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원상도(元上都)의 조사와 건축유적의 고고학 연구 = survey and archaeological research on the shanqdu site in yuan rui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567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hàngdu site in the Yuan Dynasty of China, a capital city located in the northern steppe area characterised by the nomadic life, has received great attentions from a number of traveller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Several famous European travellers described vividly the city structure and civil life of Shàngdu from the Yuan Dynasty onwards. Since the begging of the modern era, a number of foreign expeditionists and historians explored Shàngdu and published research reports. From the 20th century, mainly Chinese and Japanese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carried out the relatively detailed historical researches and archaeological surveys to the Shàngdu site; and published books, articles and excavation reports. More detailed and scientific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mappings and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0s. This paper aims to progress basic discussion to the city structures of the Shàngdu site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es by expeditionists, geographers and archaeologists and the full scale investigation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번역하기

      The Shàngdu site in the Yuan Dynasty of China, a capital city located in the northern steppe area characterised by the nomadic life, has received great attentions from a number of traveller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Several famous European tra...

      The Shàngdu site in the Yuan Dynasty of China, a capital city located in the northern steppe area characterised by the nomadic life, has received great attentions from a number of travellers,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Several famous European travellers described vividly the city structure and civil life of Shàngdu from the Yuan Dynasty onwards. Since the begging of the modern era, a number of foreign expeditionists and historians explored Shàngdu and published research reports. From the 20th century, mainly Chinese and Japanese historians and archaeologists carried out the relatively detailed historical researches and archaeological surveys to the Shàngdu site; and published books, articles and excavation reports. More detailed and scientific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mappings and excavations have been conducted since 1990s. This paper aims to progress basic discussion to the city structures of the Shàngdu site based on the previously conducted researches by expeditionists, geographers and archaeologists and the full scale investigations, which have been carried ou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원(元) 상도(上都) 유적은 유목생활의 특색을 지닌 초원의 도성(都城)으로 역대로 많은 여행가와 역사학자, 고고학자들의 주 목을 받아왔다. 원조(元朝)부터 몇몇 유럽의 저명한 여행가들은 원 상도를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고, 근대에는 수많은 외국 여행 가와 역사학자들이 원 상도를 현지답사하고 여행기와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주로 중국, 일본의 역사 학자와 고고학자들이 원 상도에 대해 비교적 전면적인 역사 고증과 고고학 조사를 진행하였고 아울러 논저와 고고학 조사보고 서를 발표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 보다 더 전면적이고 과학적인 고고학 조사와 실측 및 발굴 작업이 진행되었다. 본문은 상술한 여행가, 지리학자, 고고학자들의 원상도에 대한 조사와 기록을 회고하면서 20세기 말에 이루어진 원상도의 조사와 발 굴 자료를 통해 원상도의 건축유적에 대한 기초적인 토론을 진행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원(元) 상도(上都) 유적은 유목생활의 특색을 지닌 초원의 도성(都城)으로 역대로 많은 여행가와 역사학자, 고고학자들의 주 목을 받아왔다. 원조(元朝)부터 몇몇 유럽의 저명한 여행가들은 ...

      원(元) 상도(上都) 유적은 유목생활의 특색을 지닌 초원의 도성(都城)으로 역대로 많은 여행가와 역사학자, 고고학자들의 주 목을 받아왔다. 원조(元朝)부터 몇몇 유럽의 저명한 여행가들은 원 상도를 생동감 있게 묘사하였고, 근대에는 수많은 외국 여행 가와 역사학자들이 원 상도를 현지답사하고 여행기와 연구보고서를 발표하였다. 20세기에 들어와서는 주로 중국, 일본의 역사 학자와 고고학자들이 원 상도에 대해 비교적 전면적인 역사 고증과 고고학 조사를 진행하였고 아울러 논저와 고고학 조사보고 서를 발표하였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 보다 더 전면적이고 과학적인 고고학 조사와 실측 및 발굴 작업이 진행되었다. 본문은 상술한 여행가, 지리학자, 고고학자들의 원상도에 대한 조사와 기록을 회고하면서 20세기 말에 이루어진 원상도의 조사와 발 굴 자료를 통해 원상도의 건축유적에 대한 기초적인 토론을 진행하고자 한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