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숲태교 프로그램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8635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로는 과거 병력이 없는 51명의 임산부(28±3.0세)가 참가하였다. 실험 참가 전날 도시환경에서의 심리적·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도시환경에서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측정이 이루어졌다. 심리지표로서BDHI(공격성 척도), BHOP(무망감 척도), STAI-X-1(상태불안 척도), DIS(역기능성 행동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생리지표로서는 심박변동성과 코티솔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임산부들의공격성과 불안감이 감소되고 부정적인 사고가 감소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산모의 임신 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로는 과거 병력이 없는 51명의 임산부(28±3.0세)가 참가하였다. 실험 참가 전�...

      본 연구는 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임산부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로는 과거 병력이 없는 51명의 임산부(28±3.0세)가 참가하였다. 실험 참가 전날 도시환경에서의 심리적·생리적 변화를 측정하였으며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을 진행한 후 도시환경에서의 측정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측정이 이루어졌다. 심리지표로서BDHI(공격성 척도), BHOP(무망감 척도), STAI-X-1(상태불안 척도), DIS(역기능성 행동척도)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생리지표로서는 심박변동성과 코티솔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1박 2일의 숲태교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임산부들의공격성과 불안감이 감소되고 부정적인 사고가 감소하여 심리적 안녕감이 증진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숲속에서의 태교활동이 산모의 임신 중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심리적 안녕감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밝힐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reveal what effects prenatal care in the forest has on pregnant women. Subjects, consisting of 51 pregnant women with no history of illness in the past, whose age was 28±3.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ll their physi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urban environment were measured one day befo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e. the forest prenatal care program for two-days one-night. After two days of the experiment, thei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were measured again for comparison. As for the mentality indicators, a survey on various indicators such as BDHI, BHOP, STAI-X-1, and DIS was conducted. As for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HRV and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ere measured. The forest prenatal care program(1 night and 2 days) showed that the level of aggression, anxiety, and negative thinking of the participants were improved, which leads to the increa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this result, pregnant women’s outdoor activities in the forest, as their prenatal educational care,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stress relief and psychological stabilit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reveal what effects prenatal care in the forest has on pregnant women. Subjects, consisting of 51 pregnant women with no history of illness in the past, whose age was 28±3.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d reveal what effects prenatal care in the forest has on pregnant women. Subjects, consisting of 51 pregnant women with no history of illness in the past, whose age was 28±3.0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ll their physiological and physiological changes in the urban environment were measured one day befo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i.e. the forest prenatal care program for two-days one-night. After two days of the experiment, their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changes were measured again for comparison. As for the mentality indicators, a survey on various indicators such as BDHI, BHOP, STAI-X-1, and DIS was conducted. As for the physiological indicators, HRV and the salivary cortisol concentration were measured. The forest prenatal care program(1 night and 2 days) showed that the level of aggression, anxiety, and negative thinking of the participants were improved, which leads to the increase of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this result, pregnant women’s outdoor activities in the forest, as their prenatal educational care,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ir stress relief and psychological stabil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범진, "숲 속에서의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일본 아츠키시의 현장 실험결과" 한국임학회 97 (97): 634-640, 2008

      2 곽은주, "산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 8 (8): 1-21, 2006

      3 Diom, K., "What is beautiful is good" 24 : 285-290, 1972

      4 Selye, H., "The stress of the life" McGrae-Hill 1956

      5 Shin, W.S.,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anxiety and depression" 11 (11): 27-32, 2007

      6 Kim, J. S., "The effect of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f talking and tactual stimulation on mother-fetus interaction and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Kyung Hee University 2002

      7 Park, M.I., "The effect of maternal hearing of alpha-brain wave induced soundtable and natural soundstable on fetal heart rate in preterm and term pregnancies" 43 (43): 1400-1406, 2000

      8 Lederman, R. P., "Psychosocial adaptation in pregnancy-assessment of seven dimensions of maternal development" prentice-hall Inc 1984

      9 Wells, N.M., "Nearby nature: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35 (35): 311-330, 2003

      10 Heper, M., "Life stress and acceptance of pregnancy" 12 : 183-188, 1968

      1 박범진, "숲 속에서의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일본 아츠키시의 현장 실험결과" 한국임학회 97 (97): 634-640, 2008

      2 곽은주, "산전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초임부의 불안과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한국음악치료학회 8 (8): 1-21, 2006

      3 Diom, K., "What is beautiful is good" 24 : 285-290, 1972

      4 Selye, H., "The stress of the life" McGrae-Hill 1956

      5 Shin, W.S., "The relationships among experience, anxiety and depression" 11 (11): 27-32, 2007

      6 Kim, J. S., "The effect of mother-fetus interaction promotion program of talking and tactual stimulation on mother-fetus interaction and mother-infant play interaction" Kyung Hee University 2002

      7 Park, M.I., "The effect of maternal hearing of alpha-brain wave induced soundtable and natural soundstable on fetal heart rate in preterm and term pregnancies" 43 (43): 1400-1406, 2000

      8 Lederman, R. P., "Psychosocial adaptation in pregnancy-assessment of seven dimensions of maternal development" prentice-hall Inc 1984

      9 Wells, N.M., "Nearby nature: a buffer of life stress among rural children" 35 (35): 311-330, 2003

      10 Heper, M., "Life stress and acceptance of pregnancy" 12 : 183-188, 1968

      11 Gorsuch, R. L., "Anormalities of pregnancy as a function of anxiety and life stress" 36 : 352-362, 1974

      12 Min, K. S., "Analysis of the stress between mother and fetus and development of algorithm for labor prediction using heart rate variabilit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06

      13 Hong, S. H., "A study on the stress of pregnant and the coping of pregnant" 6 (6): 115-128,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3-01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 휴양및경관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creation and landscap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3-1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휴양및경관연구 -> Journal of East Asian Landscape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휴양및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 휴양및경관연구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54 0.407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