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한국의 영어교육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많은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유창성을 기르기 위해 교사는 학생의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등의 방법론이 많이 쓰고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31188
서울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학위논문(석사) --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영어교육 , 2009. 8
2009
한국어
서울
77 p. ; 26 cm
지도교수: 강애진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들어 한국의 영어교육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많은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유창성을 기르기 위해 교사는 학생의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등의 방법론이 많이 쓰고 ...
최근 들어 한국의 영어교육은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많은 초점을 맞추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즉, 유창성을 기르기 위해 교사는 학생의 오류를 수정하지 않는 등의 방법론이 많이 쓰고 있다. 하지만 의사소통을 할 때 언어의 정확성이 떨어지면, 그 것은 결코 잘 된 대화라고 할 수 없다. 정확성이 떨어지면 의사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려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오해나 잘못된 이해를 부를 수 있어, 정확성이 유창성 보다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대단히 위험한 발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영어 교육에서는 유창성과 정확성이 동일하게 중시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최근 약간 경시되는 듯한 느낌을 주는 정확성에 초점을 맞추어, 효과적인 문법 교육을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했다. Krashen(1982)은 이해 가능한 입력을 충분하게 주면, 학습자는 저절로 목표 언어를 습득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학습에서는 i+1 즉, 학습자의 현재 실력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입력을 제공할 것을 제안하며, i+1 입력으로 인해 학습자는 현재 단계보다 더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대조되는 이론이 Swain(1985)의 출력가설이다. 출력가설은 출력이 입력 못지 않게 중요하다는 것이 골자인데 그 이유는 출력이 메타언어, 가설검증, 주목의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입력 과업과 출력 과업의 효과성을 시험해보기 위해, 학습자들을 입력 과업 중심 집단과 출력 과업 중심 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입력 학습과 출력 학습은 문법 학습에 효과가 있는가?
나. 입력 학습과 출력 학습 중에서 더욱 효과적인 방법은 무엇인가?
다. 학습자 수준별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다른가?
위의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하여 입력 과업 중심 집단에서는 입력 중심의 학습을 하게 하고, 출력 과업 중심 집단에서는 출력 중심의 학습을 하게 한 후, 두 반의 사전 시험 점수와 사후 시험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가. 입력 학습과 출력 학습은 목표 문법 학습에 효과가 있다.
나. 입력 학습과 출력 학습 중에서 더욱 효과적인 방법은 없다.
다. 학습자 수준별로 효과적인 학습 방법이 다르다. 상위권 학습자는 입력 과업이 효과가 없고 출력 과업이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하위권 학습자는 입력 과업과 출력 과업 모두 효과가 있었다. 다만 입력 과업을 수행한 학생들의 평균점수 향상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보아 입력 과업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위와 같은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우선, 입력 과업과 출력 과업은 모두 그 효과성이 입증되었고, 입력 과업과 출력 과업 중 어느 하나가 영어 문법 학습에 절대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것은 아니므로 어느 한 방법만 고집해서는 안 될 것이다. 다만, 두 유형의 과업이 학습자 수준별로 다른 영향을 주기 때문에 수준별로 학급을 나누어 각 반에 맞는 방법을 쓰는 것이 요구된다. 즉, 상위권 학습자들에게는 출력 과업 위주의 수업을, 하위권 학습자들에게는 입력 과업과 출력 과업을 골고루 이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English education system in Korea tends to focus mostly on communication abilities. That is, the majority of teachers tend not to correct students’ grammatical errors. However, if students’ speaking lacks accuracy, then they are not effective ...
The English education system in Korea tends to focus mostly on communication abilities. That is, the majority of teachers tend not to correct students’ grammatical errors. However, if students’ speaking lacks accuracy, then they are not effective speakers, which can result in misconception or misunderstanding. So, it is very illogical to think that accuracy is not as important as fluency. So, accuracy and fluency should be valued equally in terms of English learning.
This thesis examines how to improve the accuracy that seems to have been slightly neglected in Korea. Krashen(1982) insisted that if learners receive enough input of the target language, they can naturally acquire it. He suggested that if i+1, which is one-level-higher than the learners’ competence, is given to learners, they will naturally go on to the next stage of learning. In contrast, Swain(1985)’s Output hypothesis insists that output is as important as input to improve learners’ competence because output functions as metalanguage, a test of hypothesis, and notice.
This thesis divides students into two group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input and output. The research covers the following questions.
A. Are input and output effective for grammar learning?
B. Which one is more effective for grammar learning between input and output?
C. Does effectiveness of output and input change according to the learner’s competence level?
In order to examine these questions, students were asked to take a pre-test and a post-test. Before, and after, some of them learned the target forms with input activities and the others with output ones.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e tests.
A. Both input and output activities are effective for grammar learning.
B. Between input and output, neither is more effective than the other for grammar learning.
C. Effectiveness of each method changes according to the learner’s competence level.
While only output activities are effective for high competence learners, both input and output activities are effective for low competence learners. However, since the average score of the low competence learners in the input group increased more sharply than the ones in the output group, it seems that input activities are more effective for low competence students.
From the results, we can draw two conclusions. First, because both input and output are almost equally effective for learning target forms, it should be avoided that teachers stick to only one method between input and output activities. Second, because effectiveness of the two kinds of activities changes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s competence, different teaching methods should be used for each level of students. Therefore, it is effective to use output activities for high competence students and to use both input and output activities for low competence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