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한의사 인식 조사 = A Survey on Doctor of Korean Medicine’s Recognition for Developing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of Sanhupu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577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research Korean medicine doctors’ recognition about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nhupung,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anhupung.

      Methods: From October 1, 2021 to November 1, 2021,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an online survey platform targeting Korean Medicine doctors belonging to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Patients most commonly visited Korean Medical clinic within 22 to 42 days of miscarriage or childbirth, and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was 1 to 3 months. To diagnose Sanhupung, Korean Medicine doctors most frequent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 symptoms of Sanhupung, and the symptoms complained by Sanhupung patients were common in the order of arthralgia, coldness, feelings like wind coming in and muscle pain. For the treatment of Sanhupung, 94.8% of the respondents used herbal medicine, followed by acupuncture 78.1%, moxibustion 50.1%, cupping 29.5%, and Chuna 12.6%. For the prevention of Sanhupung, 81.8% of the respondents prescribed herbal medicine, and 66.4% of the respondents provided education to prevent Sanhupung.

      Conclusions: W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Sanhupung patients visiting Korean medicine clinic and Korean medicine doctors’ recognition about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nhupung and reflected them in the CPG for Sanhupung.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research Korean medicine doctors’ recognition about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nhupung,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anhu...

      Objectives: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research Korean medicine doctors’ recognition about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nhupung, and to use it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Medicine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anhupung.

      Methods: From October 1, 2021 to November 1, 2021,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an online survey platform targeting Korean Medicine doctors belonging to The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and the responses were analyzed.

      Results: Patients most commonly visited Korean Medical clinic within 22 to 42 days of miscarriage or childbirth, and the average treatment period was 1 to 3 months. To diagnose Sanhupung, Korean Medicine doctors most frequentl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 symptoms of Sanhupung, and the symptoms complained by Sanhupung patients were common in the order of arthralgia, coldness, feelings like wind coming in and muscle pain. For the treatment of Sanhupung, 94.8% of the respondents used herbal medicine, followed by acupuncture 78.1%, moxibustion 50.1%, cupping 29.5%, and Chuna 12.6%. For the prevention of Sanhupung, 81.8% of the respondents prescribed herbal medicine, and 66.4% of the respondents provided education to prevent Sanhupung.

      Conclusions: We researched the characteristics of Sanhupung patients visiting Korean medicine clinic and Korean medicine doctors’ recognition about diagnosis, treatment and prevention of Sanhupung and reflected them in the CPG for Sanhupu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윤선 ; 권영대, "출산 여성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11 (11): 143-158, 2017

      2 정서윤 ; 이은희, "일개한방병원에서 전라북도산후건강지원사업을 이용해 한약치료를 받은 산모에 대한 후향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4 (34): 49-64, 2021

      3 장세란 ; 박영선 ; 김동철, "일개 한의대 부속 한방병원에 산후풍으로 내원한 환자 104례에 대한 실태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3 (23): 192-204, 2010

      4 황현지 ; 김동철, "일개 한방병원에서 산후풍으로 내원한 환자 실태 분석 및 치료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3 (33): 56-74, 2020

      5 김평화, "일개 한방병원에 내원한 산욕초기 산모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2 (32): 73-84, 2019

      6 강종근 ; 이인선 ; 조혜숙, "연령에 따른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가 산후풍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1 (21): 143-166, 2008

      7 천희란 ; 강민아 ; 정최경희 ; 조성일, "여성 노인의 건강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여성연구원 27 (27): 3-41, 2010

      8 정효정 ; 김동일 ; 최수지 ; 황수인 ; 윤영진 ; 박장경, "여성 난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작을 위한 한의사의 인식과 치료에 관한 실태조사" 대한한의학회 43 (43): 122-138, 2022

      9 우혜린 ; 이창훈 ; 이진무 ; 황덕상 ; 박경선 ; 장준복, "서울시 강동구 소재 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0 (30): 29-41, 2017

      10 오수경 ; 노은지 ; 최수지 ; 김동일, "산후풍의 진단적 정의 확립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4 (34): 16-30, 2021

