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남북 언어 통합 사전으로서의 『겨레말큰사전』 = Gyeoremal-keunsajeon As a Dictionary of Language Integr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94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Gyeoremal-keunsajeon as a unified dictionary for South and North Korea. The concept of language integration was described, and the language integration process that took place upon unification of Germany and the dictionary integrating the language of China and Taiwan was studied. We examined Gyeoremal-keunsajeon as a dictionary of language integration, referring to Preview of Gyeoremal-keunsajeon and the completion guidelines. Gyeoremal-keunsajeon is a dictionary which integrates the language as used in South Korea, in North Korea and in other regions where Korean is used. It is an evolving ‘dictionary in progress’ while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used in these areas. Gyeoremal-keunsajeon is a significant project in the history of compilation of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dictionary itself is expected to be a sought after publication in the field of lexicography and as it relates to the history of linguistic culture. Gyeoremal-keunsajeon is a linguistic project which shows the place where we stand now and where we will be in our future.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Gyeoremal-keunsajeon as a unified dictionary for South and North Korea. The concept of language integration was described, and the language integration process that took place upon unificatio...

      This paper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Gyeoremal-keunsajeon as a unified dictionary for South and North Korea. The concept of language integration was described, and the language integration process that took place upon unification of Germany and the dictionary integrating the language of China and Taiwan was studied. We examined Gyeoremal-keunsajeon as a dictionary of language integration, referring to Preview of Gyeoremal-keunsajeon and the completion guidelines. Gyeoremal-keunsajeon is a dictionary which integrates the language as used in South Korea, in North Korea and in other regions where Korean is used. It is an evolving ‘dictionary in progress’ while the integration of the Korean used in these areas. Gyeoremal-keunsajeon is a significant project in the history of compilation of a Korean language dictionary. The dictionary itself is expected to be a sought after publication in the field of lexicography and as it relates to the history of linguistic culture. Gyeoremal-keunsajeon is a linguistic project which shows the place where we stand now and where we will be in our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용운,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큰사전>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659-686, 2019

      2 최경은,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1) : 55-79, 2003

      3 정동규, "통일 독일의 민족어 통합과정과 표준어 설정 연구" 서울대 어학연구소 72 (72): 137-162, 1996

      4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案) 전문용어 통합 작업과 실제 : 『양안과기상용사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0) : 365-390, 2020

      5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岸) 공동 사전 편찬 경험에 관한 연구 ᐨ 『양안상용사전』과 『양안통용사전』을 중심으로 ᐨ" 한국사전학회 (33) : 64-89, 2019

      6 조재수, "조선어 학회와 "큰사전"" 애산학회 32 : 141-169, 2006

      7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도서출판 책과함께 2005

      8 박금자,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73-196, 1989

      9 권순희, "북한 이탈 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이해" 국립국어원 24 (24): 87-106, 2014

      10 홍종선, "민족어의 통합 통일과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민족문화연구원 (59) : 291-313, 2013

      1 한용운,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큰사전>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659-686, 2019

      2 최경은,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1) : 55-79, 2003

      3 정동규, "통일 독일의 민족어 통합과정과 표준어 설정 연구" 서울대 어학연구소 72 (72): 137-162, 1996

      4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案) 전문용어 통합 작업과 실제 : 『양안과기상용사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0) : 365-390, 2020

      5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岸) 공동 사전 편찬 경험에 관한 연구 ᐨ 『양안상용사전』과 『양안통용사전』을 중심으로 ᐨ" 한국사전학회 (33) : 64-89, 2019

      6 조재수, "조선어 학회와 "큰사전"" 애산학회 32 : 141-169, 2006

      7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도서출판 책과함께 2005

      8 박금자,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73-196, 1989

      9 권순희, "북한 이탈 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이해" 국립국어원 24 (24): 87-106, 2014

      10 홍종선, "민족어의 통합 통일과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민족문화연구원 (59) : 291-313, 2013

      11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미리 만나는 겨레말큰사전" 2020

      12 최경은, "동서독의 언어사전 비교 - 『독일현대어사전』과 『독일어대사전』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3 (73): 371-400, 2016

      13 김영길, "독일 통일 이후의 언어통합과정 연구" 한국독일어문학회 15 : 319-362, 2001

      14 이찬규,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72) : 133-158, 2018

      15 김병문, "남북 통합 국어사전에서의 언어학 용어 처리 방안 연구 ᐨ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ᐨ" 한국사전학회 (29) : 7-40, 2017

      16 고대영, "남북 통일 사전 편찬 사업의 방향과 전망-“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50) : 97-119, 2018

      17 최유숙, "남북 언어 통합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8) : 395-426, 2015

      18 한용운,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301-322, 2007

      19 한용운, "남과 북의 언어 통일을 지향하는 사전 편찬 방안" 한국국학진흥원 1 (1): 315-344, 2007

      20 김병문, "겨레말큰사전"의 사회언어학적 의미에 대하여" 통일코리아 협동조합 7 : 120-132, 2015

      21 한용운, "겨레말큰사전 해살이" 한국어문기자협회 146 : 4-9, 2016

      22 홍윤표, "『겨레말큰사전』의 편찬 방향" 한국사전학회 (9) : 23-52, 2007

      23 변영수, "『겨레말큰사전』 문헌어 새어휘 유형" 인문학연구원 68 : 163-194, 2016

      24 홍종선, "『겨레말 큰사전』의 성격과 과제" 한글학회 (295) : 135-161, 2012

      25 김병문,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관하여 -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국학연구원 (187) : 375-400,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6-06-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언어정보개발연구원 -> 언어정보연구원
      영문명 : Center for Language and Information Development -> Institute of Language and Inform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8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9 0.8 1.385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