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용운,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큰사전>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659-686, 2019
2 최경은,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1) : 55-79, 2003
3 정동규, "통일 독일의 민족어 통합과정과 표준어 설정 연구" 서울대 어학연구소 72 (72): 137-162, 1996
4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案) 전문용어 통합 작업과 실제 : 『양안과기상용사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0) : 365-390, 2020
5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岸) 공동 사전 편찬 경험에 관한 연구 ᐨ 『양안상용사전』과 『양안통용사전』을 중심으로 ᐨ" 한국사전학회 (33) : 64-89, 2019
6 조재수, "조선어 학회와 "큰사전"" 애산학회 32 : 141-169, 2006
7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도서출판 책과함께 2005
8 박금자,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73-196, 1989
9 권순희, "북한 이탈 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이해" 국립국어원 24 (24): 87-106, 2014
10 홍종선, "민족어의 통합 통일과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민족문화연구원 (59) : 291-313, 2013
1 한용운,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큰사전>을 중심으로—" 한글학회 80 (80): 659-686, 2019
2 최경은, "통일 이후 동서독 독일어의 통합 과정" 한국독일언어문학회 (21) : 55-79, 2003
3 정동규, "통일 독일의 민족어 통합과정과 표준어 설정 연구" 서울대 어학연구소 72 (72): 137-162, 1996
4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案) 전문용어 통합 작업과 실제 : 『양안과기상용사전』을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0) : 365-390, 2020
5 윤소정, "중국 대륙과 대만의 양안(兩岸) 공동 사전 편찬 경험에 관한 연구 ᐨ 『양안상용사전』과 『양안통용사전』을 중심으로 ᐨ" 한국사전학회 (33) : 64-89, 2019
6 조재수, "조선어 학회와 "큰사전"" 애산학회 32 : 141-169, 2006
7 최경봉, "우리말의 탄생" 도서출판 책과함께 2005
8 박금자, "북한의 말과 글" 을유문화사 173-196, 1989
9 권순희, "북한 이탈 주민의 언어 사용 실태에 대한 이해" 국립국어원 24 (24): 87-106, 2014
10 홍종선, "민족어의 통합 통일과 <겨레말큰사전> 남북 공동 편찬" 민족문화연구원 (59) : 291-313, 2013
11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미리 만나는 겨레말큰사전" 2020
12 최경은, "동서독의 언어사전 비교 - 『독일현대어사전』과 『독일어대사전』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3 (73): 371-400, 2016
13 김영길, "독일 통일 이후의 언어통합과정 연구" 한국독일어문학회 15 : 319-362, 2001
14 이찬규, "남북한 표준어 정책 전환의 필요성‒포스트휴머니즘 시대 표준어가 소통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동양학연구원 (72) : 133-158, 2018
15 김병문, "남북 통합 국어사전에서의 언어학 용어 처리 방안 연구 ᐨ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ᐨ" 한국사전학회 (29) : 7-40, 2017
16 고대영, "남북 통일 사전 편찬 사업의 방향과 전망-“겨레말큰사전”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50) : 97-119, 2018
17 최유숙, "남북 언어 통합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18) : 395-426, 2015
18 한용운, "남북 규범어의 통합 방안" 한국사상문화학회 (40) : 301-322, 2007
19 한용운, "남과 북의 언어 통일을 지향하는 사전 편찬 방안" 한국국학진흥원 1 (1): 315-344, 2007
20 김병문, "겨레말큰사전"의 사회언어학적 의미에 대하여" 통일코리아 협동조합 7 : 120-132, 2015
21 한용운, "겨레말큰사전 해살이" 한국어문기자협회 146 : 4-9, 2016
22 홍윤표, "『겨레말큰사전』의 편찬 방향" 한국사전학회 (9) : 23-52, 2007
23 변영수, "『겨레말큰사전』 문헌어 새어휘 유형" 인문학연구원 68 : 163-194, 2016
24 홍종선, "『겨레말 큰사전』의 성격과 과제" 한글학회 (295) : 135-161, 2012
25 김병문, "‘국어의 사상’을 넘어선다는 것에 관하여 - 『겨레말큰사전』의 경우" 국학연구원 (187) : 375-400,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