      1 정윤선 ; 권영대, "출산 여성의 산후관리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11 (11): 143-158, 2017

      2 정서윤 ; 이은희, "일개한방병원에서 전라북도산후건강지원사업을 이용해 한약치료를 받은 산모에 대한 후향적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4 (34): 49-64, 2021

      3 장세란 ; 박영선 ; 김동철, "일개 한의대 부속 한방병원에 산후풍으로 내원한 환자 104례에 대한 실태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3 (23): 192-204, 2010

      4 황현지 ; 김동철, "일개 한방병원에서 산후풍으로 내원한 환자 실태 분석 및 치료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3 (33): 56-74, 2020

      5 김평화, "일개 한방병원에 내원한 산욕초기 산모의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2 (32): 73-84, 2019

      6 강종근 ; 이인선 ; 조혜숙, "연령에 따른 산후조리에 대한 인식과 수행정도가 산후풍 발생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1 (21): 143-166, 2008

      7 천희란 ; 강민아 ; 정최경희 ; 조성일, "여성 노인의 건강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여성연구원 27 (27): 3-41, 2010

      8 정효정 ; 김동일 ; 최수지 ; 황수인 ; 윤영진 ; 박장경, "여성 난임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작을 위한 한의사의 인식과 치료에 관한 실태조사" 대한한의학회 43 (43): 122-138, 2022

      9 우혜린 ; 이창훈 ; 이진무 ; 황덕상 ; 박경선 ; 장준복, "서울시 강동구 소재 한방병원 한방부인과 외래 환자의 주소증 분석"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0 (30): 29-41, 2017

      10 오수경 ; 노은지 ; 최수지 ; 김동일, "산후풍의 진단적 정의 확립을 위한 전문가 델파이 조사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4 (34): 16-30, 2021

      11 진용재 ; 김동일, "산후풍에 대한 한의사의 인식과 치료방법" 대한한의학회 28 (28): 171-186, 2007

      12 권나연 ; 김동일 ; 윤영진 ; 박장경, "산후풍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을 위한 환자의 의료 이용 경험 및 인식도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35 (35): 54-69, 2022

      13 변상현 ; 이창훈 ; 조정훈 ; 장준복 ; 이경섭, "산후풍 인식 차이 조사" 대한한방부인과학회 19 (19): 148-158, 2006

      14 박선영 ; 이상현 ; 허인 ; 황만석 ; 김고운 ; 조재흥 ; 박경선 ; 하인혁 ; 신병철, "교통사고상해증후군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을 위한 환자의 의료이용 경험과 의료체계 인식도 설문조사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 30 (30): 139-152, 2020

      15 Chang, PJ, "Use of herbal dietary supplement Si-Wu-Ta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women: a population-based correlational study" 2013 : 790474-, 2013

      16 Chang, PJ, "Use of Sheng-Hua-Tang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ostpartum women : A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in Taiwan" 47 (47): 13-19, 2010

      17 Ng KP, "Stroke after neck manipulation in the postpartum period" 114 (114): 498-, 2001

      18 Healthcare Bigdata Hub, "Statistics of national concern/behavior"

      19 "National Clearinghouse for Korean Medicine"

      20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Obstetrics and Gynecology,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Vol 1)" Euiseongdang 169-187, 2021

      21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Compilation Committee, "Korean Medicine Obstetrics & Gynecology (Vol 2)" Euiseongdang 767-, 2021

      22 Healthcare Bigdata Hub, "Disease clas sification statistics"

      23 "Chuna manual medicine academy" The Korean Society of Chuna Manual Medicine for Spine and Nerves 92-94, 2021

      24 Marnach ML, "Characteriz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int laxity and maternal hormones in pregnancy" 101 (101): 331-335, 2003

      25 Oh SH, "A Study on Realities of the Cognition of Postpartum Care and Postpartum Disease" 13 (13): 482-501, 2000

      26 권지명 ; 박영선 ; 김동철, "3년간 일개 한의대 부속 한방병원 여성의학과 외래 환자에 대한 임상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4 (24): 163-173,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